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절전 모드 해제시 HDD 인식 불가

akfalles   
   조회 5216   추천 0    

i7-12700 

기가바이트 B660M DS3H D4 

윈도우즈11 사용 중입니다.


문제는 최대 절전 모드 (pc 전원을 끈 것처럼 꺼지는 상태. 팬/LED 등도 모두 멈춤) 에 들어갔다가 해제시 연결된 HDD들을 인식 못합니다.

장치 관리자에서 보면 아예 탈착된 것처럼 사라짐.

다른 장치들은 이상 없고 하드디스크만 그렇습니다.


마더보드 바이오스 전원 관리 설정 문제인가 싶어 보드 유통사(제이씨현)에 전화 문의 했는데 보드 쪽에는 그런 전원 설정 옵션이 없다네요.

구글 등에서 검색해보니 보드 바이오스를 업데이트 하고 보드 제조사에 문의 하라네요. (;; 어쩌라는거...)


혹시 어떤 문제인지 알 수 있을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제온프로 2022-06
윈도우가 하드들을 제대로 관리
목하는 것 같습나다.
버그리스트 확인해보세요.
페치나 업데이트가 있으면 해 주세요.
신형 윈도우 쓰려면 이런 베타테스트
자원봉사는 1년쯤 하셔야 합니다.
지금까지 매번 그래왔던 것처럼.

계속 보고되는 문제들을 하나씩 하나씩 수정하다 보면 어느 수준 이상의 안정적인 OS가 되죠..
수고 많으싶니다.
불타는SAM 2022-06
저의 경우에는 sata 케이블 or 외장하드의 경우 usb 케이블의 문제였던 적이 있습니다. 참고하십시오.
딥한 레벨의 절전 모드를 쓸수록 조립 컴퓨터들은 이래저래 문제가 있습니다
대기업 데탑이나 노트북 같은 완성형으로 하드웨어 조합 + 소프트웨어 양자 모두 맞추어서 테스트 검증되어 나오는 거 아니면
어느정도선에서 포기해야 되죠
WOL 기능도 공유기나 랜카드의 선택에 따라 비슷 합니다......T T
akfalles 2022-06
일단 보드쪽 보다 윈도우즈나 케이블 쪽의 문제일 수 있다는 말씀이시네요. 참고하겠습니다.

제 pc가 아니라서 확인은 힘든데, 일단 윈도우즈 업데이트는 따로 막지 않았으니 아마 자동 업데이트로 최신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sata 케이블도 당장 교체 여건은 안되고...

그냥 당분간 절전 모드는 쓰지 말라고 해야겠네요.
원래 노트북을 쓰던 친구라 절전 모드가 습관화 되어 있어서...

의견 감사합니다.
박문형 2022-06
문제가 되는 하드 모델들이 무엇인가요??

절전 기능 재대로 안되는 하드 모델들이 있습니다..
akfalles 2022-06
도시바 N300 4TB 모델입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8038456
박문형 2022-06
저도 3개 사용중인 모델인데 저는 최대 절전 같은 것은 안하는지라.. (그래도 대기모드 정도는 잘 돌아가고 있습니다..)

만일 가능하시다면(구매하지 마시고 어디서 빌리던지 가지고 있던지)  IBM /히타치 하드로 테스트 해보세요..

그리고 최대 절전이란 것이 어디까지 절전하는 것을 말하나요??

아마도 S1~S7 절전 모드가 있을텐데 S3까지는 대략 다 지원되지만 그 이상은 보드나 파워 둘다 지원하고 검증되야 동작할 것입니다..

옛날에 그래서 파워는 지원 못하는 경우가 많아서 신형보드일 경우 S3 까지만 지원하게 (S4~S7까지는 디세이블하게) 막는 바이오스 메뉴가 있었습니다..

이게 심각한게  보드만 최대 절전 가면 파워는 지원 못해서 컴퓨터가 켜지지 않는 문제가 생겼었습니다..

조립 컴퓨터에서 호환 문제는 항상 일어나는 것인지라 차근차근 확인해보고 지원 안되면 과감히 포기하는게 나을 수도 있습니다..
Qsup 2022-06
바이오스에서 AHCI 항목에 핫플러그 Enable 되어있나요?
akfalles 2022-06
파워는 요 모델입니다.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풀체인지 800W 80PLUS 230V EU
http://prod.danawa.com/info/?pcode=13934516

방금 유선으로 확인해보니 하드는 2개 사용하는데 각각,
도시바 N300 4TB,
웬디 퍼플 4TB (모델 불분명. 검색해보니 WD40PURZ, WD40PURX 둘 중 하나일 것 같습니다. 대략 4년 전 구입) 입니다.
이 중 웬디 퍼플은 절전 모드 해제시 정상적으로 깨어나는데, 도시바 N300은 깨어나지 못한다고 하네요.
일반적인 사용에는 둘 다 문제가 없고, hd tune SMART 상태도 모두 정상.

절전 레벨은 잘 모르겠습니다.
따로 제어판 전원 옵션이나 바이오스 설정에서 건드린건 없고, 그냥 윈도우 시작 버튼 > 시스템 종료 위에 있는 [절전]을 누르는 식인데,
해당 [절전]을 누르면 본체 팬/LED 등이 모두 꺼지고 하드디스크도 멈춘다고 합니다.
겉으로 봤을 때 전원을 끈 것과 같은 상태라고 하네요.
마우스나 키보드를 건드리면 다시 살아난다고 하고요. 바로 화면이 뜨는건 아니고 약간 시간이 걸림.

ahci 핫플러그 옵션이 있었는지는 기억나지 않는데, 아마 ahci 옵션이면 왠만한건 enable 하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박문형 2022-06
https://download.gigabyte.com/FileList/Manual/mb_manual_600series-bios_e.pdf?v=bfa5eee853800ace94e292edd59e60cf

메뉴얼 12페이지 C-state control 이 절전과 관련된 바이오스 셋팅입니다..

이건 건들 필요없을 듯하고요..

메뉴얼 18페이지 SATA Configuration  에서

SATA Port DevSlp 이 메뉴가 하드를 슬립 모드로 하게 할지 말지 하는 메뉴이므로 이것은 인에이블하고

Hot Plug 메뉴도 인에이블 해두세요..


이렇게 해도 도시바하드가 계속 문제가 되면 도시바 하드는 절전모드나 절전모드가 깊게 들어가면 하드 플레터 모터를 세우는 기능이 없다라고 봐야 합니다..

아니면 바이오스 버그 일수도 있고

마더보드와 도시바 하드가 서로 호환성이 안맞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박문형 2022-06
akfalles 2022-06
자세한 추가 설명 감사드립니다.
일단 링크대로 설정 해보고 안되면 그냥 절전 모드는 쓰지 말라고 해야 겠습니다.
사실 데탑은 굳이 절전 모드 안써도 창 내리고 모니터만 꺼두면 별 문제 없을거 같고요.
제온프로 2022-06
BIOS 는

Legacy Bios 와
UEFI Bios 로

변경됬습니다.

하드드라이브도
MBR 과 GPT 로 변경됬습니다. 기술은 발전하고 새로운 기술과 고용량을 받아줘야 하니까요 ?

그래서 하드드라이브를 부팅 하드로 설치하려면..

부팅 장치를 만들 준비가 된 USB Boot 드라이브도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위의 USB는 UEFI와 MBR이 모두 준비되어 있는 것이군요.
설치 하고자 하는 하드드라이브는

UEFI  // MBR  무슨 방식으로 설치 하실 것인지..
지금 그 화면에서 결정하여.. 들어가서.. 하드에 설치하고 나와야 합니다.. 감쪽같이..
의도한데로 설치하고..
의도한데로 부팅합니다.. 감쪽 같이..
제온프로 2022-06
--
질문글을 그리 쉽게 지우시면 어떻게 하나요..
한참 쓰고 있는데.. 지우시면..
제온프로 2022-06
(질문글)  윈10 설치시 usb 부팅 옵션 (uefi, usb) 차이가 궁금합니다.
akfalles



윈10 설치시 위 스샷과 같이 바이오스 usb 부트 옵션 (UEFI, USB) 차이가 궁금합니다.

일단 UEFI와 USB 각각 바꿔가면서 윈10 설치해 봤는데 뭔가 차이는 모르겠습니다.

검색해봐도 딱히 관련된 내용은 못찾겠네요.



보드는 애즈락 z77-exteme4-m

부팅용 usb는 샌디스크 usb,

c드라이브는 마이크론 ssd mx500 입니다.
콩박사 2022-11
안녕하세요! 저도 원글 작성자님과 동일한 모델의 HDD를 사용 중인데 같은 문제가 있어서 혹시 해결하셨는지 문의 드립니다...!


QnA
제목Page 2592/5707
2014-05   5138343   정은준1
2015-12   1673018   백메가
2006-12   4944   천희승
2017-06   4944   주황별
2007-06   4944   권용섭
2012-01   4944   최창현
2007-06   4944   최창현
2016-05   4944   stones
2006-10   4944   노하석
2014-03   4944   이정동
2007-06   4944   조명진
2006-11   4944   이재선
2015-08   4944   삐돌이슬픔이
2016-10   4945   이사무엘
2016-02   4945   이건희
2016-01   4945   DOOWON
2015-11   4945   미니TM
2008-10   4945   손석우
2006-06   4945   이상열
2007-12   4945   송화식
2016-08   4945   박철
2015-11   4945   한가한이수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