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크 사용량이 실제 사용량과 차이가 너무 많이 나는데 원인이 뭘까요?

거니네   
   조회 2553   추천 0    

 안녕하세요? 인터넷 아무리 찾아봐도 명확한 답이 없어서 여기에 질문 올려봅니다.

500GB SSD 크루셜 MX500입니다. 

OS 새로 설치한지 몇개월 안되었는데 disk가 FULL이라 실제 파일들의 용량을 확인해보니 50GB 정도 밖에 안됩니다.

10-20GB 차이 나면 windows system 파일이겠거니 하겠는데 차이가 너무 많이 나네요..

우선 점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절전모드 해제.

2.windows update 파일 및 시스템 관련파일 정리

3.chkdsk 로 파일시스템 점검.

4.windows 복구 모드 해제.


의심가는 사항 

인터넷 검색하다보니 NAS나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하는 경우 이런현상이 있을 수 있다고 하는 글을 봤는데 실제로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는지 

경험하신 분 계시면 답변 부탁 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화란 2022-04
C:\ > 속성 > 디스크정리 > 시스템파일정리

한번 해보세요.
     
거니네 2022-04
말씀하신 부분은 해봤는데 큰 사이즈는 없네요^^
감사합니다.
김철영 2022-04
휴지통 크기 최소화(휴지통 설정에서 변경),
고급시스템설정에서 고급>성능>고급>가상메모리에서 페이징 파일의 크기가 자동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현재 크기가 불필요하게 크면 자동관리 해제하고 사용자 지정크기 입력하여 조정.(통상 램이 32GB 이상이면 페이징 파일 없음을 이용하는게 유리)
절전모드 해제한 방식이 전원설정에서 변경한 것이면 관리자 권한으로 커멘드 창 실행하여 powercfg -h off 명령으로 수행 후 재부팅
탐색기에서 해당 ssd 드라이버의 속성 선택 후 디스크 정리>시스템파일정리 선택하여 불필요한 파일 삭제
윈도우 백업 설정되어 있었던 경우 불필요한 백업파일 삭제
정도 생각나네요.
     
거니네 2022-04
휴지통 크기 최소화 해봤는데 변함이 없습니다.
페이징파일도 0으로 했는데 변함없습니다.
powercfg -h off 했는데 변함없습니다.
디스크 정리도 했는데 변함없습니다.
윈도우 백업 설정 해제된 상태입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정의석 2022-04
1. 윈도우에서 실제 파일들의 용량을 확인 하는 방법 - 권한문제 때문에 시스템파일같은 경우는 제대로 확인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2. 파일시스템의 할당단위 크기 - 만일 할당단위를 2MB로 해 놓는 경우 slack공간이 낭비되어 차지하는 용량이 커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1.의 경우 제대로 확인하려면 그 SSD를 떼어내서 다른 OS에 붙여서 확인 하시면 됩니다. 아니면 부팅 USB등으로 해도 됩니다. 윈도우 보다는 NTFS 마운트(Read)가 가능한 리눅스가 좋을거 같습니다.
2.의 경우에는 전체 파일의 속성의 크기/디스크할당크기를 확인 해 보시면 됩니다.
     
거니네 2022-04
1. 확인해보겠습니다.
2.크기는 43.8GB 이고 디스크할당크기는 44.2GB 입니다.
김철영 2022-04
nas, cloud service 말씀을 하셔서 생각난건데
C:\ProgramData 에 (시스템 경로라 숨겨져 있음) s3 browser라든가 이외 SW 경로가 비정상적으로 용량을 차지하고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폴더 옵션에서 시스템 숨김 파일 등을 볼 수 있게 설정하면 확인 가능합니다.
     
거니네 2022-04
해당폴더도 시스템파일숨김 해제 하고 용량확인 해봤는데 3GB도 안되네요. ㅠㅠ
답변 감사합니다.
박문형 2022-04
https://jsson.tistory.com/31

https://aspalt.tistory.com/14

윈도우즈라면 이런 프로그램으로 채크해보세요..
     
거니네 2022-04
이것도 사용해본 결과 특별히 용량을 많이 차지하는 파일이나 폴더는 없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QnA
제목Page 571/5725
2015-12   1770963   백메가
2014-05   5245648   정은준1
2021-10   2217   BMMen
2014-08   4070   겨울나무
2013-01   5260   블랙
2015-12   3952   guest1
2016-12   5117   강물처럼
2018-01   3610   갸아악
2020-06   3754   online9
2023-06   2201   농부76
2019-03   3393   2CPU최주희
2016-12   5132   눈팅돌이
2016-01   3820   Goldentooth
2018-02   4344   Qsup
2016-01   3755   임진욱
2018-02   5469   나라뜨
2010-01   8596   푸릉이
2016-01   4766   tualatin
2019-04   4187   NeOpLE
2018-02   4332   통신보안
2019-04   3724   불무골
2016-12   20529   다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