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43196 |
0 |
2014-05
5143196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7388 |
25 |
2015-12
1677388
1 백메가
|
43996 |
게정정보 해킹 경로 (3) |
MikroTik이진 |
2014-09 |
5864 |
0 |
2014-09
5864
1 MikroTik이진
|
43995 |
미크로틱 설정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4) |
HEUo김용민 |
2012-12 |
5864 |
0 |
2012-12
5864
1 HEUo김용민
|
43994 |
윈도우 서버 2008 디스크 최대 인식 몇테라? (10) |
ADUS |
2015-03 |
5864 |
0 |
2015-03
5864
1 ADUS
|
43993 |
pc 쇼트상태될 때 빨리 복구하는 방법있나요? (6) |
김건우 |
2012-08 |
5864 |
0 |
2012-08
5864
1 김건우
|
43992 |
HDD 표면 검사 프로그램? (3) |
이윤성 |
2006-05 |
5864 |
3 |
2006-05
5864
1 이윤성
|
43991 |
이베이 구매해보신분 (6) |
이성호 |
2008-05 |
5864 |
13 |
2008-05
5864
1 이성호
|
43990 |
usb허브에 주변기기 몇개까지 연결 할수 있나요? (12) |
장동건2014 |
2017-07 |
5864 |
1 |
2017-07
5864
1 장동건2014
|
43989 |
바뀐 드라이브 순서 다시 돌리기 (8) |
김대성 |
2006-02 |
5864 |
5 |
2006-02
5864
1 김대성
|
43988 |
고용량 IDE HDD 지원(LBA 48bit) 여부 (8) |
한성준 |
2006-02 |
5864 |
18 |
2006-02
5864
1 한성준
|
43987 |
m-pcie 소켓 남땝하면 작동할 수 있을까요?? (10) |
김은택 |
2012-05 |
5864 |
0 |
2012-05
5864
1 김은택
|
43986 |
프린트서버의 전원제어 및 운영에 대해 여쭤봅니다. (3) |
박 |
2011-10 |
5864 |
0 |
2011-10
5864
1 박
|
43985 |
쿼드로 질문드립니다. (4) |
문정준 |
2008-03 |
5864 |
7 |
2008-03
5864
1 문정준
|
43984 |
파워문제인지..아니면 하드문제인지... (6) |
김건우 |
2006-04 |
5864 |
8 |
2006-04
5864
1 김건우
|
43983 |
agp 활성 관련 (3) |
한성확 |
2005-12 |
5864 |
12 |
2005-12
5864
1 한성확
|
43982 |
Dell M4800 그래픽 성능(K2100M) (2) |
수필처럼 |
2017-04 |
5864 |
0 |
2017-04
5864
1 수필처럼
|
43981 |
시놀로지 스냅샷 문구 질문드립니다 (5) |
전진 |
2020-11 |
5864 |
0 |
2020-11
5864
1 전진
|
43980 |
델서버(R420) 재부팅 현상 (1) |
stone92김경민 |
2016-03 |
5864 |
0 |
2016-03
5864
1 stone92김경민
|
43979 |
HP Microserver Gen8에 제온 E3 CPU 사용중이신 분들께 문의드립니다. (2) |
zzangzw |
2014-07 |
5865 |
0 |
2014-07
5865
1 zzangzw
|
43978 |
아이콘이 이상해질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4) |
윤치열 |
2011-10 |
5865 |
0 |
2011-10
5865
1 윤치열
|
43977 |
iPod Touch 2세대 해킹하신분 계신가요? (5) |
정은준 |
2009-01 |
5865 |
2 |
2009-01
5865
1 정은준
|
ECC 기능은 메모리에 일어나는 오류(에러)를 정정합니다..
PC는 이 기능이 없고 보통 하루나 몇일에 한번 껐다 켰다 하기에 그리고 요즘 메모리 품질이 좋기에 ECC 기능이 필요 없다고 하지만
서버는 보통 한번 키면 몇달 단위 아니면 몇년 단위가 넘어가기에 그리고 문제가 발견되어도 함부로 끌 수가 없는 경우도 있기에
ECC 기능은 일종의 보호기능으로 꼭 필요합니다..
Reg 메모리 모듈은 같은 종류의 일반 메모리 모듈보다 용량이 크고 메모리 용량을 키우기 위해 만들어진 기능입니다..
그 외 파워의 이중화 (리던던트 파워) 같은 것이 있고 일반적으로 서버 부품은 3~5년을 풀로 돌려도 문제가 없게 끔 각 부품이
PC에 비하여 롱라이프 부품으로 구성되기에 가격이 올라갈 수 밖에 없습니다..
PC에 비해 서버 시스템은 메모리나 CPU 그리고 PCIe 레인이 갯수가 크기에 대용량 서버스에서는 PC가 감당 못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그 외 PC로 꾸미고 사용하는 것은 다 좋은데 PC 부품을 써서 이런 문제가 발생했고 피해가 났다라고 하면 누가 책임져야 할까요??
조립 서버 써도 이 벤더 서버 안썼다고 책임 물리는 경우가 있기에 결론적으로 보면 책임 문제가 재일 큽니다..
부품 관련 문제로 피해가 발생 했을 시 '서버'용 완제품으로 구매해야 제조사에 책임을 물을 수 있는 구조인가요?
물론 무상보증기간도 따로 있습니다..
계약에 따라 움직이며 장애 발생 신고 후 몇 시간 이내 아니면 몇 일 이내 엔지니어가 출동해서 문제 해결하는 경우도 있고
바꿔 줄 부품만 배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https://i.dell.com/sites/csdocuments/Legal_Docs/ko/kr/dell-emc-prosupport-for-enterprise-sd-ko.pdf
DELL 사의 문서입니다..
부품 관련 문제로 피해가 발생 했을 시 '서버'용 완제품으로 구매해야 제조사에 책임을 물을 수 있는 구조
==> 문제가 되서 법정 소송까지 가던지 하면 모를까?? 이런 것은 일반적이지 않습니다..
조립서버 같은 곳은 보통 무상서비스 기간내 (요즘은 보통 2년) 고장난 부품을 교환해주는 것이 다 입니다..
그것도 언제까지라는 확답은 없고 부품이 있거나 구해지면 이라고 봐야 합니다..
PC 용 부품은 일반적으로 무상 보증기간이 1년입니다..
그리고 고장났다고 사람 불러서 고치는 것이 아니고 고장난 부품을 AS센터에 접수 시켜서 거기서 조치 받습니다..
교환할 부품이 없거나 AS가 안되면 그것이 해결될 때까지 마냥 기다려야 합니다..
그리고 진짜 서버 운용하면서 문제를 최소화 하려면 (문제가 안나는 서버는 없다라고 생각합니다..) 서버나 IDC 센터의 이중화나
재해재난센터를 구축해야 하고 데이터 백업및 리스토어도 재대로 해야 합니다..
서버 CPU가 계속 발전해 오면서 1개의 물리적 CPU에 대한 CPU코어 갯수는 계속 늘어왔으며 1개의 물리적 CPU의 전기 먹는 양은
계속 커져 왔습니다..
1개의 코어가 전기 먹는 양은 줄어들었을지도 모르겠네요..
평범하게 예측할 수 있는 내구성 기대값이 같다고 해도.
데스크탑 보드에는 서버에 필요없는게 많이 붙어 있습니다 물리적 부품도 그렇고 펌웨어도 그렇죠...
낭비기도 하고 잠제적 리스크이기도 합니다.
옛날같이 뻑하면 하드웨어고 소프트웨어고 오류나 에러생길일도 별로없고 고급제품으로 조립하면 안전성도 크게문제없구요
이게 네트워크를 타고 서버에 들어가서 서버의 상태를 확인해 볼 수 있고 (온도 모니터링 / 에러로그 등등)
서버를 원격지에서 껐다 켰다가 가능하며
원격지 컴퓨터에서 OS를 설치 가능하고
서버에 따라 리모트 콘트롤로 바이오스와 펌웨어 업데이트나 복구가 가능합니다..
이 기능은 여러 대의 서버를 관리하는데에 있어서 상당히 편한 기능으로
벤더인 HP 나 DELL 에서도 명칭은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같은 기능이 부여되어 있습니다..
서버가 몇십대 넘어가면 혼자서 관리가 안되기 시작하는데 이 기능을 쓰면 많이 편리해집니다..
다중작업에 적합한지는 시퓨 스레드 개수랑 OS에 달린 문제지 서버용 보드인가 아닌가랑은 별게의 문제입니다 (서버용 보드도 최하급 제온 (아직도 쿼드입니다)같은거 박으면 4/8밖에 안 됩니다)
ECC가 필수인지는 무슨 서버 돌릴지에 달린 부분입니다
다만 신뢰성과 안정성, IPMI같은 서버에만 제공되는 기능은 대체할 수 가 없죠
리셋 버튼이나 간단한 부트로더 옵션 하나 주러 몇백km쯤 운전 1,2번만 해주면 진절머리가 나요
근데 여럿이 같이 쓰는 회사 물건이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검증 안되고 보증 없는 걸로 했다가 문제 생기면 담당자가 독박 씁니다. 이리 불려가고 저리 불려가고 시달리게 되죠.
대부분 회사들은 인건비 아낄려고 서버관리를 서버 좀 아는 직원한테 부가업무(?) 형태로 시키는데, 여기 시달렸다가 자기가 해야 할 본업무 못하게 되고요.
추가로 메모리도 서버용 registered가 데스크탑용 unbuffered보다 비싸면서도 속도 느립니다. (많이 느린건 아니지만)
그게 크리티컬한 서비스의 경우라면 엄청난 차이죠.
일단 시퓨와 메모리 성능은 괜찮아요 어중간한 서버보다는 성능은 월등합니다. 안정성도 뭐 파워 좋은거 갖다 붙이면 10년이상 써본 결과로는 무난했던거 같습니다.
단점이라면 익스프레스 대여폭과 슬롯문제인데 이게 너무 부족합니다. 서버처럼 레이드카드도 달리고 10G 네트워크도 달리고 추가 NVME나 플래쉬메모리도 달리고 하면 PC계열은 그때부터 시퓨성능 낮은 서버보다도 더 후달리게 됩니다. 확장성은 서버나 웍스테이션쪽보다는 확실히 뒤떨어집니다.
나머지는 서버보드에 붙은 원격관리 기능들 같은건 안정적으로 문제만 없다면 몇년에 한번 쓰기도 힘들겁니다.
쿨링 같은것도 서버가 월등하게 설계가 잘되어 있고 PC쪽은 뭐 별도로 케이스 쿨러 좋은 모델로 바꾸지 않으면 열받을때 고민좀 할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