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장장치 ] SCSI가 효율적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조회 2965   추천 0    

IDE -> SATA

SCSI -> SAS

PC 저장장치 프로토콜이 발전한것으로 알고 있긴 합니다.


원격 저장장치를 효율적(기존 IP 네트워크를 통한)으로 Access하기 위하여,

  IP over SCSI


USB를 효율적으로 Access하기 위하여,

  UASP


1. 그렇다면, 썬더볼트는 이러한 것이 없는 거 같은데.... 이유가 궁금하긴 합니다.

2. SCSI (구형(오래된) 프로토콜)의 어떠한 점으로 인하여, 이렇게 오래동안 쓰이는 건지 궁금하긴 합니다.

3. UASP를 사용하면, 멀티스트림(동시에 2개 화일을 동시에 읽기 쓰기)가 지원되는 건지요 ?
   USB 저장 장치의 경우에는 UASP를 미지원하면, 동시성만 있지 같은 시간에는 1개의 화일만 읽고 쓰기가 가능 한건지요 ? 


아시는 분의 조언 부탁 드려 봅니다.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dateno1 2022-04
1. 애초에 그러라고 있는 물건 아닙니다
2. 지금 SATA가 되는것 대부분이 SCSI의 유산입니다
3. 멀티데스킹되는 OS라면 커널이 관리 안 해주나요?
술이 2022-04
썬더볼트는 연경 방식일건데요 썬더볼트로 연결하는 외장 어레이 장치는 있긴합니다. 맥 사용자들에게는 썬더볼트 없으면 대안이 없기 때문이죠.
x86 기반은 썬더볼트 쓸일이 없습니다. SAS 외장케이블도 있고 10G/40G도 있고 선택폭이 넓습니다.

SCSI 방식은 병렬처리 방식이라서 많은 디스크를 레이드화 했을때 동시에 처리해주기 때문에 직렬방식인 SATA와 차이점을 보이게 됩니다. 일반적인 액세스는 별차이 없고 랜덤으로 많은 데이터 입출력시에 성능이 갈리게 됩니다. 레이드 없이 단일디스크만 사용했을 경우는 차이 없습니다.
     
dateno1 2022-04
맥도 SAS랑 다 되요 (다만 확장 슬롯이 있는게 맥 프로정도밖에 없다는게 함정)
박문형 2022-04
https://kbench.com/?q=node/2250

SCSI는 나온지 오래되었고  마지막 SCSI인 U320 SCSI 가 나올때는 대략 펜티엄 제온 3 슬롯 CPU 서버 시절인지라

X86 서버가 시작되고 활성화될 때 SCSI 인터페이스는 끝나 있었다고 봐도 됩니다..

제가 볼때 SCSI 인터페이스의 장점은 다른 인터네이스에 비해 여러개의 SCSI 장치를 한 콘트롤러에 붙일 수 있다..

SCSI 장치도 HDD외 백업 드라이브 씨디롬 디브이디 MO 드라이브 주크박스 플로피 디스크 등등 여러가지 종유가 존재했었다는 것이죠..

그리고 데이터 케이블의 길이도 다른 인터페이스에 비해 길었습니다..

다른 장점으로는 여러가지 종류의 컴퓨터 시스템이나 OS에 상당히 유연하게 사용 가능했다는 것이고요..

저는 맨처음 SCSI 장치는 U40 SCSI 부터 (대략 1996년쯤) 실제 업무적으로는 U80 SCSI 부터 (대략 2000년도쯤) 만져 봤었습니다..

하여간 옛날에는 SCSI 장치는 셋팅하기 좀 힘들고 장비도 비쌌지만 그만큼 안정되고 잘 돌아가는 장치는 잘 없었습니다..

즉 SCSI를 대처할만한 다른 인터페이스가 없었고 그 다른 인터페이스도 SCSI보다는 성능이나 확장성이 딸려서 다 죽어갔죠..
박문형 2022-04
iSCSI 의 본래 뜻은 internet SCSI 라고 하더군요..

이더넷 방식은 랜카드와 허브를 통해 패킷데이터를 보내는 것이 아니고 SCSI 블럭 데이터를 보냅니다..

하드웨어만 이더넷 내부 프로토콜이나 소프트웨어는 SCSI라고 보시면 됩니다..

재일 많이 쓰는 용도는 원격지 백업 장치용이라고 하더군요..
박문형 2022-04
썬더볼트는 저는 잘은 모르지만 대략 포인트 투 포인트로 스토리지를 빠르게 연결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그리고 이 썬더볼트도 몇 포트는 안되지만 썬더볼트 허브가 들어가서 여러개의 썬더볼트 인터페이스를 연결 가능한 장치가 있기는 합니다..

그게 그나마 저는 썬더볼트 장비중 재일 발전된 형태로 생각하고 있고요..

https://www.youtube.com/watch?v=y4JkgRf2obI

좀 오래되었지만 여기 유튜브 동영상에 잠깐 나올 것입니다..
박문형 2022-04
SCSI는 PCI-X 때까지만 쓰이고 (대략 제온 800 CPU 때까지)

PCI-e 4x 인터페이스를 가진 카드도 존재는 했으나 기존 PCI-X SCSI 칩셋에 PCI-X to PCIe 컨버터 칩을 붙여서 제품을 만들었다라고 봐야 합니다..

대략 외장 백업테이프 장비 같은 것때문에 쓰였습니다..

SCSI 가 시리얼화 하여 바뀐게 SAS 이고 현재도 SAS는 계속 발전하고 있습니다..
썬더볼트를 알고 싶다면 1394 쪽 히스토리를 찾아보시는게 좋죠
인텔이 썬더볼트를 내놓았지만 아마 특성들은 소니와 애플이 밀던 1394쪽과 더 비슷할겁니다 (썬더볼트는 애플과 인텔의 협업이라는군요)
근데 지금은 각 인터페이스들의 각각의 장점들이 통합되는 추세라서......


QnA
제목Page 577/5727
2015-12   1776293   백메가
2014-05   5251244   정은준1
2022-04   14330   수줍은망고
2022-04   2062   미수맨
2022-04   1385   제온프로
2022-04   2049   미수맨
2022-04   2195   원탱이방굴이
2022-04   1345   공백기
2022-04   2445   영산회상
2022-04   1819   어훕
2022-04   1853   guest1
2022-04   1782   Smilesanta
2022-04   1952   Psychophysi…
2022-04   1735   ArtsRommel
2022-04   2620   이현석1
2022-04   9183   블루모션
2022-04   2115   땅부자
2022-04   1910   이선규
2022-04   3453   공백기
2022-04   1905   Sikieiki
2022-04   1488   가빠로구나
2022-04   1558   홀릭0o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