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실 보수를 하고싶은데요.

   조회 1962   추천 0    

오래된 집에 살다보니 보수할 일이 많은데요.

욕실은 청소를 해도 금방 곰팡이도 슬고 관리가 쉽지않네요.

특히 구석에 틈새에 시공된 실리콘에서 곰팡이가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여기저기 떨어져 나가서 이젠 다 뜯어내고 다시 발라주려고 하는데요.

실리콘이나 다른 보수재도 마찬가지지만 일단 욕실을 쓰지않으면서 바짝 말리고 시공후에도 최소 24시간 습기 없는 상태로 놔둬야 하는데..

지금 여름이고 욕실 안쓰기도 힘들고 안써도 자체 습도가 높아서 시공하기 쉽지않을것 같은데요.

혹시 습기가 있는 상태에서도 시공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순간접착제 같은 경우는 습기가 있으면 더 접착효과가 좋아진다고 하는데요.

혹시 이런 욕실 보수 공사에서도 그런 특성을 가지는 접착제는 없을까요?

111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안철현 2022-06
실란트중에서 수중이나 습기가 있어도 사용가능한 실란트가 있습니다. 수중실란트로 검색해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AyIG8-BPCt8&ab_channel=%EB%85%B8%EB%9E%AD%EC%9D%B4%EB%B0%94%EC%9D%B4%ED%81%AC
김준유 2022-06
네... 어떤 걸 쓰더라도 ....
물기가 없는 상태에서 작업해야 합니다...
장마철엔 저 상태면 그냥 두었다가 가을 정도에 뽀송뽀송 할 때 코킹하세요...

너무 지저분하면 실리콘 제거하고  비닐 장갑이나 고무장갑 끼고 청소 깨끗하게 하고 ...
그 다음에 백시멘트 물에 섞은 후 잘 반죽하고 빈틈 얇게 채워 준 후 스폰지로 닦아 주면 됩니다...
장동건2014 2022-06
답변 감사드립니다.
일단 급하기도 하니 수중 실란트라는 것을 써보기로 하고 보수가 제대로 되지않는다면 가을 넘겨서 욕실 한 며칠 안쓰고 작업해야겠네요.
예전 백페인트 남겨논게 있어서...
     
김준유 2022-06
지금은 샤워 한 후에... 나 저렇게 습기가 많을 때는 고무헤라로    벽, 바닥을 쫙 긁어 주는게 봏습니다..
당분간은 곰팡이 제거 스프레이 약품 같은거 뿌려서 버티시고 가을이나 겨울로 공사를 미루시는 것도
요즘같은 장마철 습한 시기에 공사하시면 내년에 다시 공사해야 할 수도 있죠
CPU4 2022-06
곰팡이 부분은 락스를 뿌려두고 1~2시간후 솔 등으로 문지르면 깨끗하게 없어지더군요.
흘러내리는 물 타입 말고 약간 진득한 타입의 욕실용 락스제가 잘 나옵니다.
the촌놈 2022-06
실리콘을 재작업한다고 곰팡이가 안 생기는 거 아니죠. 잠깐 동안의 눈가림일 뿐.....
     
김준유 2022-06
쉿.....
          
안형곤 2022-06
ㅋㅋㅋ
항균 실리콘도 결국은 곰팡이 낍니다.
다만 곰팡이 생성이 더딜 뿐이지요,
근본적인 원인이 해결되지 않으면 해법도 없습니다.
               
김준유 2022-06
이 아찌들이 남의 밥줄 끊을려고....
어허 여기서 이러시면 안됩니다....
                    
the촌놈 2022-06
하하~~
김준연 2022-06
욕실의 실리콘과 줄눈 등의 곰팡이는 답이 없습니다. 그냥 여름에는 문 다 열어두어 습도를 낮추는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게 하고자 열심히 락스로 닦아내줘야만 합니다.
문현식 2022-06
욕실에서 샤워를 하고 나오시면 문을 바로 닫지마시고 스탠드 선풍기를 이용해서 말려버리세요. 그러면 곰팡이가 좀 덜 핍니다.
장동건2014 2022-06
잠깐 낮잠을 자고 온 사이 답변이 많이 달렸네요.
일단 정리해보니...
1. 틈틈이 문을 열어놓아 환기를 자주 시키고,
2. 약품을 이용해 한번 곰팡이 제거 대청소를 하고,
3. 일단 링크 걸어주신 수중 실탄트를 사용하여 시공하고,
4. 작업이 만족하지 않으면 올가을 넘어서 욕실 안쓰면서 대공사 하는 방향으로 계획을 잡았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영산회상 2022-06
곰팡이 락스 뿌리는 걸로 잘 안되면 희석하지 말고 휴지에 묻힌 상태에서 곰팡이 부분에 하루 정도 붙였다가 때면 잘 없어집니다.
대신 환기 엄청 잘 해야합니다... 안그러면 위험해요...
그냥 뿌려도 마찬가지....
파피푸페 2022-06
곰팡이가 생기는 원인은 습도와 온도 입니다.

온도야 어쩔 수 없다 쳐도, 습도를 관리해주셔야 하는데.

그러려면 무조건 환기 밖에 답이 없습니다.

환기가 잘 안되면, 공사를 하셔도 잠깐만 깨끗할 뿐입니다.
장동건2014 2022-06
아예 여름 지나고 할까 생각중입니다.
습도가 워낙 높아서 청소도 힘든데 자주 해주지 않으면 안될것 같아서...
좀 참고 건조해질 즘에 하는것이 효율적일것 같다는 생각도 드네요.
     
무쏘뿔처럼 2022-06
단독 또는 빌라인가요?
가능 하시면 환풍기 반대편 쪽 방향으로  급기구를 하부 설치 하면 좋습니다.
여름 벌레유입을 방지 하고 겨울철에 막음 조치 할 수 있는 구조로 하면 좋습니다.
아파트의 경우에는 어렵지만 단독이나 빌라의 경우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저희는 아파트이고 화장실이 가운데 있는 구조라 급기구를 만들 수 없어서 위에서 언급한 고무헤라로 샤워후 항시 물기제거 후 문을 살짝열고 환풍기를 24시간 가동 합니다.
그래도 조금씩은 생김니다.

https://search.shopping.naver.com/catalog/32746916118?&NaPm=ct%3Dl4xyvdjk%7Cci%3Dbf664e114e627b4c6dad68a7672880b091040c5f%7Ctr%3Daifc%7Csn%3D95694%7Chk%3De2cb8c2fb4c264e11ce0fb6be2c15f99c587dd79
          
장동건2014 2022-06
일단 지금은 문 안닫고 계속 열어두고 있는데 냄새가 많이 사라지고 습도도 내려간듯합니다.
저도 헤라 같은걸로 조치 좀 해봐야겠네요.
sosuksa 2022-06
저는 그래서 이사했어요...
술이 2022-06
욕실은 창문만 열어둬도 습하지 않고 곰팡이 잘 안생깁니다. 몇달에 한번씩 욕실세제나 락스 살짝 뿌리고 박박 밀어주면 깨끗하죠.
겨울에 춥다고 창문 닫아두는데 그러면 곰팡이 잘 생깁니다.
곰팡이 잘피는데 공통점이 창문을 잘 안열드라구요. 전 비올때 빼고는 엥간하면 공기순환 때문에 창문 열어두는편입니다.
장동건2014 2022-06
아주 추울때 빼고는 창문은 열어두는데 사이즈가 작아서 효과가 적은듯하여 환풍기를 달아줄까 고민중입니다.
     
김준유 2022-06
더 효율적인 방법은...
창문보다 천장위에서 외벽으로 타공하고 환풍기 설치, 자바라를 통해 외부로 빨리 습기를 배출해 내는 것입니다...
창문이 효율적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꽤 많은데.... 생각보다 안 빠집니다...
겨울철엔 창문을 통해서 들어오는 냉기로 매우 춥고.. 많이 불편합니다.

예전 수원 빌라였는데... 샤워만 하면 돔천장에 물방울이 맺혀 있고 문을 열었다 닫으면 압력차로 인해 천장이 들썩 거리면서 폭포수를 맞는 집이 있었습니다. 물론 창문도 있었지요... 창문 계속 열어두고 계시다고 했습니다... 그래도 조금 줄어들 뿐... 겨울철엔 열지 못하니... 폭포수가 득도 수준이었습니다...

다 필요 없고 천장 뜯어 내고 코어 작업해서 타공하고 환풍기 설치하고 .... 그러면서 전기배선 작업해 주고...
1주일 후 확인 전화... 이렇게 편한 걸 왜 진작 안 했는지 모르겠다고... 물방울이 생기지 않아서 너무 좋다고 ...
자연환기가 좋기는 하지만... 문명의 혜택을 누리는 것이 절대적으로 좋습니다.......
          
장동건2014 2022-06
환풍기가 확실히 효과가 좋군요.


QnA
제목Page 4942/5723
2015-12   1760346   백메가
2014-05   5233930   정은준1
2013-10   7563   luciddream
2013-10   13854   스팀팩마린
2016-04   4564   차평석
2018-06   4155   아름드리소…
2019-08   3543   이세규
2004-10   7387   이희원
2011-02   8540   김건우
2017-03   5673   느낌
2022-05   1548   청춘
2016-04   4139   무아
2011-03   8187   김상목
2024-01   1923   INMD
2004-11   7231   박종대
2007-07   5230   허진형
2007-07   7212   임민규
2020-11   3938   탁영길
2022-05   2473   제온프로
2024-01   2125   227skt
2011-03   7986   미수맨
2018-07   4065   두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