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4) |
정은준1 |
2014-05 |
5121427 |
0 |
2014-05
5121427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56768 |
25 |
2015-12
1656768
1 백메가
|
74164 |
CPU 소켓핀 눌렸는데 펼수가 있을까요?? (18) |
야구감독 |
2019-05 |
4306 |
0 |
2019-05
4306
1 야구감독
|
74163 |
엑셀 데이터 누적 기록 (14) |
이희주 |
2019-04 |
4306 |
0 |
2019-04
4306
1 이희주
|
74162 |
SSD Secure Erase 외장하드 (2) |
씨형 |
2015-05 |
4306 |
0 |
2015-05
4306
1 씨형
|
74161 |
QT visual studio 에 연결해서 사용해 보신분 계신가요,, (4) |
박완경 |
2015-08 |
4306 |
0 |
2015-08
4306
1 박완경
|
74160 |
NVRAM Clear하기 위해 WinPE에서 파일 어떻게 실행하나요? (3) |
니크네이므 |
2019-01 |
4306 |
0 |
2019-01
4306
1 니크네이므
|
74159 |
레이드 레벨 변경 질문입니다. (14) |
심우철 |
2017-01 |
4306 |
0 |
2017-01
4306
1 심우철
|
74158 |
네트워크 공유 (8) |
이희주 |
2016-03 |
4306 |
0 |
2016-03
4306
1 이희주
|
74157 |
blkid 명령어로 디스크확인시 partuuid만 출력되는 이유가 뭔가요? (5) |
zestyus |
2021-06 |
4306 |
0 |
2021-06
4306
1 zestyus
|
74156 |
델 T5400에서 쿼드로 k2200 사용가능한가요??^^ (2) |
두cpu |
2017-02 |
4306 |
0 |
2017-02
4306
1 두cpu
|
74155 |
p3-800 용 듀얼 보드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6) |
문병근 |
2006-10 |
4306 |
11 |
2006-10
4306
1 문병근
|
74154 |
usb3.1 gen2 쓸만하나요? (4) |
susemi |
2016-02 |
4306 |
0 |
2016-02
4306
1 susemi
|
74153 |
INTEL S5520UR 메인보드에 설치할 ECC or ECC/REG LP 램.. (1) |
클로이베넷 |
2014-02 |
4306 |
0 |
2014-02
4306
1 클로이베넷
|
74152 |
노트북 밧데리 마모율이라고 해야되나요 방전율이라고 해야할지 ...측정할수있는 프… (9) |
정상백 |
2017-08 |
4306 |
0 |
2017-08
4306
1 정상백
|
74151 |
R620 서버 부팅 문제가 발생합니다. (8) |
Ibory |
2020-10 |
4306 |
0 |
2020-10
4306
1 Ibory
|
74150 |
Juniper, Cisco L2 스위치에서 uplink 포트 찾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4) |
집구석 |
2021-03 |
4306 |
0 |
2021-03
4306
1 집구석
|
74149 |
알리 배송 질문드립니다. (12) |
컴박 |
2017-11 |
4306 |
0 |
2017-11
4306
1 컴박
|
74148 |
2679 v4 듀얼에 그래픽 카드 1060 1070 1080 호환이 되나요? (8) |
슬러그 |
2016-09 |
4306 |
0 |
2016-09
4306
1 슬러그
|
74147 |
미국 공홈에서 구매한 레노보 도킹...국내에선 AS도 교환도 안된다는데...조언좀 해… (9) |
김건우 |
2018-07 |
4306 |
0 |
2018-07
4306
1 김건우
|
74146 |
[질문] 이 모니터는 A/S가 될까요 안될까요 ? (31) |
캔위드 |
2021-02 |
4306 |
0 |
2021-02
4306
1 캔위드
|
74145 |
hp touch smart 520 터치 스크린드라이버 (3) |
오이꼭지 |
2021-05 |
4306 |
0 |
2021-05
4306
1 오이꼭지
|
DBMS 종류를 무얼 사용하시냐에 따라 달라지구요 .
2만명 정도되면 TPS 봐가면서 1대로 운용할지 2대로 운용할지 보시는게 맞습니다.
"동접자"=> 동시에 접속해서 계속 사용하는 사용자수를 의미하니깐요 .
프로그램에 쿼리 최적화도 되어있는지 고민헤야하고 서비스 대상이 ERP CMS 등인지도 고려해야합니다 .
지금 데이터로는 너무 부족해요~
대용량 데이터 쓰기는 큰 차이가 없을 수 있지만, 작은 데이터 쓰기나 읽기는 SSD가 넘사벽으로 좋은거 같습니다.
작은 텍스트 데이터의 입출력이 많은 경우라고 해도, 이미 입력(기록)된 데이터의 삭제 행위가 많지 않다면, 수명에는 큰 지장이 없을듯 합니다.
다만, 데이터의 삭제/갱신이 자주 일어난다면, 수명대비 가격을 고려 해 봐야 할듯 합니다.
추가로 입력되는 데이터는 많지만 삭제행위는 많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그 서버의 디테일한 사양을 알 수 있을까요??
아니면 현재 돌아가는 DB서버가 이런 이런 사양인데 동접이 몇 명이다 정도라도 알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됩니다...
sas방식으로 나오는 12gbps ssd 사시면 됩니다.
윗분말대로 nvme 도 좋은데. nvme 도 raid 5로 해야지 안그러면 조금 불안할거 같아요.
2만명이면 일단 제온 실버 cpu 부터 업그레이드 해보시는게 어떨지요
sas ssd는 가격이 문제라..
ssd는 nvme가 아니라 sata ssd인거 같아요.
벤치 찾아봤는데 고성능 cpu중에 350등은 하는거 같아서요..
제온 gold 5217이랑 성능이 비슷한거 같아서요..
sql은 cpu 빨이 크더라구요
다만 불의의 사고로 인해 드라이브가 잠겨버리거나 인식이 안되는 등 데이터 손실이 있을경우, HDD는 복구의 여지가 있으나, SSD는 TRIM에 의해 복구가 어렵거나 불가능 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요새는 서버를 구매하여 관리하기보다는 맘 편하게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옵션에 따라 자동 백업, 복원도 가능하고 데이터 손실에 대한 걱정도 덜 수 있으니 말이죠. (물론 클라우드도 데이터 손실의 가능성이 있으니 백업은 필수 입니다)
특히 동접 2만명이면 부하량에 따라서 단일 서버보단 서버 여러대로 트래픽 분산하는 것도 고려해보셔야 할텐데, 클라우드를 사용하면 서버 여러대를 마련하여 분산하는 것도 어렵지 않죠
+) NVMe를 DB용으로 사용하는건 권장하지 않습니다. 잦은 IO시에 block이 걸려서 데이터 처리시에 전체적인 성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구글링 해보니 sas hdd보다는 sata ssd가 빠르다고는 나오긴 하는데 자세히 안나와서요.
짧은 텍스트를 DB에서 "자주 불러온다면" SATA SSD를 활용하여 iops를 늘리는게 좋습니다
짧은 텍스트를 저장하는데 "용량이 sata ssd로는 부족하다면" SAS HDD를 사용하는게 좋을 수 있습니다 (속도를 늘리기 위해서 RAID 권장)
일반적인 RW 속도는 SAS HDD < SATA SSD이며, Random RW는 SATA SSD가 압도적으로 좋습니다
SATA SSD를 DB에 사용하시고, SATA HDD에 백업하는 형태로 사용하시되, 서버용 SSD 사용하세요.
SAS HDD도 2가지가 있는데
SCSI에서 넘어온 10Krpm /15Krpm 으로 플레터가 돌아가는 72/ 146/ 300 /900 /1200GB 짜리 SAS HDD가 있고
SATA HDD 에서 인터페이스만 SAS로 바뀐 7200rpm으로 플레터가 돌아가는 2/4/6/8/10/14/16TB SAS HDD가 있습니다..
SAS HDD는 모두 기업용(엔터프라이즈급)이기에 일반 PC용 HDD들 보다는 수명이 깁니다..
SATA HDD를 사용하기를 권한다면 모델명 검사해서 일반 PC용인지 기업용인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SATA HDD는 모두 7200rpm으로 플레터가 돌아간다고 보셔도 됩니다..
HDD로만 구성한다면 고 rpm SAS HDD를 권해 드립니다..
참 그리고 캐쉬 많이 달린 12G 레이드 카드나 장비는 필수입니다..
HDD 1개로는 동시접속자 수용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요즘 레이드카드 캐쉬 8G 정도입니다. SAS HDD 정도면 속도는 그리 나쁘지는 않을거 같은데...
단순한 데이터 입출력이면 대부분 메모리단에서 처리가 되구요 디스크 IO는 생각처럼 높지 않습니다.
만약에 트랜잭션 IO가 심하다고 한다면 앞단에 WAS를 넣겠죠.
백업에 한계가 있고 여유롭지 않은경우라면 SAS
입출력이 많은데 이중 입력보다 출력만 많은경우 SAS
입력과 쓰기가 많은경우 SSD
단 SSD는 고비용이 투자되야하는 부분이고
SAS는 비용이 조금이라도 적게 들어가는 부분임
현구성으로 봤을때 케쉬용으로 SSD만 설치하는것도 나쁘지 않을듯 보입니다
미션 크리티컬 한 서버의 느낌은 아닙니다
본문의 내용으로 본다면 SAS로 가는것이 바람직 합니다
서버는 그목적이 무중단 서비스가 기본이되야하는데 SSD에 문제가 생겨 백업을 리스토어 하는 시간과 노력이라면
차라리 SAS로 가는것이 바람직하죠..
동접2만인데 디스크가 … 너무 협소하다는 느낌이 듭니다
SAS SSD 400GB x 4 = Raid 10
SAS SSD 800GB x 4 = Raid 10
SAS SSD 400GB x 6 = Raid 10
SAS SSD 800GB x 6 = Raid 10
스페어 하드 1개씩 추가 하시고요.
전통적으로 DB서버는 Raid 10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SATA SSD는 빠르기는 한데 수명이 짧아서 빠른 대응에 자신 있으시면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