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 랜섬웨어방지책 도움부탁드려요

나라뜨   
   조회 2334   추천 0    

다니는 회사에서 랜섬때문에 고생이라 여러 대응방안을 구상해보고있는데요, 몇가지 구상중에 모르는점이 있어서 질문드려요

SD카드같은경우 읽기전용으로 만들어주는 스위치가 달려있는데,

SSD나 HDD등을 하드웨어적으로 읽기전용을 만드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이를 도킹스테이션에서 지원하는경우 없을까요?

-

VHD와 자식VHD를 git이나 svn같이 유연하게 버전관리할수있는 방법 없을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송지만 2022-06
솔직히 백업만이 살길이죠...
슬픔이 2022-06
디스크 리드온리나 볼륨리드온리 해보세요
epowergate 2022-06
C-Drive를 RO로 바꾸면 부팅도 못합니다.  EventLog  저장도 못하겠죠

Shadow Copy등으로 보호를 하긴하는데
요즘 랜섬워어가 똑똑해서 GIT/SVN/Network Drive 등으로 보호한 파일들도 다 찾아서 감염시킵니다.
예를 들어서 1) 매일 새벽 1시에 2) 시놀로지에 연결해서 Network Drive 만들고, 3) 변경파일 복사하고, 4) Network Drive 끈고
등으로 하면 안전할꺼 같지만 랜섬웨어가 이거 찾아서 다 감염시킵니다.

회사에서 필요하다면
1. 예산 확보 (경영진의 정확한 의도 파악 가능)
2. 정해진 예산에서 할 수 방법 도입
만이 방법입니다.
경영진 입장에서는
"뭘 어떻게 하면 어떤 효과가 있는데 그러려면 예산이 얼마나 필요한지 검토해서 보고해" 라고 할겁니다.
그럼 실무자들이 여기저기 기웃거리면서 나름 방법이라고 찾겠죠
그러는 사이 시간 지나고, 피해복구는 어느 정도 끝나고,  경영진은 돈쓰기 싫고, 다 까먹구 그냥 예전으로 돌아가라고 합니다.
그러면서 직원들한테 조심하라고 협박하죠
     
나라뜨 2022-06
하드웨어적RO디스크에 부모VHD를 두고, 쓰기용 다른디스크에 자녀VHD를 두고, 백업시마다 일시적으로 RO를 해제한 후 부모VHD에 자녀VHD의 변경사항을 병합한다 라는 구상을 했습니다.

불가능한 점이 있나요?
          
epowergate 2022-06
보안의 비용은 단순히 돈 뿐만 아니라 업무 생산성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모든" 직원이 그런식으로 작업을 해야 한다고 했을때 생산성이 얼마나 떨어질지 고민해야 합니다.
새로오는 직원에게 업무 방식도 교육해야 하고
결국 지키지 못하는 업무방식으로 빠질 가능성이 너무 높습니다
               
나라뜨 2022-06
꼭업무적인게 아니더라도 개인적으로 사용하고싶기도 해서용
     
나라뜨 2022-06
또는 하드디스크를 vhd로 만들고 외장하드에 넣으려는데, 용량한계가 있으니 버전관리를 도입할수 있었으면 해서요
          
epowergate 2022-06
그냥 EDM 도입하시면 어떨까 합니다
물론 좋은건 비싸긴 합니다

원점으로 돌아가서
결국 예산이 결정합니다
병따개님 2022-06
zfs나 btrfs의 스냅샷을 이용 해보는 건 어떨까요?
슬픔이 2022-06
매일 데이터 백업 + 7일 시스템백업
1달분량 보관하고 잇는데 ssd 와 hdd 에 증분 백업 하고 있습니다.
겨울나무 2022-06
직원 교육이 우선해야죠. 조심만 하면 윈도우 디펜더 조차 비활상화하고 보안업데이트 끝난 os 사용해도 랜섬웨어 걸리질 않습니다.
WORM 스토리지가 가장 제격일것 같습니다
박문형 2022-06
일이 많아지겠습니다만


주기적인 독립장치에 의한 3차 백업 : 백업후에는 무조건 네트워크 끊어둠

퇴근시 무조건 컴퓨터 끄기 : 만일 가능하면 일반 사무용 컴퓨터용 네트워크는 퇴근시 물리적으로 끊어두기

주기적인 백신 검사

개인 사용 프로그램 금지 : 개인이 이것저것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것만 해도 위험이 많이 줄어듭니다..
Dreaday 2022-06
앱체크 무료 깔고 ..여태까지 걸려본적 없습니다 ..
무지무지 2022-06
1.보안인식 교육 반복적으로 하시는거
2.컴퓨터 스팩이 괘안타면 랜섬웨어 방지솔루샨(앱체크) 사용
3.서버 및 데스크탑 백업(아크로니스 클라우드 백업) 사용
술이 2022-06
UAC와 NTFS 보안권한을 적절히 이용하면 어느정도는 방어가 됩니다. 그리고 윈도우10이라면 보호할 폴더를 제어된 폴더 액세스 기능을 이용하는거죠. 이기능만 이용해도 랜섬웨어 전부 차단됩니다. 해당 앱을 사용하지 않는한 데이터 수정 자체를 할수 없으니...

그런데 보안을 강화하면 답답해서 못쓰겠다고 편한데로 쓰다가 망치는거 다 알고 있는데 무슨 대책을 세우라느니 뭐하라느니 사람이 문제지 기계가 문제가 아니죠.
도메인가입하고 정책내리고 솔직히 90일마다 암호바꾸는거 하나요? 큰기업이나 공공 빼고는 안할걸요. 아주 기본적인 보안조차도 안하는데 과연 랜섬웨어 방어대책 내놓은다고 한들 잘 따라줄런지...
임상현lsh 2022-06
그냥 외장 저장장치 구해서 날자별로 백업하고 분리해놓는게 속편합니다.
허어 2022-06
시놀 ABB 로 백업하시고 2차로 시놀 폴더를 또 스냅샷복제 하시면 보다 안전할겁니다


QnA
제목Page 542/5730
2015-12   1791022   백메가
2014-05   5266090   정은준1
2023-05   2537   inquisitive
2023-04   2537   AplPEC
2020-02   2537   쿵짝쿵짝
2019-12   2537   김제l김용환
2019-12   2537   Rayi
2020-04   2537   강프로
2021-07   2537   이현석1
2021-06   2537   Psychophysi…
2022-09   2537   이민우에요
2019-12   2537   푸른나무아…
2024-07   2537   leesh2143
2018-11   2537   Psychophysi…
2020-01   2537   리키파울러
2023-05   2537   시공의폭풍
2023-04   2538   Larry
2023-09   2538   pumkin
2022-03   2538   미프
2023-09   2538   ArtsRommel
2022-10   2538   NANDROID
2021-12   2538   니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