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er-V Cluster 구성 시 HeartBeat 네트워크가 필요한가요?

구십평   
   조회 2926   추천 0    

 안녕하세요. Hyper-V Cluster 구성을 하는데, 궁금한 내용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레드헷 RHCS나, AIX HA 구성 시 보통 HeartBeat 네트워크를 따로 두고, 헬스 체크를 하도록 구성하는데,

Hyper-V Cluster는 따로 헬스체크를 하는 HeartBeat 용도의 네트워크가 필요한지,

필요하다면 어떠한 방식으로 사용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술이 2022-08
일반적으로 MSCS랑 동일하긴 하지만 2008 부터는 2003때와는 조금 달라진게 HB 네트워크가 필수가 아니게 되었습니다. 즉 무슨말이냐면 장착된 모든 네트워크가 HB 역할을 하게되는 구조로 바뀌었습니다.
보통 가상스위치 만들면 호스트에 가상스위치 네트워크가 생기자나요? 그게 곧 HB 역할을 하게 됩니다. 호스트에 공유스위치로 안쓸려면 없애버릴수도 있는데 대부분 호스트에 공유로 사용되기도 하니 HB용도를 딱히 고민할것까진 없을거 같습니다.
     
구십평 2022-08
답변 너무 감사합니다. 실례지만 혹시 CSVFS (클러스터 공유볼륨) 구조 관련해서도 질문 좀 드려도 될까요?!
csvfs 관련해서 ms 공식 문서를 찾아보니, 동시 읽기/쓰기가 가능하다는 설명은 되어 있는데, 테스트 환경에서 확인을 해보면 클러스터 공유볼륨도 결국 소유권 노드가 있고, 디스크 관리자에서 확인 시 그 소유권을 가진 노드에서 온라인 & 반대쪽 노드에서는 오프라인(예약됨) 상태이더라구요. 이게 Hyper-V 클러스터 각 노드에 FC로 스토리지와 연결되었을 시 (Storage - SAN - Hyper-V 서버 각 FC 케이블 연결 구조 입니다.) 동시 읽기/쓰기의 구조가 둘 다 FC를 통해서 직접 가능하다는건지, 아니면 소유권이 없는 노드에서 소유권이 있는 노드와의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서 우회해서 접근을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이해가 완벽히 안된 상태로 질문을 드리다보니 정리가 명확하고 깔끔하지 않은데, 혹시나 이해 안되시는 부분이 있으시면 다시 설명 드리겠습니다.
          
술이 2022-08
양쪽노드 동시에 접근 가능한 구조입니다. NTFS 파일시스템일 경우에만요.
2012R2 버젼까진 ReFS도 가능했는데 2016부터는 ReFS 파티션은 리다이렉트 되어버려서 소유권 있는 노드로 트래픽을 유발하더라구요. 어쩔수 없이 NTFS로 클러스터공유볼륨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도 Hyper-V 이중화 3중화 DR까지 사용하고 있으니 궁금한거 다 물어봐도 상관없습니다.
               
구십평 2022-08
get-clustersharedvolumestate 명령어로 확인해보니 양쪽 노드 모두 스토리지와 다이렉트 연결로 나옵니다. 그런게 디스크매니지먼트로 확인 할때 소유권이 없는 노드에서는 공유볼륨 디스크가 오프라인으로 보이는데 어떻게 실제로 다이렉트 연결이 이루어지는지 궁금합니다. 혹시 이거에 관한 공식 문서나 언급이 있을까요?
                    
술이 2022-08
오프라인이 아니고 예약됨 상태일겁니다. 소유권이 없으면 예약됨. 소유권 갖고오면 온라인 상태에요. 만약 한쪽이 오프라인이라면 CSVFS 구성이 아닙니다.
CSVFS로 전환하면 디스크 문자열에서 빠지고 C:\ClusterStorage\Volume1  이런식으로 폴더식으로 양쪽노드 동일하게 바뀌게 됩니다.

그러면 양쪽노드 C:\ClusterStorage\Volume1\Hyper-V 해당폴더에 각각의 VM 이미지들을 폴더별로 위치하게 해야 노드 이동시에도 메모리만 전환되고 디스크 위치는 항상 그자리에서 처리하게 되는겁니다.
                         
구십평 2022-08
감사합니다. 예약됨 상태는 맞는데 디스크 모양의
표시가 다르고, 소유권이 없는 노드에서 예약됨 디스크(클러스터 공유볼륨) 를 우클릭 해보면 온라인 이라는 메뉴가 활성화 되어있어서 오프라인 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클러스터 공유볼륨으로 추가한 CSVFS는 맞습니다. 말씀해주신 것 처럼 탐색기를 이용해서 c드라이브 밑에 공유볼륨에 접근은 두 노드 모두 가능하구요. 그럼 말씀해주신대로 메모리만 전환되고, 동시 엑세스가 가능한 경우라면 두 노드 모두 FC를 통해서 공유볼륨과 직접 I/O를 한단 말씀이시죠? 그리고 클러스터 공유볼륨의 소유권은 그럼 왜 존재하고, 소유권이 있는 노드와 없는 노드의 차이가 뭔지.. 클러스터 공유볼륨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는게 정확히 뭘 의미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dateno1 2022-08
기존에 쓰던 네트워크로 겸할 수 있을껀데요?
     
구십평 2022-08
정확히 HB 네트워크가 필수로 두어야 하는지 궁금해서 여쭈어봤습니다. 일단 구성을 위해 HB 네트워크를 따로 잡아두긴 했는데, 막상 Hyper-V 클러스터를 구성해보니 HB 네트워크에게 역할이 주어지는 상황이 없는 것 같아서요!


QnA
제목Page 514/5732
2015-12   1794030   백메가
2014-05   5268966   정은준1
2022-03   2480   L2스위치
2024-02   2480   초보자에용
2021-04   2481   김영기
2023-03   2481   풀로드시스템
2023-10   2481   Lucifer
2022-07   2481   장동건2014
2020-06   2481   리키파울러
2023-02   2481   쌍cpu
2023-04   2481   osthek83
2020-03   2481   그린
2022-06   2482   미수맨
2021-11   2482   리드2cpu
2020-01   2482   박문형
2023-11   2482   치킨좋아요
2019-12   2482   가빠로구나
2023-11   2482   마스터치프
2019-08   2482   구형활용가
2022-03   2482   김준유
2021-07   2482   MikroTik이진
2022-07   2483   전설속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