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를 구축할 때 왜 일반 PC는 안되는걸까요?

AJDH2824   
   조회 6024   추천 0    

24/7 특정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 필요 조건이

1. 절대적으로 안정적일 것

2. 전력 소모량이 비교적 낮을 것

3. 다중 작업에 적합할 것

등으로 이해하고 있었는데, 회사에서 DAU 10~30 정도 나오는 서비스를 운영 중이고 여태 말도 안되는 형식으로 운용해오다가

이번에 AWS 또는 서버를 별도로 구축하기 위해 이것 저것 알아보는 중입니다. 결론적으로 일반 PC가 서버용에 부적합한 이유는 내구성 및 안정성이 떨어져서 시스템 신뢰도가 낮기 때문이라고 알고 있었는데 그럼 메인보드와 PSU등의 부품을 내구성 위주로 빌드업 하면 되지 않을까? 라는 의문이 계속해서 떨쳐지지가 않네요.

결국 ECC Registered을 쓰기 위해 서버 또는 워크스테이션을 써야하나 싶은데, ECC Unbuffered 메모리를 쓰는 것조차 서버운용에 크리니컬한 부분일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2-05
메모리에서

ECC 기능은 메모리에 일어나는 오류(에러)를 정정합니다..

PC는 이 기능이 없고 보통 하루나 몇일에 한번 껐다 켰다 하기에 그리고 요즘 메모리 품질이 좋기에 ECC 기능이 필요 없다고 하지만

서버는 보통 한번 키면 몇달 단위 아니면 몇년 단위가 넘어가기에 그리고 문제가 발견되어도 함부로 끌 수가 없는 경우도 있기에

 ECC 기능은 일종의 보호기능으로 꼭 필요합니다..

Reg 메모리 모듈은 같은 종류의 일반 메모리 모듈보다 용량이 크고 메모리 용량을 키우기 위해 만들어진 기능입니다..

그 외 파워의 이중화 (리던던트 파워) 같은 것이 있고 일반적으로 서버 부품은 3~5년을 풀로 돌려도 문제가 없게 끔 각 부품이

PC에 비하여 롱라이프 부품으로 구성되기에 가격이 올라갈 수 밖에 없습니다..


PC에 비해 서버 시스템은 메모리나 CPU 그리고 PCIe 레인이 갯수가 크기에 대용량 서버스에서는 PC가 감당 못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그 외 PC로 꾸미고 사용하는 것은 다 좋은데  PC 부품을 써서 이런 문제가 발생했고 피해가 났다라고 하면 누가 책임져야 할까요??

조립 서버 써도 이 벤더 서버 안썼다고 책임 물리는 경우가 있기에 결론적으로 보면 책임 문제가 재일 큽니다..
     
AJDH2824 2022-05
답변 감사합니다! ECC Registered 메모리는 만약의 경우 오류가 발생했을 때를 대비해서 필요로 되겠네요.
부품 관련 문제로 피해가 발생 했을 시 '서버'용 완제품으로 구매해야 제조사에 책임을 물을 수 있는 구조인가요?
          
박문형 2022-05
보통 크리티컬한 서버의 경우 벤더 서버제조사와 사용자 혹은 유지보수회사와 유지보수 계약을 맺습니다..

물론 무상보증기간도 따로 있습니다..

계약에 따라 움직이며 장애 발생 신고 후 몇 시간 이내 아니면 몇 일 이내 엔지니어가 출동해서 문제 해결하는 경우도 있고

바꿔 줄 부품만 배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https://i.dell.com/sites/csdocuments/Legal_Docs/ko/kr/dell-emc-prosupport-for-enterprise-sd-ko.pdf

DELL 사의 문서입니다..



부품 관련 문제로 피해가 발생 했을 시 '서버'용 완제품으로 구매해야 제조사에 책임을 물을 수 있는 구조

==> 문제가 되서 법정 소송까지 가던지 하면 모를까?? 이런 것은 일반적이지 않습니다..



조립서버 같은 곳은 보통 무상서비스 기간내 (요즘은 보통 2년) 고장난 부품을 교환해주는 것이 다 입니다..

그것도 언제까지라는 확답은 없고 부품이 있거나 구해지면 이라고 봐야 합니다..


PC 용 부품은 일반적으로 무상 보증기간이 1년입니다..

그리고 고장났다고 사람 불러서 고치는 것이 아니고  고장난 부품을 AS센터에 접수 시켜서 거기서 조치 받습니다..

교환할 부품이 없거나 AS가 안되면 그것이 해결될 때까지 마냥 기다려야 합니다..


그리고 진짜 서버 운용하면서 문제를 최소화 하려면 (문제가 안나는 서버는 없다라고 생각합니다..) 서버나 IDC 센터의 이중화나

재해재난센터를 구축해야 하고 데이터 백업및 리스토어도 재대로 해야 합니다..
박문형 2022-05
2번 3번은 제가 볼 때 조금 이해가 안됩니다만

서버 CPU가 계속 발전해 오면서 1개의 물리적 CPU에 대한 CPU코어 갯수는 계속 늘어왔으며 1개의 물리적 CPU의 전기 먹는 양은

계속 커져 왔습니다..

1개의 코어가 전기 먹는 양은 줄어들었을지도 모르겠네요..
isaiah 2022-05
쓰자면 쓸수 있겠지만 구지요..

 평범하게 예측할 수 있는 내구성 기대값이 같다고 해도.
 데스크탑 보드에는 서버에 필요없는게 많이 붙어 있습니다 물리적 부품도 그렇고 펌웨어도 그렇죠...
 낭비기도 하고 잠제적 리스크이기도 합니다.
     
AJDH2824 2022-05
잠재적 리스크일수도 있겠네요. 생각하지도 못했는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ocarina 2022-05
본인이 책임을 져도 괜찮다면 강력히 주장해볼수도 있겠죠.
     
AJDH2824 2022-05
문제 발생 시 책임 소재 여부에 따라 많이 나뉘겠네요. 좋은 답글 감사합니다!
행복하세 2022-05
남한테 돈을 받는 상업용은 상용제품이 좋으나 그냥 회사홈피 개인블로그 잠깐 멈춰도 크게 손해없는곳은 개인 제품도 괜찮습니다
옛날같이 뻑하면 하드웨어고 소프트웨어고 오류나 에러생길일도 별로없고 고급제품으로 조립하면 안전성도 크게문제없구요
박문형 2022-05
서버에서 DDR3 메모리 사용하는 서버부터 IPMI 2.0 (iKVM) 이 적용되었는데

이게 네트워크를 타고 서버에 들어가서 서버의 상태를 확인해 볼 수 있고 (온도 모니터링 / 에러로그 등등)

서버를 원격지에서 껐다 켰다가 가능하며

원격지 컴퓨터에서 OS를 설치 가능하고

서버에 따라 리모트 콘트롤로 바이오스와 펌웨어 업데이트나 복구가 가능합니다..

이 기능은 여러 대의 서버를 관리하는데에 있어서 상당히 편한 기능으로

벤더인 HP 나 DELL 에서도 명칭은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같은 기능이 부여되어 있습니다..

서버가 몇십대 넘어가면 혼자서 관리가 안되기 시작하는데 이 기능을 쓰면 많이 편리해집니다..
방o효o문 2022-05
기능성보다는 당연히 책임소재문제입니다 윗분들이 다 설명해주셨네요
dateno1 2022-05
전성비에서 서버용 딱히 유리한점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잘 안 쓰이는 부분도 들어가기땜에 복잡해져서 더 먹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다중작업에 적합한지는 시퓨 스레드 개수랑 OS에 달린 문제지 서버용 보드인가 아닌가랑은 별게의 문제입니다 (서버용 보드도 최하급 제온 (아직도 쿼드입니다)같은거 박으면 4/8밖에 안 됩니다)

ECC가 필수인지는 무슨 서버 돌릴지에 달린 부분입니다

다만 신뢰성과 안정성, IPMI같은 서버에만 제공되는 기능은 대체할 수 가 없죠
     
AJDH2824 2022-05
서버군 제품에만 지원되는 기능을 고려하지 않았었네요ㅠㅠ 만약의 경우까지 고려했어야 했는데 좋은 부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dateno1 2022-05
서버가 바로 옆에서 돌아갈땐 IPMI/AMT (KVM) 그닥 쓸모 없는데, 저 멀리 있으면 필수에요

리셋 버튼이나 간단한 부트로더 옵션 하나 주러 몇백km쯤 운전 1,2번만 해주면 진절머리가 나요
박문형 2022-05
+100
흑기사 2022-05
개인이 서버 굴리고 싶다면 pc로 서버 굴려도 아무 문제 없습니다. 데탑보드로 1u 개인서버 조립해서 idc에 넣고 돌리고 있는데 아무 문제 없으니까요.
근데 여럿이 같이 쓰는 회사 물건이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검증 안되고 보증 없는 걸로 했다가 문제 생기면 담당자가 독박 씁니다. 이리 불려가고 저리 불려가고 시달리게 되죠.
대부분 회사들은 인건비 아낄려고 서버관리를 서버 좀 아는 직원한테 부가업무(?) 형태로 시키는데, 여기 시달렸다가 자기가 해야 할 본업무 못하게 되고요.

추가로 메모리도 서버용 registered가 데스크탑용 unbuffered보다 비싸면서도 속도 느립니다. (많이 느린건 아니지만)
Qsup 2022-05
0.5%의 장애확률을 0.3%로 낮추기 위함입니다.
그게 크리티컬한 서비스의 경우라면 엄청난 차이죠.
술이 2022-05
PC로 서버 쓰는데 많이 아쉬웠던점은...
일단 시퓨와 메모리 성능은 괜찮아요 어중간한 서버보다는 성능은 월등합니다. 안정성도 뭐 파워 좋은거 갖다 붙이면 10년이상 써본 결과로는 무난했던거 같습니다.
단점이라면 익스프레스 대여폭과 슬롯문제인데 이게 너무 부족합니다. 서버처럼 레이드카드도 달리고 10G 네트워크도 달리고 추가 NVME나 플래쉬메모리도 달리고 하면 PC계열은 그때부터 시퓨성능 낮은 서버보다도 더 후달리게 됩니다. 확장성은 서버나 웍스테이션쪽보다는 확실히 뒤떨어집니다.
나머지는 서버보드에 붙은 원격관리 기능들 같은건 안정적으로 문제만 없다면 몇년에 한번 쓰기도 힘들겁니다.
쿨링 같은것도 서버가 월등하게 설계가 잘되어 있고 PC쪽은 뭐 별도로 케이스 쿨러 좋은 모델로 바꾸지 않으면 열받을때 고민좀 할겁니다.


QnA
제목Page 3509/5708
2015-12   1677338   백메가
2014-05   5143151   정은준1
2014-09   5864   MikroTik이진
2012-12   5864   HEUo김용민
2015-03   5864   ADUS
2012-08   5864   김건우
2006-05   5864   이윤성
2008-05   5864   이성호
2017-07   5864   장동건2014
2006-02   5864   김대성
2006-02   5864   한성준
2012-05   5864   김은택
2011-10   5864  
2008-03   5864   문정준
2006-04   5864   김건우
2005-12   5864   한성확
2017-04   5864   수필처럼
2020-11   5864   전진
2016-03   5864   stone92김경민
2014-07   5865   zzangzw
2011-10   5865   윤치열
2009-01   5865   정은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