나스 레이드설정에 궁금한게 있습니다.

siper   
   조회 1730   추천 0    

회사에서 나스를 도입하라고 합니다.

업체에서 두개의 나스를 해서 메인과 백업으로 하여야 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제가 잘 몰라서 그런데 2베이나스를 레이드로 묶어서 메인으로 하고 또다른 2베이나스를 레이드로 묶어서 백업으로 한다고 합니다.

차라리 4베이짜리로 2베이씩 레이드로 묶어서 다시 두개를 미러링하면 안되는건가요?

시놀로지로 하려고 하는데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에러로딩중~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2-03
백업에서 중요한 것은  장비들이 독립 장비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한 장비에 메인데이터과 백업데이터를 동시에 두고 운용은 가능하나 만일 그 장비가 고장나거나 불이 나서 아예 재밖에 안 남았거나 하면

데이터는 복구하지 못합니다..

보통 백업은 3차 까지 해야 데이터 망실의 위험이 확 줄어든다고 이야기 합니다..



메인 /1차 /2차 /3차 까지 하는데 이 4가지 장비들이 다 각각 독립적인 다른 장비라는 것이죠...

좀 더 커지면 백업용 데이터 센터를 다른 지역에 구축하기도 합니다..
정의석 2022-03
하나의 장비에 볼륨을 나눠서 저장한 경우, 그 나스의 OS영역이 날아가버리면 복구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으니, 별도의 장비를 두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비용문제라면, 1차 나스는 일반제품으로 하고, 2차 백업용 나스는 좀 저렴한걸로 하면 어떨까요?
dateno1 2022-03
음...2차 이후 백업은 동시에 층당 여러대 두는것보다 다층으로 구성(2:1:1)하는게 조금 더 안전할꺼같긴한데, 저정도면 꽤 신경써서 구성한겁니다

다만 데이터 망실 막을려면 저것만으로 불충분하고, 반드시 콜드 백업으로 정기 백업해야하고, 물리적으로 격리된 (클라우드등) 다른 백업이 있어야 합니다 (안 그러면 재난 대비란 측면에서 의미가 없어요)


QnA
제목Page 578/5725
2015-12   1770579   백메가
2014-05   5245145   정은준1
2022-04   2150   jeseup
2022-04   1980   명랑
2022-04   2991   하드웨어초…
2022-04   3292   DDDIE
2022-04   2392   새총
2022-04   2128   icalux93
2022-04   2635   김루노
2022-04   3124   부산대빵
2022-04   2689   영원한혁신
2022-04   2145   Initu2
2022-04   1550   영산회상
2022-04   3436   뚜뚜김대원
2022-04   8947   마비올라
2022-04   2588   행복하세
2022-04   2087   모자란트
2022-04   2354   네이스터
2022-04   2202   굴렁쇠
2022-04   2402   2CPU최주희
2022-03   1773   keiminem
2022-03   2666   다연우혁아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