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를 외장하드,하드랙처럼 이용할수있을까요?

신도현   
   조회 4358   추천 0    

컴퓨터케이스의 5.25인치 베이에 하드랙을 장착하여 여러개의 하드디스크를 필요할때마다 연결해서 사용중인데요

3단수냉장착+책상위공간협소,케이스변경의 이유로 5.25인치 베이 하드랙 사용을 포기하려고 합니다

하드랙을 포기하기에 본체를 하나 더 세팅해서 새 컴퓨터 케이스안에 하드디스크 다 넣어놓고 사용할까 하다가 NAS를 생각하고 있습니다만  나스를 외장하드,하드랙처럼 이용할수 있는지 궁금하네요.


+

외장하드독,DAS도 있지만 외장하드독은 제가 안좋은 경험을 했던터라 배제하였고 

DAS는 시놀로지같은 대기업 제품은 없고 중소기업의 회사 제품만 있던데 전원공급, 안정성에서 말이 있기에 배제하였습니당

이태현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허어 2022-07
정확하게 원하시는 게 어떤 건지 모르겠습니다
외장하드 DAS는 컴퓨터에 종속되는 개념이고 NAS는 독립적인 장치입니다
NAS는 외장하드나 하드 랙처럼 운용되는 장치가 아닙니다
아무 때나 디스크 넣고 빼고 하는 게 안되어요
     
신도현 2022-07
대충 일주일에 2TB되는 파일들을 다운로드 받고 이 다운받은 파일들을 여분의 하드디스크에 백업하는 과정을 하드랙을 통해서 진행하였습니다. 근데 이 하드랙을 쓸 여건이 안되어서 외부에서 하드를 쉽게 연결했다 해제했다 할 수 있는 방법으로 NAS를 생각했던거였습니다.  그냥 컴퓨터 본체를 열어서 하드디스크를 추가하고 다운받은 파일들은 복사한뒤에 다시 하드를 분리하면 되겠지만 책상위치 , 구조상 쉽지가 않아서요.
          
제온프로 2022-07
DAS를 활용하세요..
DAS에는 기술이 많이 필요없어서
큰 문제는 없습니다.

DAS는 단순 하드랙 개념으구요..
NAS 는 서버 입니다..

많이 팔리는 제품으로 구입하세요.
박문형 2022-07
NAS는 DAS 같은 용도로 사용하지 못합니다..

윈도우즈 시스템에서 시스템을 재부팅하지 않고 여러 개의 하드를 필요할 때마다 넣다 뺐다 하고 싶으신 듯한데 번거로운 작업이고

100% 재대로 되지는 않습니다..
     
신도현 2022-07
재부팅해도 상관 없습니다. 지금도 하드를 필요할때마다 연결할때에 컴퓨터 꺼진상태에서 하드랙으로 연결하고 컴퓨터를 키곤하거든요.
          
박문형 2022-07
하드랙도 재대로 스압이나 핫스압을 지원하는 장비들이 좀 드물어서 쉽지는 않습니다..

저런 장비를 선정하는 것은 경험밖에 없습니다..

핫스왑을 재대로 지원하는 벤더나 슈퍼마이크로 정도 되는 스토리지 서버를 사용하시면 어느 정도 해결이 됩니다..

저는 슈퍼마이크로 8베이 타워 케이스(SC743 /SC745) 를 사용하는데 이유는 그나마 국내에서 중고를 구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지금은 구할려고 해도 잘 안보이기는 합니다..

사용자에 따라서 소음 문제나 크기 문제로 꺼려 할 수 있습니다..

https://www.2cpu.co.kr/hardware_2014/39884?&sfl=wr_name%2C1&stx=%B9%DA%B9%AE%C7%FC&sop=and&page=2
Parabellum 2022-07
iscsi 세팅하시면 원하는대로 될듯합니다. Truenas/OMV 추천드립니다.
     
신도현 2022-07
iscsi 한번 검색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enol 2022-07
본체에 랜카드 달고 서로 1:1 직결하시면??
     
신도현 2022-07
본체에 랜카드 달고 NAS와 1:1 랜연결을 말씀해주시는건가요?
          
henol 2022-07
네.
               
신도현 2022-07
그렇다면 일반 외장하드처럼 파일을 복사하고 할수있나보군요. 랜카드를 추가해서 사용하라 하시는것은 메인보드 랜슬롯은 인터넷을 사용해야하기에 랜카드 추가해서 NAS랑 연결하라는 말씀이신건가요?
                    
henol 2022-07
허브가 있으시면 다 허브에 연결하면 인터넷이든 뭐든 가능한데
질문하신게 "나스를 외장하드,하드랙처럼" 이라고 하셔서 직결하는 방법으로 말씀드렸어요.
레이드 1로 세팅 해놓고 하드랙으로 하드만 꺼내 다른 컴퓨터에 연결하면 못 읽습니다
레이드 자체가 하드에 레이드 어레이 디스크란 단일 하드와는 다른걸 구성하기 때문입니다

이게 되는냐를 물어보시는건지?
     
신도현 2022-07
지금 레이드 구성은 사용하지 않 습니당. 제가 원하는것은 컴퓨터 본체를 열지 않고도 컴퓨터 외부에서 하드를 연결해서 해당 하드에 파일들을 복사하고 접근할수있는 환경을 원하는겁니당. 한마디로 외장하드독같은 개념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원하는거죠. 외장하드독을 쓰면 되겠지만 외장하드독은 하드 뻑나는 경험을 3번이나 했었기에 배제하였습니다.
김준연 2022-07
그냥 하드디스크를 달았다 뗐다 하는 것을 원하시면 USB 3.0 방식의 하드디스크 독을 구매하는 것이 가장 싸게 먹히고 가장 편합니다. 안 좋은 경험을 했다 해도 현재 용도에서는 이것 말고는 답이 없고, NAS를 그 대안으로 하는 것은 불편은 불편대로 떠안고 비용은 비용대로 떠안고 성능은 성능대로 안 나오는 최악의 상황을 만나게 될 뿐입니다.
     
신도현 2022-07
비용적인 부분은 2베이까지는 충분하게 감수할수 있는데 말씀해주신 불편은 외장하드독같은 개념보다 많이 불편한걸까요?  성능, 속도적인 부분에서는 확실히 sata로  직결했을때보다 떨어져보이긴 하더라구요.
          
김준연 2022-07
NAS도 하드디스크 장착이나 탈착이 불편한건 동일하고, 오히려 윈도우 기반 하드랙보다 훨씬 제약 사항이 많습니다. 결론적으로 안 하느니만 못합니다.

NAS도 결국 파일 서버의 단순 소형화 모델에 불과한 것이라 파일 서버에 저장장치를 심심하면 바꿔대는 것이 보통인가 생각해 보시면 왜 다들 반대하는지 이해가 될 것입니다.
               
신도현 2022-07
그렇군요. 좀 더 알아봐야겠습니다. 저도 글을 쓰고 난 이후로 계속 검색을 해봤지만 제가 생각했던것과는 조금 거리가 있어보이네요.
박문형 2022-07
요즘 NAS는 임베디드 리눅스 기반 엔진이 대부분인데

NAS 시스템에서 강제로 하드를 넣다가 뺐다가 하면 NAS 엔진에서 에러로그나 위험알람이 계속 쌓입니다..

그리고 다시 데이터가 있는 하드를 넣게 되면 이 하드의 데이터가 이상이 있는지 없는지 NAS 엔진이 체크하는데 이 시간도 무시 못합니다..
박문형 2022-07
저는 위의 댓글의 링크된 시스템으로 윈도우즈 기반으로 

레이드 카드에서 JBOD 셋팅을 해서 1년에 대략 3TB 데이터를 받으며 매일 껐다 켰다 하며 운영 하였는데

하드 베이가 다 차면 부팅 하드 빼고 데이터 디스크는 다 빼버리고 새 하드 구해서 다시 채워 넣었습니다..

이렇게 해서 대략 500기가 8개 640기가 8개 3TB 7개 데이터가 채워져 있으며

현재는 4테라 하드 3개째 사용중입니다.. (500기가나 640기가 하드는 10년이 넘어가서 다른 하드로 넘기든지 할 예정입니다..)

저 시스템이 동작 중에 데이터 들은 하드나 새 하드를 그냥 꼽아도 별 문제 없이 인식을 하지만 데이터 망실의 불안 때문에 데이터 들어 있는 것은

시도를 그다지 하지 않고 있고 아직 데이터 망실은 하드디스크의 물리적 문제 외에 거의 없었습니다..


별 문제 없이 잘 사용하는 이유는 슈마 제품의 핫스왑과 파워의 신뢰성과 아레카 카드의 JBOD라는 기능 때문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이대희 2022-07
기존 사용하시는 하드랙을 사용 하시는 것이 가장 좋아 보입니다.
하드랙을 자주 착탈하는건 저는 추천드리지 않고있고 (지금까지는 잘 쓰셨더라도 앞으로 안좋은 경험을 하실 수 있음)
그냥 전부 본체에 넣고 쓰시는게 좋으실 듯 합니다.
저도 그렇게 쓰고있습니다.


QnA
제목Page 1757/5708
2015-12   1677979   백메가
2014-05   5143833   정은준1
2020-10   4116   행복하세
2020-01   4116   꾀돌이
2018-01   4116   정상백
2018-03   4116   이종관
2015-04   4116   Lucifer
2016-07   4116   초보IT
2018-09   4116   ghost
2019-04   4116   차평석
2016-08   4116   냐옹이
2015-02   4116   아름다운노을
2014-01   4116   컴지기
2016-09   4116   이천풍
2018-09   4116   김건우
2016-03   4116   Dominozlol
2017-03   4116   Won낙연
2018-04   4116   전설속의미…
2021-02   4116   새로운차원
2014-03   4116   이지포토
2014-12   4116   oracleuser
2015-10   4116   싼럽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