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의] UPS 연결시 집안 전기 DOWN

lovin09   
   조회 2515   추천 0    

안녕하세요 

그 동안 잘 사용하고 있던 APC SMC 1000i 입니다. 

어제 아침에 갑자기 정전이 되어,  관리사무소 직원들이 나와서 원인을 찾았습니다. 

계속 못찾다가  제가 혹시나 하는 생각에 UPS 인입 라인을 뽑았습니다. 


더이상 정전이 되지 않네요. 

원인이 UPS 같습니다.  UPS 연결시 5분정도 지나면, 정전 됩니다. 

두꺼비 스위치는 내려가지 않고,  정전 되네요.

고장난 걸까요?  


고수분들의 고견을 여쭙니다. 


eclipse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2-08
잘 사용하다가 정전된 후 문제가 되었다는 것으로 볼 때

받데리가 의심이 됩니다..

혹시나 받데리 교환한 지가 2~3년 정도 아니면 그 이상이 되었다면 받데리가 정전 후에 문제가 생겨서 견디지 못하는 것 같아 보입니다..

물론 다른 곳이 고장날 수도 있습니다..
     
lovin09 2022-08
네 배터리 교체 부터 해 보겠습니다.
박문형 2022-08
받데리 분리 및 테스트 가능하시면 분리한 후에 전압 재어 보시고 충방전 테스트 해보세요..
     
lovin09 2022-08
네 감사합니다.  그런데, 호환 배터리 정보를 알 수 가 없네요  ㅠ.ㅠ
          
김장우 2022-08
               
lovin09 2022-08
진심 감사합니다. ^^

구매해서 교체 해보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무아 2022-08
>두꺼비 스위치는 내려가지 않고,  정전 되네요.
무슨 뜻인지 잘 이해가 안가네요.
과전류 차단기가 있고 누전 차단기가 있는데
2종류 차단기가 내려가지 않고 정전이 된다는 건가요? 그건 더 큰 문제 같은데요.
     
제온프로 2022-08
예리하시네요..
저도 그 점이 정말 이해가 않갑니다.

= 두꺼비 스위치는 내려가지 않고,  정전 되네요. =
= 차단기 스위치는 내려가지 않고,  정전 되네요. =

그러면.. 해석해 보면..

단선이네요..

UPS를 연결하면 차단기는 내려가지 않고 정전된다..
UPS만 연결하면 어딘가의 단선으로 정전된다.

- 정답!!  어딘가의 단선 -
          
lovin09 2022-08
단선이라면,  UPS 연결된 콘센트 부터 봐야 할까요?
     
lovin09 2022-08
네 정전될때 차단기는 내려가지 않은 상태 였습니다.

어떤 부분을 점검해야 할런지요?
          
무아 2022-08
관리사무소에 얘기해서 배전반에 있는 차단기를 교체해야 할 겁니다.
UPS든 뭐든 집안의 제품 문제로 과전류가 흘러 정전이 된다면 배전반의 차단기가 내려가서 해당 방(또는 해당 가구)만 정전 되어야 정상입니다.
김장우 2022-08
혹시 모르니 UPS를 꼽았던 콘센트 말고 좀.. 멀리 떨어진 콘센트에 꼽아 보셔요..
딱히 UPS 고장으로 그럴 것 같진않아서요..
배터리가 문제가 있다면 정전보상 기능에 문제가 있지 장비 자체에 문제가 있을 것 같아보이진 않거든요..

아니면.. UPS꼽았던 콘센트에 헤어드라이기나 인두.. 등.. 100W 이상 소모하는 가전기기를 연결해보세요.. ^^
UPS 충전전력이 56W 인데.. 그것보다 조금더 부하를 걸어봐서 그쪽 라인 문제인지...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아파트이신것 같은데.. 누전은 아닌 것 같은데.. 좀.. 이상하긴 합니다.
     
lovin09 2022-08
네 시험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QnA
제목Page 511/5729
2014-05   5263838   정은준1
2015-12   1788801   백메가
2011-01   9144   이충욱blue
2015-02   27587   회원K
2019-08   2295   분당김동수
2016-04   8406   차평석
2016-04   6635   낙원전자
2018-06   6094   초보IT
2011-02   15039   이기백
2019-08   7817   의롭게살리라
2023-12   1779   삐돌이슬픔이
2018-06   4218   싱국날강도
2022-05   2509   오성기
2022-05   4675   봉래
2011-02   6332   우야노
2015-02   12884   여주이상돈
2018-06   4415   Nikon
2019-08   2822   민사장
2024-01   1788   Sikieiki
2013-10   7609   인초리
2024-01   1962   이매망량2
2011-03   7064   장동건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