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법과 레이턴시

   조회 1878   추천 0    

진법의 단위가 높아 질수록 레이턴시에 영향을 주나요?

2진법 컴퓨터와 60진법 컴퓨터가 있다고 가정한다면 어느 것이 더 빠른가요?


삼성 3진법 반도체

https://news.samsung.com/kr/unist-%EA%B9%80%EA%B2%BD%EB%A1%9D-%EA%B5%90%EC%88%98-%EC%97%B0%EA%B5%AC%ED%8C%80-%EC%B4%88%EC%A0%88%EC%A0%84-3%EC%A7%84%EB%B2%95-%EB%B0%98%EB%8F%84%EC%B2%B4-%EA%B8%B0%EC%88%A0

https://news.mtn.co.kr/news-detail/*3*611*7*5*7*161004


해당 기사를 읽다가 문득 궁금해져서 질문 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송주환 2022-07
60진법 컴퓨터는 왜 필요하신가요?
     
마지막세대 2022-07
필요로 인하여 질문을 드린 것이 아니라
단순히 궁금해서 질문을 드렸습니다.
CPU4 2022-07
하나의 단계를 더 거치더라도 end user 입장에서는 느끼지 못할 수준이기에 무의미 합니다.
송주환 2022-07
컴퓨터 산업의 태동기에는 다진법 컴퓨터들이 많이 등장했습니다. 컴퓨터가 계산기에서 출발한 것이므로 어찌 보면 당연한 일입니다.
하지만 왜 이진법이 대세가 되었을까요? 그것은 반도체와 불 대수의 발견 때문입니다. 불 대수를 통해 0,1의 두 가지 상태로 모든 논리적 계산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였고, 그것을 반도체의 전기가 흐르는 상태/전기가 흐르지 않는 상태로 대응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이진법이 컴퓨터에 널리 쓰이게 된 것입니다.

결국 N진법 컴퓨터를 논하는 것 자체가 큰 의미가 없습니다. 하지만 예를 들어 전압의 세기에 따라 다른 정보를 나타내는 방법도 있겠죠. 이것이 MLC(Multi Level Cell) 플래시 메모리가 동작하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연산용으로는 쓰이지 않습니다. 전압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에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이며, 다진법 체계를 도입할 경우 이진법 환경에 맞춰 만들어진 최적 알고리즘들을 그대로 쓸 수 없기 때문입니다. 양자 컴퓨터에 양자 알고리즘이 필요하듯이 말이죠.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당근 2022-07
60진법 컴퓨터가 당연히 빠르죠.
문제는 60진법 프로그램을 짤 수가 있느냐 입니다.
64비트가 64진법으로 생각하심 편합니다.
64비트로 작성하는 프로그램이 있나요?
0과 1의 이진법이라고 해서 사람이 기계어 코드로 프로그램을 작성하진 않습니다. 기계어 코드에 1:1로 대응되는 어셈블리어도 고수준의 프로그램을 작성하기엔 많은 시간이 걸리기에,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고급 수준의 언어로 프로그램을 작성한 다음, 이를 컴파일러를 통해 컴파일시켜 기계어코드로 번역하여 프로그램을 작동시키고 있습니다. 즉 위와 같은 용도가 있다면, 컴파일러를 특정 하드웨어 아키텍처에 맞게 제작하면 되겠죠.
이일저일 2022-07
재밌는 세상이 다가오고 있군요.
기존에는 전기가 흐른다 / 흐르지 않는다를 0과 1로 정의해서 이를 하나의 비트에서 처리하는 세상이엇는데...
기사에서는 하나의 트리트(?)에서 0, 1, 2를 다루는 세상이 될 수도 있겠네요.
현재는 모든 주변 상황이 비트로 맞춰져 있어서 2진법을 쓰는 컴퓨터가 빠르겠지만, 시간이 지나면 3진법, 4진법.. 등 자꾸 더 높은 진법을 쓰는 컴퓨터들이 나올테고...
그때는 그것들이 레이턴시가 더 낮아지겠죠? 2번 할 일의 분량을 한 번에 처리가 가능할테니까요.
하지만, 그게 금방오진 않을 것 같아서요. 제가 살아서 그 세상을 볼 수 있을 지 궁금하네요.
구차니 2022-07
60진법이던 10진법이던
하드웨어로 구성이 가능하다면 어느 하드웨어가 더 저렴하고 성능이 좋을진 따져봐야 겠지만
bit가 오르는것 처럼 획기적으로 오를것으로 생각되진 않습니다.

반대로
SLC, MLC, TLC, QLC, PLC(penta?), HLC(Hexa?) 식으로 늘어간다고 할 경우 속도가 빨라질까요?
디지털이 아닌 아날로그에 가까워짐으로서
64진법의 16비트 ADC는 가격이나 성능 측면에서 메리트가 발생할진 솔찍히 장담하기 힘들 것 같습니다. (에러 검출등의 오버헤드가 더 커질수도 있기에 가격측면에서도..)

양자의 경우 확률론적으로 계산하는거라 기존의 컴퓨터 대비 연산 우위를 지닌다고 확실히 증명되지 않았고

조금은 다른 접근 방법으로 gray code를 이용하여 저전력으로 작동하는 cpu에 대한 접근은 들어본적이 있습니다.
마지막세대 2022-07
답변 모두 감사합니다.
이해를 넓히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QnA
제목Page 519/5723
2014-05   5233582   정은준1
2015-12   1759982   백메가
2022-07   2130   제이비젼
2022-07   2235   봉래
2022-07   1709   미수맨
2022-07   1777   산수익힘책
2022-07   2037   까치산개꿀탱
2022-07   1369   xMir
2022-07   1409   무아
2022-07   1835   드리데이
2022-07   2158   서울I김동수
2022-07   3388   질문
2022-07   1608   밥한끼
2022-07   1519   windfantasia
2022-07   1662   epowergate
2022-07   1316   화란
2022-07   1958   메탈포스
2022-07   1809   김장우
2022-07   3141   jack33
2022-07   1775   마스터치프
2022-07   1630   콘스탄틴
2022-07   4298   헥사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