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커 전기 많이 먹나요? (사운드 바)

   조회 6534   추천 0    

이번에 어댑터 구매해서 살려낸 LG SH5인데

사운드 바는 60W * 2, 우퍼 200W 해서320W라고 써있는데 실제 전기를 얼마나 먹을까요? 


세탁기나 건조기 돌리는 횟수 차이가 있어서 정확하진 않지만

평소보다 집에서 2KW/하루 더 먹어서 대기모드도 안들어가게 뽑아놨는데

오디오가 기본적으로(?) 전기를 많이 먹는지 궁금합니다.





https://www.expertreviews.co.uk/lg/1405113/lg-sh5-review-a-brilliant-soundbar-for-under-200



딸 넷 아들 하나 아빠 (큰 딸, 작은 딸, 왕큰 딸, 암 뭉뭉이, 수 뭉뭉이) - minimonk.net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Isaac 2022-06
앰프 타입에 따라 다릅니다.

Class A (혹은 AB) 는 거의 표기된 소비 전력이 상시라고 보시면 되고,
Class D는 대기전력은 낮다가 출력이 올라갈수록 소비전력이 올라가는 편입니다.

위의 정보로만 가지고는 정확하게 뭐라고 하기가 어렵네요^^;;
     
구차니 2022-06
서브 우퍼는 나무라 그런지 열이 안느껴지는데 사운드 바는 좀 뜨뜻하더라구요. (안쓰더라도)
power inspector가 있었는데 아부지 빌려드렸나 안보이네요 ㅠㅠ
Kaos 2022-06
소리 출력에 관련된 부분이구요.
소비전력은 따로 표기되있을겁니다.
https://www.lg.com/uk/speakers-sound-systems/lg-SH5
여기 잘 나와 있네요.
스피커만 22W, 서브우퍼 33W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구차니 2022-06
일단 어댑터는 25V 1.62A 인가 그랬던걸로 기억을 합니다.
서브우퍼는 220V 직접 연결되는애라(액티브 서브우퍼 + 무선) 200W 출력이라도 별도로 먹지만..
사운드 바는 60W * 2 출력인데
오디오쪽은 투입되는 전력대비 출력 효율이 좋은지 40W 전기 먹고 120W를 출력 낼수 있나 보네요.
          
Isaac 2022-06
그럼 아답터 최대 소비전력 (25 X 1.62) 를 소모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적게 전기 먹고 많이 출력되는거 보니 Class D 앰프 쓰는듯 합니다
               
구차니 2022-06
입력값보다 높은 출력이라니..D class 앰프가 그래서 좋은가 보네요?
열로 인한 손실 고려하면 입력된 전류보다 높은 출력으로 나올거라고는 생각을 못했어요.
                    
Isaac 2022-06
Class D 앰프가 전기적인 효율은 좋습니다.
다만 음색적인 측면에서 너무 디지털?적이다라고 싫어하는 분들도 있죠^^:;
                         
구차니 2022-06
남자라면 진공관이죠 (응?)
일단은.. 55인치 UHD 샘숭 TV 스피커랑, LG 사운드 바랑 소리가 비슷하면서도 다른 느낌을 느껴보고 있습니다.
볼륨 키우면 같은것 같으면서도 중저음 차이때문인지 헷갈리네요.
언넝 붕붕 거리는 영화를 틀어봐야겠습니다.
                         
박문형 2022-06
https://www.youtube.com/watch?v=wUcJC_eEkr4
https://www.youtube.com/watch?v=7jzNqOZ6D54

진공관 오디오      = 매킨토시
붕붕거리는 스피커 = 탄노이 웨스트민스터

문제는 역시나 돈...
박문형 2022-06
전류 측정기를 붙여 실시간으로 확인하는게 재일 확실합니다..

얼핏 보기에 330W 는 피크치 로 생각됩니다..
     
구차니 2022-06
P.M.P.O 아닐까 싶었는데 외국 사이트에서는 RMS라고 써있어서 좀 의아해 하고 있습니다.
아무튼.. 티비를 켜놔서(영화 본다고..) 전기가 더 먹은건지 스피커 때문에 더 먹은건지 궁금한긴 하네요
측정기가 없어져서 하나 다시 사던가 해야겠습니다. 하하하
spndisk 2022-06
저건 아마 최대 출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최대 출력으로 쓰지 않거나 대기 상태라면 저정도로는 쓰지 않을겁니다..
제가 사용하는 앰프의 소비 전력도 1160w라고는 하지만 실제로 사용해도 100w정도로 먹더라구요.
     
구차니 2022-06
RMS가 아니라 PMPO 라면 그럴거 같긴 합니다.
그래도 RMS 라면.. D 클래스가 100% 효율(이론상) 이라곤 하지만 입력값 보다 더 큰 출력이라 믿음이 안가긴하네요
PMPO에 한표를 걸어 보겠습니다.
NaN 2022-06
스피커 출력과 소비전력은 관계가 아예 없는것은 아니지만 소비전력을 측정하는데 계산하기엔 좀 부족합니다.
아답터 전력을 최대치로 잡고 사용하시는 정도에 따라서 0.8이나 보정값정도를 실 소비전력으로 계산하시면됩니당
     
구차니 2022-06
전기의 W와 소리의 W가 단위기호만 같지 다른 의미를 지닌다고 봐야 할까요?
          
NaN 2022-06
네 기준이 되는 값이 다른거라 기호의 차이는아니구요
기준의 차이입니다.
스피커에 출력해주는 증폭된 출력과 앰프회로사 사용하는 소비전력의 개념은 좀 다릅니다 (power consumption)
어떤회로냐에 따라서도 다르기때문에 스펙을 확인해보시는게 중요할것 같습니다.
보통 제조사에서 소비전력 표기를 하는 경우도 있는데 그런경우엔 해당값을 맥스로 잡으시면 됩니다
무아 2022-06
(스피커+앰프)가 사용하는 에너지는 소리 에너지로도 나오지만 대부분 열 에너지로 나옵니다.
300w 정도 에너지를 연속적으로 소모한다면 어마무시하게 열이 날겁니다.
우리가 직관적으로 잘 알고 있는 CPU나 그래픽카드의 전력 소모 300W 짜리? 공랭으로 못하고 수냉 쿨러 달아야 될 겁니다.
사운드바가 따땃해지는 수준이라면 20W도 안먹는 걸 겁니다.
     
구차니 2022-06
그냥 티비와 사운드 바를 오래켜놔서 그런걸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주말에 신나게 영화를 보고 다음날 고민을 다시 해보려고 합니다


QnA
제목Page 1792/5723
2014-05   5228858   정은준1
2015-12   1755845   백메가
2022-01   6470   VSPress
2005-11   6470   김건우
2005-03   6470   김우중
2006-03   6470   최원식
2010-10   6470   김건우
2012-03   6470   마이코코
2005-05   6470   장승식
2011-08   6470   분당김동수
2010-11   6470   최종헌
2005-05   6470   고재용
2005-03   6469   안창준
2013-07   6469   김연희
2015-01   6469   오준호5
2011-09   6469   방o효o문
2005-03   6469   전재민
2008-03   6469   김동식
2006-12   6469   신현동
2021-03   6469   Pinnell
2008-12   6469   배정한
2005-05   6468   이승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