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네트워크에 와이파이를 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VSPress   
   조회 3882   추천 0    

인터넷과 연결된 네트워크에는 와이파이 공유기가 있어서 아무 문제가 없는데,

인터넷과 연결되지 않은 내부 네트웍의 컴퓨터는 와이파이로 연결하고 싶을 때 어떻게 연결하면 좋을까요?
스위치허브에 뭘 달면 되는건가요? 아니면 다른 게 필요할까요?


궁금합니다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수퍼싸이언 2022-04
인터넷 구성에서 WAN 포트만 쓰지 않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VSPress 2022-04
WAN 연결 없이 공유기를 달면 되는거군요 :) 헤헤헤 감사합니다.
박문형 2022-04
내부 네트워크는 어떻게 구성이 되어 있나요??
     
VSPress 2022-04
그냥... 2.5기가 스위치 하나랑 1기가 스위치 하나에 다 연결되어 있어요~~ 스위치 속도가 다르지만 그거야 적절하게 구성만 하면 되겠구요!
박문형 2022-04
내부 네트워크의 IP가 DHCP로 되어 있다면 그리고 WIFI 공유기가 IPTIME이라면 그 공유기를 허브모드로 셋팅해주면 됩니다..

IPTIME 무선 공유기에서 DHCP 끄고 내부 네트워크에는 공유기의 LAN포트로 연결합니다..

내부 네트워크가 고정 IP라면 공유기도 빈 IP번호 찾아서 고정IP 부여하고 공유기의 랜포트로 연결합니다..
dateno1 2022-04
그냥 굴러다니는 아무 무선 기능 있는 애들 물리고, IP주소 수동으로 부여해서 쓰세요
정의석 2022-04
기본적으로는 공유기의 WAN포트가 없다 생각하시고 일반 L2스위치 사용하듯이 사용하시면 됩니다. WAN포트를 사용하게 되면 NAT가 걸려서 서로간의 통신이 좀 불편해 집니다.
만일 내부네트워크에 DHCP서버가 따로 있다면 추가한 공유기에서 DHCP서버를 꺼 주시는게 좋습니다. 이 경우 추가한 공유기에 무선으로 접속된 장비들은 내부네트워크의 DHCP서버에서 IP를 받게됩니다.
내부네트워크에 별도의 DHCP서버가 없다면 편의를 위해서 추가한 공유기의 DHCP서버 기능을 그대로 두시는게 편하기는 합니다. 다만, 이 경우 내부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장비들이 추가한 공유기의 DHCP서버에서 IP를 받게 되니, 연결된 장비들의 DHCP/Static 설정을 잘 확인하셔야 합니다.


QnA
제목Page 568/5725
2015-12   1766359   백메가
2014-05   5240841   정은준1
2022-04   2155   유호준
2022-04   4732   죠슈아
2022-04   3428   JJ시스템
2022-04   5232   mads
2022-04   3005   어훕
2022-04   8655   어훕
2022-04   13   밍돌이
2022-04   3042   민지파파
2022-04   3390   JJ시스템
2022-04   5198   이상윤SY
2022-04   3238   행복하세
2022-04   2650   2CPU최주희
2022-04   1909   모스월드
2022-04   2287   만사오케이
2022-04   2502   오성기
2022-04   1398   행복하세
2022-04   1479   mads
2022-04   1137   KWKIM
2022-04   1515   슬루프
2022-04   2274   행복하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