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모니터와 인텔 내장 그래픽 과의 호환성 문제 있을 수 있는일일까요?

SLALqHD   
   조회 7591   추천 0    

Spec.

Intel 12세대 i3-12100(Intel UHD 730 내장 그래픽) / DDR4 3200MHz 8GB(4G x2) / Gigabyte H610M-S2H Rev 1.3 메인보드. DVI, HDMI, DP, D-SUB 단자.

마이크로닉스 클랙식 II 정격500W 파워 / 970EVO PLUS 250GB NVMe SSD


 위 사양으로 지인 PC를 오늘 조립하고 윈도우 세팅까지 아무 이상없이 잘 마쳤습니다. 그런데 제가 윈도우 설치 하고 업데이트까지 마무리할 동안

아무런 문제가 없었고 PC를 가지러 왔을 때도 부팅해서 간단한 설명 하면서 정상 작동 하는것 까지 확인하고 가져갔는데

자기집에서 쓰는 TV 겸용 50인치 모니터( HDMI 단자 3개만 있습니다. )에 연결하니 처음에는 화면이 멈춘다 하고 나중에는 화면은 정상적으로 잘뜨는데

이제는 일정 시간 지나면 한 번 씩 깜빡 거린다고 합니다. 새 PC 말고 이전에 쓰던 PC(그래픽 내장인지 외장인지는 모르겠습니다.)랑

노트북, 크롬캐스트랑 연결하면 이상이 없다고합니다. 제가 처음 세팅할 때는 DVI 포트에 연결해서 윈도우설치, 드라이버 설치, 업데이트 다했고

이상 있다고 해서 다시 본체 들고 왔을 때는 HDMI랑 RGB 단자밖에 없는 다른 모니터 HDMI 단자에 연결 해서 확인했는데 이상이 없습니다. 

차이가 있다면 이상이 발생하는 TV 겸용 모니터는 UHD 해상도 60Hz 이고 제가 사용하던 모니터는 전부 FHD 해상도라는 점입니다. 

혹시나 해서 제 모니터랑 연결했던 HDMI 케이블도 같이 주면서 다시 확인 해보라고 했는데 증상이 같다고 하니 미칠 노릇이네요.

본인도 HDMI 케이블 몇개 가지고 있다고 해서 교체 해봤는데 제가 준거까지 전부다 증상 나온다고 합니다. 

그래픽 드라이버도 보드 제조사인 기가바이트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은거 그래도 설치 했고  CPU 내장그래픽, 메인보드 스펙도 4K 60Hz까지는 지원

가능하다고 되어있습니다. 

12세대 이다보니 바이오스 세팅도 무조건 UEFI 부팅으로 설정하고 시큐어 부트도 비활성화 해둔상태인데 뭐가 문제인지 감이 안오네요.

1. 실 시용자가 가지고 있는 케이블 제가 준 케이블이 전부다 UHD 60Hz는 지원 안되는 저가형 케이블이다.

2. HDMI 단자 출력이 정상 범위까지 안되는 불량이다. 

3. CPU 내장 그래픽 불량이다. 

4. 모니터와 메인보드 혹은 CPU 내장 그래픽과의 호환성이 안맞다.

5. 윈도우 설치가 잘못됐다. 

이정도로 추측 해보는데  솔직히 4번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아주 오래전 일이지마 특정 회사 모니터가 한 때 단자 관련 호환성 문제 있었던 걸로

기어하는지라... 근데 또 다른 장비 하고 물리면 아무 이상 없다하니 환장하겠네요.

일단 본인이 윈도우 새로 설치 해본다고는 하는데 제가 윈도우 설치할 때 알 수 없는 파일 오류가 있었던거라면 다행인데

그게 아니면 참.. 뭘 더 해봐야 될지 .. 혹시 관련 이슈에 관해 알고 계신 회원님 계실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PCMaster 2022-05
HDMI 2.0이상 케이블 필수입니다.
일단 부자재부터 요구사항을 충족한 뒤 테스트를 해야 정확하게 답이 나올듯 합니다.
깜빡거리거나 리플레쉬가 멈추거나
전부 재생률 미스매치에서도 나올 수 있는 현상입니다.
     
프리머스 2022-05
HDMI 버전이 상관 있으려나요? 더 구형인 PC에서도 이상이 없다하고 노트북 HDMI 단자도 의외로 1.4 규격이 많기도 하고 1.4 버전도 주사율 차이는 있지만 UHD
해상도는 지원 하는데 영상 재생시 프레임이 부드럽지 못하거나 한다면 모를까 바탕화면 에서 깜박이는 문제는 다른 문제일 것 같은데 특히나 본인이
기존 사용하던 장비들과는 아무 문제가 없다고 하니...
일단 2.0 버전 케이블인지 여부를 알 수 없을테니 바꿔서 해보라고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박문형 2022-05
https://namu.wiki/w/HDMI

HDMI는 TV쪽에서 나온 규격이고 버젼이 올라갈수록 전송대역폭이 커집니다..
          
술이 2022-05
UHD 30Hz 여도 2.0 케이블 필수입니다. 제가 그렇게 썼었어요. 1.4 케이블 썼더니 화면이 안잡히거나 깜빡이며 끊어지는 문제를 일으킵니다.
흑기사 2022-05
fhd 60Hz 로 낮춰서 잘된다면 케이블 문제.
hdmi 케이블 버전은 외형으로 구분 못합니다.
12세대면 hdmi 2.0 되는걸로 알고 있는데.
     
프리머스 2022-05
HDMI 버전 문제는 아닐거라 생각은 합니다만 해상도를 낮춰서 테스트 해보라고는 해야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박문형 2022-05
HDMI가 어찌 보면 저런 문제로 DP보다 까다롭습니다..

TV에 DP가 있으면 DP로 연결해 테스트해보셔도 되고요..

HDMI든 DP든 어느 이상 규격과 품질이되는 케이블이 필요한데

현재 재일 돈 적게 들여서 테스트 가능한 것은 그나마 케이블입니다..

보드 의심해서 보드 다른 것으로 바꿀려면 아마 보드 또 구매해야 하실텐데 쉬운 일이 아닙니다..
     
프리머스 2022-05
네,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TV에는 DP 단자가 없어서 변환 케이블이라도 써보라고 했는데 그건 또 이상하게 고집을 부리면서 안하네요. 일단 해상도 낮추니
깜빡임 사라졌다하고 케이블도 만원이 넘는 2.1버전 8K 지원한다는 걸로다가 바꿨는데 빈도의 차이만 있지 깜빡임은 생긴다하고 그래서 해상도 낮춰서
그냥 쓰겠다 하더군요.
깜빡임 문제는 해결됐는데 문제는 사용 안하다가 일정 시간 지나고 부팅 할 때면 모니터 연결 안됐을 때 나는 비프음이 생긴다고 하네요. ㅎㅎ
그래서 그냥 사용 중인 모니터가 좀 지랄 맞다로 일단 결론은 내렸습니다.
이 문제는 최근 보드들 모니터 연결안하고 부팅하면 비프음 내거나 간혹 젠더 연결해서 부팅 하면 비프음 나는 거랑 같은 소리던데 쓰면서
본체에 무리가 가거나 하는게 아니라 그냥 쓰라고 했습니다. 하~어렵네요 컴퓨터란 놈..
술이 2022-05
HDCP 지원되야 하는데 이거때문에 AMD가 빡쳐서 HDCP 소프트웨어로 만들었다고 하네요. 케이블 문제로 엄청 문제를 많이 일으켜서 만든거라고 합니다.
케이블 전송에 문제가 있으면 감지해서 자동으로 낮추게 하는거라고 하네요.
은근 DP나 HDMI 케이블 문제 많이 일으킵니다. 이거 몰랐는데 저도 몇번 경험해보니까 증상이 바로 나오더라구요. 중간중간 화면이 깜빡 거리던가 뭐 그러드라구요.
     
프리머스 2022-05
저도 맨날 사용하는 모니터가 FHD 해상도밖에 안되는 것들만 쓰지만 그래도 저가형 케이블은 피하려고 하는데  케이블 하나 고르려 하면 진짜 은근
시간 많이 잡아 먹네요.  제품 정보가 상세한 편도 아닌 경우가 많고 지원된다고 했는데 막상 연결하면 안되는 경우도 있고..
그냥 맘편하게 어느정도 가격 나가는 케이블 쓰는게 그나마 제일 나은것 같습니다.  케이블 바꿨는데도 빈도 차이만 있지 깜빡 거린다하고 해상도 낮추니
괜찮다 해서 그냥 해상도 낮춰서 쓰기로 했답니다. ^^
프리머스 2022-05
답글 주신 모든 분들이 케이블을 제일 우선 순위에 두시네요.  저도 직접 사용하는 모니터들 케이블은 죄다 DP이고 HDMI는 케이블 고를 때 시간 많이 할애 하는
편이긴 합니다. 2.0 규격 확인 되는 케이블로 바꿔서 다시 테스트 해봐야 겠네요. 답변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악마라네 2022-05
특정모니터와 호환성 문제도 없지 않습니다.

DP로도 말썽 부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TV라면 케이블 탓이 더 클것 같습니다.
     
프리머스 2022-05
케이블 돈 좀 들여서 바꿨는데도 바꾼거 까지 합쳐서 전부다 빈도 수 차이만 있지 깜빡 거린다하니 케이블 문제는 아닌거 같습니다.
해상도는 낮추니 괜찮다고 하더라고요. 그냥 TV 호환성 문제인가 보다 하고 그냥 쓰기로 했다고 하네요.
김우진 2022-05
제가 최근에 HDMI 케이블 문제로 시행착오 좀 했습니다. 제품 설명에 HDMI v2.1 지원한다고 되어 있는 3천원대도 케이블 썼더니 화면이 계속 깜박거리고 지직거리고... 반면에, 케이블 단자에 '8K'라고 크게 써있으면 일단 시작이 8천원 이상인데, 이걸 쓰면 모든 문제가 해결되더군요.
     
프리머스 2022-05
저도 만원 넘는 케이블로 구해서 줬는데 여전히 깜빡인다고하네요^^;; 대신에 다른 케이블 보다는 확실히 깜빡 거리는 시간이 확 줄었답니다.
깜빡 거림, 화면 깨짐 해결됐다는 후기도 확인하고 나름 케이블 쪽 인지도도 있는 회사 제품인데도 그렇다하니 케이블 문제는 아니라고 결론지었습니다.
제온프로 2022-05
저는
1번에 투표 합니다

HDMI 케이블.. 비싼 케이블 안 샀을 것 같아요..
     
프리머스 2022-05
케이블 나름 가격 좀 있는 걸로 바꿨는데도 똑같다 하네요.  빈도수만 틀릴뿐이고... 해상도 낮추니 괜찮다고 해서 그냥 그렇게 쓴다고 하네요^^
일반유저 2022-05
다른 경우이기는 합니다만, 저도 인텔 내장VGA와 모니터의 호환성 문제를 겪은 적이 있네요.

예전에 i3-3225 쓸 때 중소기업 HDTV 수신 19인치 모니터를 연결한 적이 있는데, 희안하게도 인텔 내장으로 HDMI 연결을 하면 화면이 안나오던 적이 있습니다. (윈도우에서 인식은 하는데 화면만 안나옵니다)

그런데 외장 VGA의 HDMI에 연결하면 화면이 잘 나오더군요.


PS. D-SUB(아날로그)로 연결하면 인텔 내장으로도 화면 잘 나옵니다.^^
     
프리머스 2022-05
이런 경우 둘 중 어느게 문제가 있다고 해야할지 참 고민입니다. 저도 아예 이런 일을 안겪은 건 아니지만 웬만하면 케이블 바꾸면 해결됐는데
그것도 아니고... 서로 가지고 있는 장비 물리면 아무 이상 없으니 참 환장할 노릇이네요 ㅎㅎ 실 사용자는 본인 구형 컴, 셋탑 물리면 이상 없는데
이번 본체만 그렇다하고 저는 제가 가지고 있는 모니터 3대 다 물려보면 심지어 젠더로 HDMI 연결했는데도 이상이 없고...
차이라면 모니터 1대: 3대의 장비 1대의 장비: 다수의 모니터 그리고 모니터의 해상도와 사이즈인데 TV 겸용 50인치다 보니 이걸 들고 와봐라 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
해상도 낮추니 문제 안나타난다 하는데 부팅 하면 모니터 인식 못하는 비프음 나면서 부팅 된다고 하니 돌겠네요 ㅋㅋ


QnA
제목Page 552/5729
2014-05   5258489   정은준1
2015-12   1783319   백메가
2014-05   3682   임종열
2020-03   2699   거니스트
2009-04   11450   MemDB
2016-10   4551   e5472
2020-03   3236   딥마인드
2021-07   2028   무아
2016-10   7012   cyan
2021-07   3601   산골농부
2009-05   8437   딸기대장
2016-10   4398   안성현
2017-10   5483   김윤술
2024-12   1358   osthek83
2014-06   4346   나파이강승훈
2016-10   7565   광령리농부
2014-06   4115   이지포토
2016-10   5218   엔진엑스
2017-11   5099   Tu7885
2015-10   5670   Dreamer
2019-02   11859   가상화공부중
2015-10   4438   변사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