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PS 어댑터의 입력 전압에 대해...

keros   
   조회 1803   추천 0    

 안녕하세요,


요즘 노트북이나 휴대폰 충전기나 많은 전원 어댑터들이 SMPS를 사용하고 있고,

또 110 ~ 250 V를 지원하는 프리볼트입니다.

물론, SMPS가 여러 종류가 있지만..

만약 전압이 220 V가 아니라 순간적으로 150, 190, 200 V와 같이 불안정하게 널뛰기를 하는 경우,

문제가 없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 상상에 SMPS 들도 설계단계에서 전압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feedback해서 조절하는 매커니즘은 있을 것 같은데,

제가 전자공학 전공은 아니다보니 그런게 있다 하더라도 얼마나 대처할 수 있는 범위가 될지,

그렇게 전압 변동이 되는 경우 AVR 처럼 빠른 시간내에 전압 안정화가 불가능한지 등등...

잘 모르겠습니다. 혹시 이에 대해 고견 부탁드려도 될런지요?


하하하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어느정도 반응 속도가 되는 건 잡을 수 있습니다만 이쪽이 그러하듯 입력 변동과 같이 섞여 들어오는 반응 속도 보다 빠른
써지 같은게 문제죠 이런 걸 제대로 막으려면 그 가격에 그 공간 가지고는 불가능합니다
우리나라 전기는 대체로 질이 좋은 편이라 별 문제 없습니다
전기는 선진국이라고 질이 좋지는 않습니다 과거에 이미 깔아둔 광역 설비와 거기에 맞추어진 기기들 때문에 최신 설비로 바꿀 수
없고 전기에 관심이 있어서 해외에 나가면 송배전설비 같은 거 관심 갖고 보는데 우리나라만큼 전력선에 유입되는 번개 유입을 차단하는
가공지선 설비 잘 해놓은 곳도 없습니다
     
keros 2022-07
감사합니다.  저도 동의합니다. 한국은 한전에서 적어도 가능한 조치는 다 해놓았고, 종종 전신주에 서지프로텍터 소자가 달린 경우도 보곤 합니다.
Sikieiki 2022-07
어차피 들어오는 전압을 브리징 해서 직류로 만들고 스위칭으로 2차측 전압을 만드는거라 들어오는 전압이 떨어져도 인픗보다 아읏푹이 작다면 문제없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죠슈아 2022-07
+1
     
keros 2022-07
감사합니다. 참고하겠습니다.
다롱이 2022-07
SMPS 설계시에  최소, 최대 입력 전압을 설정하며, 트랜서 설계시에는 최소 전압을 기준으로 설정을 합니다.
이유는 최소 전압이 입력시에 스위칭용 DUTY를 최대로 하는 데 최대 0.9까지는 할수가 있습니다만 주로 저는 0.5 이하로 설계를 합니다.
스위칭 소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DUTY 값을 줄입니다.(DUTY=진폭)
최대 전압입력시에는 DUTY 값을 최소 합니다. 단 스위칭 소자의 정격값을 초과 하는 전압 입력시에는 파손 됨.
이상은 스위칭 파워를 독하하는  초보의 의견 입니다.
     
keros 2022-07
아~~ 그렇군요 ! 그렇다면 최소 전압 이하로 출렁거리지만 않는다면 어느정도 잠시동안의 흔들림은 괜찮지 않을까도 이해가 되었습니다. 물론 최선은 AVR 이지만요.
제가 SMPS설계자입니다. 전압이 저렇게 들어오면 AVR을 설치하셔야 합니다. 최종단에 제너다이오드랑 SCR, 포토커플러로 최종단 전압을 잡아주는데 그 부위가 죽습니다. 워낙 SMPS설계자가 없다보니 수리도 못하고 버려지는 파워가 많죠.
     
keros 2022-07
감사합니다. 역시 아무래도 AVR 이 최선인 것 같습니다. 다만, 전압 변화 출렁거림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다면 괜찮을런지요?
isaiah 2022-07
스위칭 주파수가 상당히 빠른데다 입력단에 보통 커페시터도 두기 때문에 왠만하면 별문제 없을것 같은데요
     
keros 2022-07
순간적인 sag 같은 것은 아니어서 아무래도 캐패시터는 괜찮을 것 같아요.


QnA
제목Page 249/5725
2014-05   5240612   정은준1
2015-12   1766095   백메가
2023-03   1808   Jjun
2023-06   1808   영산회상
2021-11   1808   김민철GC
2024-06   1809   Sakura24
2024-07   1809   무명인12
2023-10   1809   cho609495
2022-10   1809   osthek83
2022-04   1809   미수맨
2023-05   1810   크리미
2023-01   1810   JJ시스템
2022-04   1810   Sikieiki
2023-06   1810   김민철GC
2022-04   1811   osthek83
2023-04   1811   twopaik
2021-10   1811   취미컴
2024-07   1811   항공모함
2023-07   1811   막울었어요
2023-08   1811   미수맨
2022-03   1811   제온맨
2022-03   1811   무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