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6121 |
0 |
2014-05
5266121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1040 |
25 |
2015-12
1791040
1 백메가
|
104690 |
DELL T7920 cpu 팬속도 조절 (5) |
무쏘뿔처럼 |
2022-06 |
4159 |
0 |
2022-06
4159
1 무쏘뿔처럼
|
104689 |
영문 XP인데 한글 쓸수 있는 방법이? (1) |
명성호 |
2011-04 |
6563 |
0 |
2011-04
6563
1 명성호
|
104688 |
SSD HDD장착 동영상 (1) |
이윤주 |
2018-07 |
3126 |
0 |
2018-07
3126
1 이윤주
|
104687 |
KT 인터넷 (19) |
나파이강승훈 |
2019-09 |
3439 |
0 |
2019-09
3439
1 나파이강승훈
|
104686 |
보드오류코드00질문드립니다! (15) |
초보자에용 |
2024-02 |
5285 |
0 |
2024-02
5285
1 초보자에용
|
104685 |
iLo 상에서 Inlet Ambient가 -1도로 나오네요 |
김지훈83 |
2017-04 |
3658 |
0 |
2017-04
3658
1 김지훈83
|
104684 |
웹사이트에 문서같은거 작성하면 보통 DB 에 넣나요?? (7) |
2CPUI김세훈 |
2020-12 |
2835 |
0 |
2020-12
2835
1 2CPUI김세훈
|
104683 |
코모도 방화벽 사용시 회사 내부 네트워크 공유 문제 해결 방법 부탁드립니다. (3) |
김영민75 |
2016-05 |
7879 |
0 |
2016-05
7879
1 김영민75
|
104682 |
3dsmax 작업용 그래픽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7) |
바람이되어서 |
2016-05 |
8393 |
0 |
2016-05
8393
1 바람이되어서
|
104681 |
자료실 업로드 파일당 크기 제한이 얼마인가요? (4) |
죠슈아 |
2022-06 |
1449 |
0 |
2022-06
1449
1 죠슈아
|
104680 |
sata 레이드 콘크롤러 추천해 줄만한 제품 있나요? (1) |
가빠로구나 |
2011-04 |
6987 |
0 |
2011-04
6987
1 가빠로구나
|
104679 |
서버간에 데이터 전달 개선방법문의 (2) |
데이비드 |
2011-04 |
6113 |
0 |
2011-04
6113
1 데이비드
|
104678 |
[고수님들 부탁 드려요] 부팅이 되다 안되다 합니다. ㅠ.ㅠ (5) |
미친소랑이 |
2015-03 |
8881 |
0 |
2015-03
8881
1 미친소랑이
|
104677 |
카드단말기에 사용했던 무선 라우터 질문 (1) |
2CPUI김세훈 |
2019-09 |
2909 |
0 |
2019-09
2909
1 2CPUI김세훈
|
104676 |
서브넷 마스크가 틀리면? (5) |
산골농부 |
2024-02 |
2486 |
0 |
2024-02
2486
1 산골농부
|
104675 |
소규모 서버 구축 궁금사항 투 (8) |
복일성 |
2011-05 |
7227 |
0 |
2011-05
7227
1 복일성
|
104674 |
메모리관련 질문 드려요 (2) |
밤차 |
2018-07 |
3499 |
0 |
2018-07
3499
1 밤차
|
104673 |
Wi-Fi USB제품 (2) |
뚜뚜김대원 |
2015-03 |
3650 |
0 |
2015-03
3650
1 뚜뚜김대원
|
104672 |
월세 누수 및 누수로 인한 곰팡이 문제에 대해 잘 아시는분 계실까요 (8) |
이선호 |
2016-05 |
11243 |
0 |
2016-05
11243
1 이선호
|
104671 |
HDD or ODD rail 파는 곳 좀 알려주세요. (6) |
조지연 |
2020-12 |
2940 |
0 |
2020-12
2940
1 조지연
|
SATA는 서버를 제외하고 핫스왑을 기대하면 안됩니다.
다만, 핫스왑이 지원 안되더라도 사실...
테스트로 붙여서 시스템이 정기적인 충격이나 재부팅이 일어나지 않으면 OS에서는 제대로 인식하고 장치가 제대로 붙긴 합니다.
보증 안되는 짓은 하면 안됩니다..... 라고 말하고 싶네요.
역시 웤스보단 서버가 더 안정적인가 보네요
핫스압의 충족 조건은
SATA /SAS 포트는 본래 핫스압을 지원하기 위해 그렇게 디자인이 되었고
핫스압 트레이가 지원이 되어야 하고
핫스압 백플레인이 지원이 되어야 하며 (디바이스의 전원 콘트롤 /디바이스의 인풋 아웃풋 인지 등)
보드의 콘트롤러에서 핫스압이 지원이 되어야 합니다..
(마더보드에 따라서 SATA 포트의 핫스압 지원 여부를 바이오스에서 셋팅하는 보드가 있습니다..
레이드 콘트롤러는 그 자체로 핫스압이 지원이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단지 PC용 SSD나 HDD는 새것기준으로 엔터프라이즈 제품 보다는 가격이 싸지만 서버용 엔터프라이즈 SSD나 HDD보다 수명이 짧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 외 레이드 카드들은 거의 모든 제품이 호환성 파츠 리스트가 있는데 거기에 맞추어서 SSD나 HDD를 구하는게 재일 좋으나
국내에서 구하기 어려운 부품들도 많습니다..
https://www.2cpu.co.kr/hardware_2014/39884?&sfl=wr_name%2C1&stx=%B9%DA%B9%AE%C7%FC&sop=and&page=2
https://www.2cpu.co.kr/4raid/6499
현재까지 하드와 레이드 콘트롤러만 바뀌었을뿐 위의 상태로 사용중입니다..
직구로 쉽게 구할 수 있는 LSI SAS는 핫스왑 안됩니다. 제가 직접 해봤는데 디스크 빼는 건 가능하지만, 디스크 꽂으면 인식이 안되고 수동으로 인식시키는 것도 안되서 결국 리부팅
오히려 인텔, amd 칩셋 SATA포트가 핫스왑 잘되더군요.
윈도우는 어떤지 모르겠지만 리눅스 쓰신다면 디스크 뺄 때 디스크와 연관된 파티션 전부 언마운트 후 아래 명령 내리고(X X X X는 scsi 디스크번호인데 cat /proc/scsi/scsi나 dmesg로 확인해야 함) 디스크가 멈춘지 확인 후 빼면 됩니다. 추가는 디스크 꽂으면 알아서 자동인식되고요.
echo "scsi remove-single-device X X X X" > /proc/scsi/scsi
리눅스 쓰신다면 본문글에 있는 하드랙 사서 이방법으로 디스크 끼우고 빼기 테스트해 보세요. 저 하드랙은 서버 가격에 비하면 얼마 안합니다.
핫스압을 이용해서 무엇을 할지는 모르겠지만 하드를 핫플러깅하고 하드가 초기화 될 시간(플레터가 돌아가고 하드가 동작할 준비가 다 되었다의 시간)
도 안주고 다시 하드를 뽑아내고 하는 그런 급작스러운 작업만 안하면 그럭저럭 쓸만은 할 것입니다..(100% 문제가 없게 라고는 이야기 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중요한게 어떤 모델의 하드를 사용할 지는 모르겠지만 하드를 오랜시간 동작시켜도 하드의 온도를 40도 이상되게 만들지 마세요..
저런 핫스압 장치들을 사용하는데에 있어서 하드 온도를 신경 쓰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냉각 장치를 신경 안 쓰는데)
하드는 적정 동작 온도가 있기에 너무 차거워져도 안되고 너무 뜨거워져도 안됩니다..
그 외 SATA 포트는 바이오스에서 AHCI 혹은 RAID 상태에서 동작되어야 합니다..
왠만해선 데이터 날라갈일 없게끔이요...
사실 하드나 ssd가 뻑나지 않는이상은 핫스왑을 쓸일이 없긴한데 서버가 돌아가고있는동안 뻑난 하드나 ssd가 있으면 시스템을 다운시키지 않고 바로 바꿀수 있도록 하려고 해요.
레이드 카드도 사용할 SSD 와 호환성이 맞아야 하고요..
레이드 레벨 5나 6을 사용하면 레이드 멤버에 포함된 하드나 SSD가 하나가 고장이 나면 속도가 처지게 됩니다..
원하시는 것을 구현하려면
가볍게 하려면 SSD 2개를 RAID 1로 묶고 레이드 볼륨 1으로 셋팅하고 다른 SSD 2개나 HDD 2개를 레이드 1로 묶어서 레이드 볼륨 2로 사용하면
될 듯하고
조금 더하면 SSD 4개를 RAID 1+0 으로 묶어서 사용하면 될 듯합니다..
그러나 이것들을 재대로 구현하려면 재대로 동작하는 핫스압베이가 4개 이상 필요하겠죠..
제가 볼 때 컴퓨터를 키고 끌때 시간이 어느 정도일지는 모르겠지만 그냥 삼성 SSD 중 재일 비싼 Pro 기종이나 기업용 SSD 를 사용하고
기업용 HDD를 사용하고 핫스압베이는 없어도 게임 운영에는 크게 문제는 없을 듯합니다..
게임 한번 시작하면 컴퓨터를 끄지 않고 1주일 이상씩 하고 그러시나요??
그렇게 하기에는 여러가지로 힘들 것으로 생각됩니다만..
개인적 생각입니다만(게임은 안합니다만) 하드웨어 문제보다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문제가 아마 게임운영 문제에 더 많이 관여 될 것 같습니다..
필요없는 레지스터 정리하고 필요 없는 프로그램 지우고 바이러스 검사 수시로 하고 윈도우즈 업데이트 꼬박꼬박하는게
장기 운영에는 더 도움이 되는 듯합니다..
현재 서버는 우분투 20.04 server 버젼이며 게임 업데이트 버젼 출시를 제외하고는 재부팅 할일이 없네요.
단지...게임 데이터가 언제 날라갈지 모르기에 레이드 카드 끼워서 데이터를 3중으로 백업해두려고 하는데 레이드카드를 써본적이 없어서요 ....
레이드카드 사용해서 레이드1 사용시 모든데이터(즉 os까지)가 다같이 백업되는건가요? 아니면 특정 데이터만 백업되는건가요?
따라서 RAID 1 은 OS나 파티션으로 백업되는 것이 아닌 디스크 단위로 데이터가 미러링됩니다..
리눅스라면 온보드된 레이드 기능은 드라이버가 없어서 사용하지 못합니다..
레이드 카드 중에서 사용하시는 OS와 호환성이 있는지 드라이버가 재대로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시스템에 재대로 붙는지도 확인해봐야 하지만 보통 그것은 직접 해봐야 알 수 있습니다..
중요 데이터는 다른 컴퓨터에 네트웍으로 해서 백업하고 리스토어 하는 습관도 기르시면서
레이드 작업시에는 데이터가 날라가도 복원 가능할 수 있도록 백업과 리스토어를 많이 연습해두세요..
레이드 장비는 백업만이 살 길입니다..
요즘 바이오스에서 핫플러깅 옵션이 많이 있습니다. 없어도 수동으로 하면 되긴 하는데 안정성 유무는 고려 안하고 써야...
4슬롯 하드랙도 뒤에 120미리나 80미리 쿨러가 빵빵하게 돌아주면 하드는 오래 버티는데 그게 아닌 40미리 쿨러들 달아논거는 거이 쓰레기급입니다. 버린것만 몇개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