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7346 |
0 |
2014-05
5267346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2322 |
25 |
2015-12
1792322
1 백메가
|
103439 |
OTG 마이크로USB충전하면서 USB기기들 쓰기 (9) |
나파이강승훈 |
2016-02 |
25200 |
0 |
2016-02
25200
1 나파이강승훈
|
103438 |
2u 샷시 택배거래 해보신분 있나요? (6) |
Nikon |
2013-07 |
5738 |
0 |
2013-07
5738
1 Nikon
|
103437 |
[질문]HP-ML150_G6 에 WinXp 가 설치가능한지요? (7) |
이종현 |
2010-07 |
8967 |
0 |
2010-07
8967
1 이종현
|
103436 |
장터발 아프로텍 lte 라우터 사용법 질문요~~ (12) |
kallos |
2023-09 |
2905 |
0 |
2023-09
2905
1 kallos
|
103435 |
VMWARE에서 가상머신의 인터넷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3) |
서울I김동수 |
2013-07 |
8243 |
0 |
2013-07
8243
1 서울I김동수
|
103434 |
netgear 스위치를 자석으로 붙여도 괜찮을까요? (11) |
달광이 |
2023-09 |
2211 |
0 |
2023-09
2211
1 달광이
|
103433 |
부품 질문 글입니다. 2번째.. (10) |
김제연 |
2020-09 |
2582 |
0 |
2020-09
2582
1 김제연
|
103432 |
[ TIDAL ] 뮤직비디오 재생시 네트워크 속도 (4) |
전설속의미… |
2017-02 |
5841 |
0 |
2017-02
5841
1 전설속의미…
|
103431 |
이 CPU가 ES인지 QS인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9) |
이옴 |
2019-06 |
5724 |
0 |
2019-06
5724
1 이옴
|
103430 |
2CPU 컴조립중 답답해서 질문드립니다 (20) |
딩굴이 |
2016-03 |
5936 |
0 |
2016-03
5936
1 딩굴이
|
103429 |
유저분들의 시스템온도는 얼마인가요? (2) |
하우디자인 |
2010-08 |
8507 |
0 |
2010-08
8507
1 하우디자인
|
103428 |
아랫글과 비슷한질문입니다. 메일관련 (5) |
보노보노 |
2018-05 |
3547 |
0 |
2018-05
3547
1 보노보노
|
103427 |
시롤로지 나스를 외부에서 하드처럼 (10) |
무쏘뿔처럼 |
2020-09 |
5473 |
0 |
2020-09
5473
1 무쏘뿔처럼
|
103426 |
34 UWQHD 와 32 QHD중에 어느것이 가독성이 더 좋은지 궁금합니다. (6) |
남경림 |
2022-03 |
2948 |
0 |
2022-03
2948
1 남경림
|
103425 |
시스템 구성 문의드립니다 (23) |
Uinx |
2023-10 |
2359 |
0 |
2023-10
2359
1 Uinx
|
103424 |
open VPN Client 자동로그인 방법있나요? (3) |
거니네 |
2013-07 |
14943 |
0 |
2013-07
14943
1 거니네
|
103423 |
혹시 C타입 허브로는 QHD 듀얼 모니터 출력이 안되나요???? (6) |
Landa |
2023-10 |
3341 |
0 |
2023-10
3341
1 Landa
|
103422 |
크루셜 rma 해보신분 계신가요. (2) |
김상목 |
2016-03 |
4555 |
0 |
2016-03
4555
1 김상목
|
103421 |
UEFI 마더보드에서 우분투(13) 부팅되지 않는 문제 (5) |
포우 |
2013-08 |
45858 |
0 |
2013-08
45858
1 포우
|
103420 |
Single Thread Rating 차이가 뭘까요? (4) |
죠슈아 |
2016-03 |
7066 |
0 |
2016-03
7066
1 죠슈아
|
그냥 단순하게 인터넷안된다고 방문as요청하세요.
이리저리 해보라면 난 할줄모른다등등으로 무조건 방문as받으면 기사분나오셔서 자기네 전산실로 한마디만 하면 다 풀립니다.
감사합니다. KT는 가끔 불러서 as 를 받아야 하는 것 같애요..
새로고침 누르고있으면 사라집니다.
좀 치니까 지금은 멀쩡해요. 감사합니다.
https 사이트 위주로 통신하거나, 최상위 라우터단에서 특정 IP/포트를 차단하면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한걸로 알고있습니다.
저는 후자로 사용중인데, 윈도우 VM 7개+ 물리 컴퓨터 5대 물려도 문제 안생기는거 보면 잘 작동하는듯 합니다
걸려서, 다음이나 네이버로 바꾸라고 해서 바꾸니
없어졌어요 현재...최상위 라우터단= Kt 와이파이 공유기?
여튼 공유기 직접 접속해서, ip 차단 기능이 있는것은 확인했는데,
ip 넣으면 에러 뜨네요..검색해보면, kt 공유기 쓰면 잘걸린다고..ㅠ.ㅠ
티피링크 쓰던 거 있는데, 바꿀까 말까 .. 고민 중..
감사합니다. 정보
PC는 세팅하고 자주자주 하드웨어 변경하는 편이고,
PC를 제외한 스마트기기까지 합하면... 음... 30대가 넘는데 24시간 켜놓는건 10대가 안되네요.
아랫분 의견처럼 가상화 OS 쓴다고 한번 해보심이...
1577 - 0621 여기가 담당 부서라네요...
워낙에 자주 바꿔서 그런가...
SKBB의 케이블 인터넷이나.. 기타 각종 SO들의 케이블 인터넷만 단말 제한을 하지 않는 걸로 알고 있는데.. 부럽군요. ㅎㅎ
3년전인가 동네서 1가빗 망 kt 광고해서-- 기사가 옥상에 광케이블 깔고 늘려서 집까지--
여튼 --기가빗 쓰는데,
설마 다른 통신사들도 기가빗 서비스는 다 할 것 같은데, 딴 통신사 어떤지 궁금하네요.
사설 공유기 넣고 거기서 차단 뜨는 ip 주소 차단하던지
고객센터 전화해서 계속 걸린다고 하시면 아마 PC많이 사용한다 할텐데
pc한대만 쓴다고 하고 테스트 한다고 Vmware 나 VirtualBox 쓴다고 이야가 해보세요 ..
희안한게, 본체하고 서브 합쳐 2대가 랜선서 작동중이있는데, 과거 이리 저리
쓰던 pc들이 기록에 남아있는듯..
내일 쓰는데 별일 없으면, 놔두고, 또 뜨면, 전화해서 아우성치고,
안돼면 통신사 이참에 바꿀 생각입니다. 3년이나 써줬는데..바꿀때도 된듯..
참고로 밑의 해제던가 버튼을 누르면 젤 오래된 미사용중인넘을 기록에서 삭제하면서 되긴하는데, 너무 자주 반복하면 이조차 안 먹음
그러니까 특정 시간 내에 윈도우 OS에서 웹서핑을 하는 PC가 몇 대인지 파악하는거라서, 인터넷을 쓰더라도 NAS에서 토렌트 돌리는 경우라던지 스마트폰으로 웹서핑을 하는건 동시 사용 PC로 카운트하지 않습니다.
원래 목적이 사무실이나 영업장 등에서 가정용 회선을 쓰는걸 막으려는거다 보니까 그런 구조로 돌아갑니다.
위의 분들 말씀처럼 아예 통신사를 바꾸는게 아니면
그냥 상담해서 풀어달라고 하시고 웹서핑하는 PC를 지정해두고 쓰시면 대수 제한에 걸릴 가능성이 줄어듭니다.
이외에 프록시 서버(Windows 제외!) 구축해두고, 이쪽으로 접속하게 모든 클라를 설정해둬도 없어집니다
2-3분 껏다가 다시 키면 리셋되는지 더 이상 안뜨네요..
약관상 PC 2대입니다.
1. KT 기가비트가 광케이블로 가정에 들어오는데. 일단 모뎀
이 모뎀에는 wan 라인하나를 뽑아서, 공유기 (2기가-5기가 겸용)로 연결
이 유무선 공유기에 wan선 말고 대개 4포트가 있습니다.
2. 회선 추가를 탐색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공유기에 꼽은 포트 에서 시작하니,
이 포트에 많은 랜선을 꼽고 동시 사용시 디텍트 될 것으로 추정.
3. 특히 주의하셔야 할 것이,
메인 시스템이 상시 공유기 한 포트와 랜선으로 연결 되어있는데,
모니터와 메인의 파워가 통상 멀티탭에 꽂혀 있고, 메인 시스템 전원을 꺼도,
멀티탭 전원은 켜지 상태이면, 한 포트를 상시 사용하는 것으로 됩니다.
(실지로 쓰지 않아도, 전원이 연결된 상태면 on..)]
--> 해서 멀티탭자체를 끄거나, 연장해서 스위치를 달아서, 완전 전원 차단해야함.
=========
4. 기본적으로 가정용 기가비트는 2pc 일일 용량이 150기가 까지 입니다. 이를 초과할
시 100메가로 다운 됨.
용량 체크의 기준 시간은 매일 24시 자정입니다.
랜포트가 살아있는 것,이 2개를 초과 하지 않도록 (동시에)
사용하실 것.
5. 많은 경우 무선 와이파이로 pc나 노트북 핸드 펀을 사용하실 텐데,
거의 안잡히지만,
pc의 경우 와이파이 5기가 접속으로 하면, (아마도 qos 용량체크때문인지)
칼같이 한 포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체크 됩니다. 해서
무선은 그냥 2기가로 쓰세요.
조금만 신경 쓰시면, 회선 추가 피해갈수 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