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불량섹터 발견시 교체 기준이 있을까요..?

   조회 1843   추천 0    

사진 보관 용도로 사용중이던 

시놀 NAS에서 불량섹터가 발견되었네요. ㅠㅠ 


구성은 raid5로 5개이고.. 그중 드라이브1에서 불량섹터가 발생했습니다.

불량섹터 발생즉시! 교체 하는게 맞나요? 아니면 좀더 있다가 바꿔도 되나요??


지금 계획은 비슷한 용량의 백업용 NAS가 따로 있어서 데이터 백업후 작업하려고 합니다. (근데 데이터량이 많아서 ㅠㅠ )

데이터 백업 완료후 -> 즉시교체가 맞겠지요...???


반갑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2-07
데이터 백업후 하드교체가 맞습니다만

아마도 더 사용하면 하드는 배드가 늘어나다가 불량 처리 될 겁니다..

그렇게 되었을 때 (하드 1개가 불량일때) 바꾸어 주어도 되기는 합니다만 배드섹터로 데이터 가 오염되거나 망가진다고 생각하신다면

데이터 백업후 빨리 교체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배드난 하드 아마 로우레벨 포맷하면 배드가 없어질 수도 있습니다..
     
이제껏 배드뜨면 바로 교체후 파쇄 했는데 ㄸㄷㄸ 이번엔 한번 로우레벨 포맷한번 해봐야겠네요...
          
박문형 2022-07
NAS 엔진이 배드섹터라고 감지하는게 논리적인 경우가 있기에 로우레벨 포맷을 해보라는 것입니다..

물리적인 배드섹터는 답이 없습니다..
epowergate 2022-07
배드섹터는 그 말대로 물리적인 섹터에 문제가 발생한겁니다.
Low Level 포맷 한다고 좋아지지 않습니다.
포맷 직후에는 감지를 하지 못하기 때문에 정상으로 돌아온것처럼 보일 수 있겠지만 절대로 고쳐지지 않습니다.
레이드란게 디스크 하드의 불량이 타 파트보다 꽤 나다보니 자료를 안전하게 유지하면서 디스크 하드만 교체해주기 위한 목적이
주요 설계 개념중에 하나죠
그래서  디스크 이상 발견시 바로바로 교체해주는게 개념에 충실한거죠
(다른 디스크 백업이 있으니 버티란 개념은 아니죠)
(스토리즈 업체에서 제조사에 따른 디스크 하드 초기 불량율 통계가 가능한게 아마 에러의 분석보다는 그런 단순한 컨셉에 충실해서 가능?)
문제는 레이드 시스템이라도 레이드 컨트롤러나 다수의 디스크가 동시에 나가는 상황은 고려가 없거나 부족하죠
이상있는 하드를 쓰면 다수의 하드가 동시에 나가는 상황이 발생할 확률을 올릴 뿐이죠
중요 자료를 담은 나스 시스템이고 나스 전체에 대한 백업이 없다면 일단 나스 하드는 교체하고 수상한 하드는 다른 곳으로 용도 변경.........
crow 2022-07
저의 경험상.. 베드 상황의 대처는.. 각각의 운영체제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물론.. 저의 작업 환경역시 80% 이상이.. 윈도우 계열로. 윈도우에선. 배드 생성시.. 빈번한 엑세스로 인해.. 즉각 하드의 물리적 데미지를 너무 심하게 준다는 부분도 있지만.. 윈도우 I/O 분석 처리로 인해 자원이 급격히 문제가 생깁니다.- 요게 더 스트레스임... // 맥 OSX는 이부분에 있어서.. 좀 여유로운 처리를 하는지 윈도우와 맥 운영체제 상황에선.. 차이가 심함을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즉.. 윈도우 계열에서. .베드 및 베드 이전의 미디엄에러가 급격히 증가하면.. 바로 데이터 백업 후.. 즉각 새로운 하드로 교체하는 게 스트레스로부터.. 빠른 해방이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와 달리 맥은 .. 좀 여유롭게.. 하드가 폴트 될때까지. 걍.. 내벼려두기도 합니다. 물론 저는 레이드5, 6를 주로 구성하며.. 거진 SAS 또는 기업용 엔터프라이즈급으로만 데이터 스토리지를 구성합니다... 저의 경험을 나열해 봅니다. ^^


QnA
제목Page 530/5730
2015-12   1790678   백메가
2014-05   5265697   정은준1
2013-12   5655   컴지기
2014-01   5822   s김종화z
2022-09   2615   niet38h
2011-08   5957   씨디공장
2018-09   3896   kking
2022-09   1290   거니네
2011-08   7479   박문형
2024-05   2353   블루영상
2016-07   4839   호시링
2019-11   3589   머리감자
2022-09   2673   pibang
2014-01   6068   정희섭
2015-05   5149   로트1
2015-05   6176   김건우
2022-10   4771   푸이잉잉
2011-10   4902   쫄깃쫄깃햄스
2014-01   5511   달봉이
2014-01   5437   김윤술
2021-02   2647   혼자가는길
2011-10   5043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