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 무료로 쓸수있는 데이타 백업용으로 쓸수있는 리눅스용 프로그램이 있을까요?

홍익   
   조회 1858   추천 0    

 안녕들 하십니까


회사에 노는 구형 pc로  회사 서버의 데이타 들을 백업 하는 백업용 서버 혹은 nas(클라우드) 를 만들까 합니다.

매주 번거롭게 수동으로 백업하는게 그래서요

회사서버가 레이드 구성이 안되있습니다.  제가 맘대로 만지지 못합니다.

그래서 질문드립니다.


목적은 회사 서버의 데이타 백업용입니다

일주일에 한번이나 몇일에 한번 백업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우선 비공식으로 하는 것이니 os 나 nas 프로그램에 비용이 들어가면 안됩니다

그래서 우선 os는 리눅스로 구성할 려고 합니다.


이럴경우 리눅스에 어떤 것을 올려서 써야 하나요

이걸 백업용 서버라고 해야 하나요?

이런 데이타 백업용 서버는 어떻게 구성 해야 하나요?


참고로 서버쪽 리눅스 쪽은 초보입니다. 집에 pc를 우분투리눅스로 써서 간단히 인터넷 정도만 하는 수준입니다.

어떻게 접근하는게 좋을까요

감사합니다

김종태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페선생 2022-03
ovm/TrueNAS/NAS4Free
     
홍익 2022-04
찾아보니  nas 쪽을 쓴다면 nas4free 가 제일낳을것 같습니다.  고려 대상에 넣어야 겠네요
송진현 2022-03
수동을 할 줄 아시면 cron으로 스케줄 하시면 됩니다.
     
홍익 2022-04
저희 서버는 window 인데 cron 이 가능한가요?
          
송진현 2022-04
윈도우는 작업스케쥴러를 검색하세요~~~
               
홍익 2022-04
넵 감사합니다.~~
처버 2022-03
그럼 그냥 헤놀로지 쓰는게 낫지 않나요?
     
댕댕이 2022-03
회사에서 헤놀로지 쓰면 큰일납니다..
     
홍익 2022-04
헤놀리지는 난리 납니다. ^^
박문형 2022-03
제가 보기에는 여러대 서버의 데이터들을 셋팅하면 일괄적으로 백업하는 솔류션을 찾으시는 느낌인데

그런 것은 상용 프로그램 밖에 없을 듯하고 NAS 구축을 해도 어짜피 수동 백업을 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그리고 백업 해야 하는 서버들의 OS가 윈도우즈랑 리눅스 크게 2가지 아닌가요??
     
홍익 2022-04
저희 서버는 win으로 만든 한대 뿐이라 한번 구상해 보는 겁니다.
수동으로 하더라도 외장하드 들고 백업하는 것 보다는 날것 같아서요. ^^
chis 2022-03
저는 ubuntu깔고 rsync로 일주일에 한번씩 백업되게 해놨어요.
     
홍익 2022-04
rsync 를 중점적으로 알아봐야 할것 갔습니다.  감사합니다.  ^^
송진홍 2022-03
회사 서버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인가요?
백업은 내부 → 내부인가요?
아니면, 내부 → 외부 또는 외부 → 내부 인지요?
     
홍익 2022-04
외부에서는 안쓰고 내부에서만 쓸겁니다. ^^
dateno1 2022-03
그냥 리눅 깔고 SMB같은걸로 공유해두세요 (끝)

자동 백업같은건 서버 손 못 되면 어차피 답 없어요 (스크립트나 소프트 설치를 못하니)
     
홍익 2022-04
smb 가 samba 를 말씀 하시는 건가요?
한번 찾아봐야 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dateno1 2022-04


삼바 애기입니다

삼바 서버 구축하는 방법은 넘 널려서 설명 생략합니다

OS도 거의 안 타고 꽤 편한 수단입니다 (구축해두면 서버 백업만이 아니라 이것저것 됨)
엠브리오 2022-03
내 마음대로 할수 없는 서버를 굳이 왜??
전산팀에 넘겨서 해당 담당자가 처리하는게 올바른 방법입니다.

어설프게 셋팅해서 운영하다가 홀라당 날려먹으면
모든 책임은 본인이 떠 안게 됩니다.
     
홍익 2022-04
저희 회사가 소규모이기도 하고 서버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습니다.
설계부서에서 매주마다 외장하드에다 백업한다고시간내고 하는것 보니까.
이건 아니다 십더라고요.  가끔 그렇게 불안정하게 백업하니 저희  도면이나 설계자료들이 날라갈것 같기도 하고요
그래서 회사에 남는 컴퓨터로 취미 삼아 만들어 보고  ,  궨찮다 싶으면 위에 건의 해서 설치를 해볼까 하고요.

그쪽 지식들이 없으니 백업도 다 수작업으로 합니다.
제 독단으로 진행할 생각은 아닙니다. 
걱정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dateno1 2022-04
그런데 콜드 백업은 콜드대로의 장점이 있긴합니다 (분리되어있으니 전기적 충격이나 랜섬등에 절대적 내성이 있음)
               
홍익 2022-04
네  유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dateno1 2022-04
NAS나 백업 서버 있더라도 여기 백업(가능하다면 이쪽은 자동으로 자주 백업)된걸 2차적으로 정기 백업해서 보존해두는게 안전합니다 (여기까지만 해도 화등의 재난이 안 일어나는한 망실될일 없음)
파닥파닥 2022-03
백업하고자 하는 정보중 “개인정보” 성격의 데이터가 있다면, 지금 생각하시는거를 하게 되면 규정 위반으로 사고나 실사 시점에서 매우 골치 아파질 수 있습니다.

단순히 자신의 작업물 (소스, 실행 바이너리) 정도의 백업이 아니라면 회사라면 가능하면 오피셜한 루트로 접근하시는 것이 이후 책임의 문제에서 벗어나실 수 있습니다
     
홍익 2022-04
넵 말씀 감사합니다.
저도 제 취미삼아 한번 만들어 보고  괜찮다 십을때 건의 해 볼 예정입니다


QnA
제목Page 577/5724
2014-05   5237419   정은준1
2015-12   1763103   백메가
2022-04   2082   icalux93
2022-04   2576   김루노
2022-04   3083   부산대빵
2022-04   2595   영원한혁신
2022-04   2092   Initu2
2022-04   1514   영산회상
2022-04   3387   뚜뚜김대원
2022-04   8870   마비올라
2022-04   2552   행복하세
2022-04   2048   모자란트
2022-04   2329   네이스터
2022-04   2082   굴렁쇠
2022-04   2345   2CPU최주희
2022-03   1741   keiminem
2022-03   2579   다연우혁아빠
2022-03   4212   JJ시스템
2022-03   1997   메로니아
2022-03   6092   HEUo김용민
2022-04   2476   HEUo김용민
2022-03   3600   wguardi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