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a 포트 불량을 테스트 할만한 방법이 뭐가 있을까요?

akfalles   
   조회 4465   추천 0    

제목처럼 마더보드 sata 포트가 좀 의심스러운 상황입니다.


일단 sata 포트별로 딱히 인식 문제는 없구요, 연결하면 바이오스나 윈도우즈 상에서 정상적으로 잘 보이고 잘 돌아갑니다.

문제는 이게 쓰다 보면 멀쩡하게 보여도 해당 드라이브를 클릭시 액세스 시간이 엄청 걸리거나 멈춰버리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혹은 아예 디스크가 사라져 있는 경우도 있다는거 같고요. (이 경우 재부팅하면 다시 돌아옴)

자주 그러는건 아니고 아주 가끔 그런다고 합니다. 


일단 의심가는건 

1. 파워 서플라이, 

2. 마더보드 sata 포트 불량 (연결된 HDD들을 액세스 하지 않으면 그 외 별다른 문제는 없다는 걸로 봐서), 

3. 과열로 인한 보드 칩셋 다운 3가지 정도인데. (케이스 발열 관리가 매우 안좋음. 케이스 팬 없음)


파워는 교체했고 누드 테스트 중이라 1,3번은 그렇다 치는데 2번이 문제네요.

곧바로 증상이 나타나는 것도 아니고 일반적으로는 문제 없다가 아주 가끔씩 그런다고 하니...

혹시 보드 sata 포트 불량을 테스트 할만한 방법이나 프로그램, 혹은 개인적인 방법이 있으시면 뭐든 괜찮으니 공유 좀 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만두와라면 2022-06
파워 sata 전원케이블 점검해보세요.
해당 증상들 전압불안정 때문에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는 하드 자체문제 (기판) 일 수도 있도요.
댕댕이 2022-06
엑세스 타임아웃되고 i/o 에러 뿜는 증상이 접촉 불량이 맞을 것 같은데
sata 포트 불량이거나 sata 케이블 불량으로 보입니다.
테스트 방법은
sata 케이블 교체 해도 동일증상 -> sata 포트 다른데 꼽아서 테스트 -> 다른 하드로 테스트
만약 하드 연결을 하드랙으로 연결해놨다? 그러면 하드랙 문제 100퍼입니다.
akfalles 2022-06
상황을 좀 더 부연하자면
보드는 애즈락 z77-extreme4-m (아이비 보드) 이구요. 윈도우즈용 ssd 마이크론 mx500
보드 내부 sata 포트는 총 8개가 있습니다. (z77 칩셋 sata3 2개, sata2 4개, asm1061 sata3 2개)
HDD는 2개를 썼는데, 특정 hdd만 그런게 아니고 둘 다 본문처럼 간헐적으로 인식 안되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sata 포트를 바꿔봐도 마찬가지

현재 위 HDD 2개는 다른 pc로 옮겨 놓은 상태구요,
2주 정도 됐는데 딱히 위의 증상은 없어서 일단 HDD 문제는 아니라고 판단 했습니다.
(그런데 애즈락 보드 에서도 길게 갈 때는 한달 이상 별 문제 없던 경우도 있어서 아직 좀 더 두고보기는 해야 할 듯 하네요)

게다가 옆 동네 커뮤니티들 (까만색, 감귤색, 기글 등) 찾다보니까 유독 애즈락 보드 sata 포트가 잘 죽는다는 말이 많더군요.
그래서 일단 sata 포트 쪽을 의심하고 있는 상황이긴 합니다.
일단 다른 문제 요인들을 다 교체하기도 했구요.

어짜피 다 들어내기도 했고 워낙 오래된 보드라서 딱히 아쉬운건 없는데,
sata 포트 불량 같은 경우 꽤 귀찮은 문제라 이왕 이렇게 된거 이참에 그냥 이것저것 해보려는 거죠.
파워 용량을 키워 보는게 해결책이 될 수도 있습니다
하드가 인식이 되다 안되었다 혹은 인식 되어도 중간에 사라지는 건 파워 부족에서 나오는 대표적 증상중에 하나입니다

파워 교체가 동일 용량으로 교체인지 용량을 늘인건지에 대한 정보가 없어서.......?
박문형 2022-06
몇 년 사용하셨고 파워 모델이 무엇인가요??

보드도 마찬가지이지만 하드는 파워가 좋아야 오래 갑니다..

보드의 SATA 테스트는 단시간에 유틸 딱 돌리면 불량이다 아니다 나오는 그런 툴은 없다고 봅니다..

그냥 하드 달고 계속 하드 스캔이나 채크하는 툴 돌리고 하드 상태나 에러 채크하는 프로그램으로 에러 떨어졌나 아닌가 채크하는게 다라고 봅니다..

이게 하루 정도가 아니고10일 1달 동안 장시간으로 계속 돌려봐야 답이 나올텐데 그렇게 할 수 없는게 현실이죠..

보드 계속 사용해야 한다면 보드의 SATA 포트 쓰지 않고 IT MODE의 레이드 카드 달아서 쓰는 방법도 있기는 합니다..
akfalles 2022-06
파워는 구형 fsp 아니면 안텍이었던거 같은데, 이미 교체한데다 10년 가까이 되서 정확한 모델명은 모르겠네요.

일단 보드 내장 sata 포트가 8개라, 만일 포트 문제만 아니라면 그냥저냥 자투리 하드 달아서 굴릴 수 있어서요.
sata 포트 갯수 때문에 써볼까 하는 거라 따로 확장 카드나 컨트롤러를 달아서까지 굳이 보드를 써야할 이유는 없구요.
어짜피 cpu도 i5-3470 이라...

조금이라도 포트 불량 같다는 느낌이 들면 그냥 깔끔하게 버리겠는데, 이게 영 원인이 애매해서...
그냥 경험이라는 생각으로 나름 이것저것 테스트 겸 돌려보고 있습니다.

일단 asm1061 2포트를 제외하고 칩셋 6개 sata 포트에 한번씩 ssd 연결하고 윈10을 설치해 봤는데, (총 6번 설치) 여기까지는 딱히 이상은 없네요.
제온프로 2022-06
이 정도의 문제는 윈도우 이벤트로그 보면 실마리가 보여요..

하드 문제 같습니다.

하드의 베드섹터 먼저 조사하고..
하드의 전원이 충분한지도 검사해야합니다.
파워가 불량해도 그런 문제가 나옵니다.
akfalles 2022-06
여러 말씀 감사드립니다.
하드 문제일 수 있다는 얘기에 곧바로 hd tune 오류 검사 slow 돌려 봤는데, 일단 다행이 둘 다 문제 없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보드의 경우 현재 os 설치 후 여분 하드를 포트 바꿔가며 꽂아서 전송률과 복사 테스트 중인데 아직까지 별다른 이상 증상은 보이지 않네요.
hdd랙 없이 직결 중이고 케이블도 모두 교체 했습니다.
그리고 제 경험으로 케이블이나 랙 커넥터 등 접촉 불량이면 거의 대부분 SMART 정보에 CRC 오류 수치가 기록되어 있던데, 기존에 쓰던 하드들은 체크해보니 CRC 에러 이력은 없네요.

아무튼 이전에 쓰던 파워가 문제의 원인이었던 것이 가장 베스트 상황인데... 정말 그랬으면 좋겠네요.


QnA
제목Page 3671/5704
2014-05   5121506   정은준1
2015-12   1656842   백메가
2014-10   4345   sprirea
2015-08   4345   차평석
2015-08   4344   테돌아이
2018-12   4344   손병호
2016-12   4344   r이승원r
2014-09   4344   차평석
2014-09   4344   윈도우10
2016-03   4344   2CPU최주희
2019-07   4344   고가네잡화점
2017-02   4344   새총
2014-04   4344   VSPress
2014-10   4344   김정달
2020-01   4344   깜박깜박가
2018-09   4344   이지포토
2014-05   4344   이원재K
2013-11   4344   김건우
2017-10   4344   김건우
2018-06   4344   김건우
2016-07   4344   허인구마틴
2017-06   4344   전직P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