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업무 (CAE 해석) 워크스테이션을 구매해야되는 상황입니다.
각 가격대별 효율적인 사양의 선택 방향이 어떤 건지, 어떤 메이커가 좋은지 등 고민인 부분이 많아서 질문드립니다.
일단 현황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① 개별 팀원(CAE해석 업무 담당)이 사용하는 컴퓨터는 Z440, T5820 (CAD/전처리용으로 지급된 컴퓨터). 간단한 해석용으론 사용됨
② 일반적인 CAE Solving으론 사내 슈퍼컴 사용중
③ 사업부 내 s/w(Altair Optistruct/radioss) local license를 구매함. 이들을 이용하고자 팀내 계산용 워크스테이션 필요
④ 해석분야는 구조/충돌/다물체 동역학 (자유도는 10~100만 사이, 다만 job의 수량이 많아 동시 solving이 되면 좋음)
⑤ 향후 딥러닝/머신러닝 사용할 가능성 있으나, 최고 우선순위는 아님 (알고리듬 개발보단 활용할 가능성 높고, 슈퍼컴 사용 가능)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최대 예산은 4천만원 가량이나, 가능한 2천만원 언더에서 구매 진행하고 싶은데 2천, 3천, 4천 가격대에서 구매가능한 스펙은 어느정도인가요?
(2천이냐 4천이냐에 따라 결재 난이도가 달라서.. ㅠㅠ)
② 세부 스팩 우선 순위
RAM/하드야 거거익선일테고, 대용량 SSD 장착은 필요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CAE는 기본적으로 대용량 RAM과 CPU가 필요한데, 요새 CPU 스팩을 보는 법을 잘 모르겠네요. HP Z8기준으로 어떤 CPU가 좋은건가요?
HP Z8 기준 그래픽 카드는 어느 정도 수준을 달아두는게 적당할까요?
예산이 한정된다면, 어떤 부품을 위주로 고성능을 달아야할까요?
③ 메이커별 차이
DELL/HP 중에서 추천할만한 메이커는 어느쪽인가요? (안정성/가성비 측면에서)
(타워 외형 디자인이나 그런건 별로 상관없습니다. 어차피 회사용이라..)
이것 꼭 써야 한다고 해도 좋지만 보통 문제가 생기면 제안한 사람이 독박을 쓰게 됩니다..
Z440, T5820 은 단종 모델로 알고 있습니다.. 회사에서 중고 구매해서 사용이 가능하신가요?? 유지보수, A/S 아무것도 안될텐데..
보통 저런 전문 프로그램은 그 프로그램 제조사나 총판의 기술영업에게 문의하면 거기에 맞추어서 인증된 컴퓨터 제조사나 기종 스펙을 알려줍니다..
제조사 홈페이지에 호환되는 시스템이나 시스템 사양에 대해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문 프로그램일수록 프로그램이 주가 되고 그에 따른 컴퓨터는 부가 되는(따라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옛날에는 무슨 프로그램 사면 (몇천만원 이상 억이 넘어가기도) 워크스테이션은 덤으로 주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실제 현장에서 재일 많이 사용하는 벤더 워크스테이션은 DELL 아니면 HP 인데 이것이 최고다 라는 절대적인 것은 없습니다..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결정되고 큰 회사의 경우에는 연구소장 / 상무나 이사진 /대표이사의 결정 (정치적인 문제가 되기도 하고 대신 문제 생기면
책임져야겠죠..)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리고 코로나 및 반도체 대란으로 인해 어느 회사 컴퓨터든 주문하면 최소 4개월에서 1년 정도의 딜리버리 타임이 필요합니다..
가격도 상황에 따라 그때그때 변화가 심하니 잘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① 회사 구매 이력에는 dell, hp가 모두 있습니다. 사내 구매 시스템 상에 등록을 해두고 구매 품의 진행하면 책임문제는 없어서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② Z440, T5820은 현재 각 팀원이 개인 PC로 사용하는 사양입니다. 신규 구매는 팀 공용으로 쓸 워크스테이션으로, Z8이나 DELL precision7920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③ S/W 업체에는 한번 문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④ 1억 언더 결재는 정치적 문제 등은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입니다.
공급에 그렇게 시간이 오래걸릴수도 있군요.참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컴퓨터 CPU는 코어 갯수 와 클럭 (속도)로 이루어진 것은 아실 것이고
오토캐드 같은 프로그램은 실제 작업 돌리면 CPU 코어 1개만 씁니다..
최신 시스템이고 시스템 코어가 50개가 넘어가네 해도 실제 돌리면 1개만 사용합니다..
이때는 코어 갯수가 많은 시스템보다는 코어 갯수가 적지만 CPU 클럭이 높은 시스템이 유리합니다..
프로그램 회사가 오래되고 그 프로그램 엔진이 옛날부터 넘어온 것일수록 그런 경향이 강합니다..
그 외에 유체해석 프로그램 류는 시스템 클럭보다 코어 갯수가 중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본래 업이 서버보드 팔고 고치는 일인지라 프로그램은 잘 모릅니다만
옛날에 저희쪽에서 판매한 시스템이 고장났다고 소비자가 들고 왔는데
1대 AMD 4way 64코어 시스템이였습니다..
프로그램은 자동차 유체해석 프로그램인데 프로그램 재대로 돌릴려면 128코어가 되어야 하는데 그때 시스템에서 1대 128코어짜리는 없었고
그나마 가격 저렴하면서 코어갯수 많은 시스템으로 2대를 구매해서 상 시스템을 인피니벤드로 연결 구성해서 사용하였던 것이였습니다..
문제는 프로그램이 재대로 안 돌아간다는 것이였죠..
문제가 있다는것은 어딘가 에러 메세지가 있다는 것이고 에러메세지 받아다가 제조사에 분석 의뢰 해보니까
인피니벤드 카드가 재대로 안돌아간다는 것이였습니다..
그래서 조치는 드라이버 업과 튜닝 아니면 카드 불량으로 판단 다른 회사 인피니벤드 카드로 교체였습니다..
그 외 Ansys 나 MatLAB 같은 프로그램들은 저런 클럭이나 코어갯수 가리는 편이 적어 보입니다..
사용하려는 프로그램 특징을 알아야 시스템을 어떤 방향으로 구성이 가능한데 그 프로그램 특징을 재일 잘 아는 것은
그 프로그램을 판매하는 사람입니다.. (정확히는 기술영업 담당하는 사람)
그리고 저런 프로그램은 컴퓨터 제조사와 서로 인증을 하여 우리 프로그램은 이런 저런 컴퓨터 제조사와 동작과 호환성을 보증한다는
인증을 해두는 경우가 꽤 있습니다..
https://www.2cpu.co.kr/lec/2084?&sfl=wr_name%2C1&stx=%B9%DA%B9%AE%C7%FC&sop=and
옛날 자료입니다만 인텔이 자기 CPU의 종류와 특성에 관해 정리한 것입니다..
워크스테이션 모델이 따로 존재 합니다.. 가격은 아마 재일 비쌌을 것입니다..
http://www.trinity-eng.co.kr/data/designImages/1623662290_CATEGORY1.pdf
참고요
왜 그럴까요??
그리고 시스템이 저성능 저가형이나 고성능 고가형이다 다 나오는데 (특별히 시스템 안가리는데) 라이센스 더 팔아먹기 위한 회사 정책일수도 있고
빨리 돌리는데는 물량 투입이 짱이야 라는 결론이 될 수도 있어 보입니다..
만일 1개의 모델만 선정해야 한다면 어느 정도 몇가지 모델을 선정해서 구매를 하던 데모를 받던 해서 BMT 해서 비교하면
좀 더 논리적인 답이 나올텐데 코로나 및 반도체 대란 문제 그리고 얼마나 급박하냐는 문제가 있기에 BMT 할 시간이 있을지 모르겠네요..
그 다음 세대는 개발중인데 자꾸 출시가 늦어지고 있습니다..
보통 서버/워크스테이션 CPU 는 판매 시작으로 부터 대략 3년 정도 판매하고 단종 발표하고 정리에 들어가는데
현재 DELL 이든 HP든 듀얼 CPU 워크스테이션에서는 아직 스케일러블 1/2세대 시스템이 판매되고 있고
스케일러블 3세대 시스템은 안보입니다..
이는 코로나와 반도체 대란이라는 문제가 가장 크다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외에 요즘 AMD 시스템에서 쓰레드리퍼 프로 CPU로 워크스테이션을 만드는데
몇 년 전에 레노버에서 발표하고 판매하였으며 DELL은 최근에 시스템 나온다고 소문이 돌고 모델명도 나왔습니다..
https://www.2cpu.co.kr/freeboard_2011/1522689?&sfl=wr_subject%7C%7Cwr_content&stx=dell&sop=and
HP는 아직 이야기가 없습니다..
소프트웨어 업체에선 검증된 연식이 지난 안정화된 시스템을
추천할꺼고 유저 입장에서는 신제품의 고가용성을 쓰려고 합니다.
선택은 유져의 몫이겠지요.
인증된 시스템을 쓰시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Hp나 dell lenovo 어떤것을 사용하셔도 될듯 합니다.
보통 2세대를 많이 사용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