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620 핫스왑 질문

소음기   
   조회 4132   추천 0    

 



이제품을 5.25 베이 한칸남아서 거기다끼워 사용하려는데, 핫스왑은 메인보드가 그기능을 지원해줘야 한다고 나와있네요.

혹시 z620은 문제없는건지 아시는분 계신가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시도니 2022-09
핫스왑 안됩니다.

SATA는 서버를 제외하고 핫스왑을 기대하면 안됩니다.

다만, 핫스왑이 지원 안되더라도 사실...

테스트로 붙여서 시스템이 정기적인 충격이나 재부팅이 일어나지 않으면 OS에서는 제대로 인식하고 장치가 제대로 붙긴 합니다.

보증 안되는 짓은 하면 안됩니다..... 라고 말하고 싶네요.
     
소음기 2022-09
답변 감사드립니다...
역시 웤스보단 서버가 더 안정적인가 보네요
박문형 2022-09
서버도 서버 나름인지라.. 핫스압 트레이가 없는 서버면 핫스압이 지원이 안된다고 봐야 합니다..

핫스압의 충족 조건은

SATA /SAS 포트는 본래 핫스압을 지원하기 위해 그렇게 디자인이 되었고

핫스압 트레이가 지원이 되어야 하고

핫스압 백플레인이 지원이 되어야 하며 (디바이스의 전원 콘트롤 /디바이스의 인풋 아웃풋 인지 등)

보드의 콘트롤러에서 핫스압이 지원이 되어야 합니다..

(마더보드에 따라서 SATA 포트의 핫스압 지원 여부를 바이오스에서 셋팅하는 보드가 있습니다..

레이드 콘트롤러는 그 자체로 핫스압이 지원이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소음기 2022-09
대부분 SAS 컨트롤러로 나오는것같은데 SAS 레이드 컨트롤러에 일반 2.5형 ssd나 3.5형 hdd 도 레이드구성해서 사용 가능한가요?
박문형 2022-09
가능합니다..

단지 PC용 SSD나 HDD는 새것기준으로 엔터프라이즈 제품 보다는 가격이 싸지만 서버용 엔터프라이즈 SSD나 HDD보다 수명이 짧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 외 레이드 카드들은 거의 모든 제품이 호환성 파츠 리스트가 있는데 거기에 맞추어서 SSD나 HDD를 구하는게 재일 좋으나

국내에서 구하기 어려운 부품들도 많습니다..

https://www.2cpu.co.kr/hardware_2014/39884?&sfl=wr_name%2C1&stx=%B9%DA%B9%AE%C7%FC&sop=and&page=2

https://www.2cpu.co.kr/4raid/6499

현재까지 하드와 레이드 콘트롤러만 바뀌었을뿐 위의 상태로 사용중입니다..
흑기사 2022-09
변환케이블 있다면 SAS 컨트롤러에 SATA 하드 연결 가능하고요.
직구로 쉽게 구할 수 있는 LSI SAS는 핫스왑 안됩니다. 제가 직접 해봤는데 디스크 빼는 건 가능하지만, 디스크 꽂으면 인식이 안되고 수동으로 인식시키는 것도 안되서 결국 리부팅
오히려 인텔, amd 칩셋 SATA포트가 핫스왑 잘되더군요.
윈도우는 어떤지 모르겠지만 리눅스 쓰신다면 디스크 뺄 때 디스크와 연관된 파티션 전부 언마운트 후 아래 명령 내리고(X X X X는 scsi 디스크번호인데 cat /proc/scsi/scsi나 dmesg로 확인해야 함) 디스크가 멈춘지 확인 후 빼면 됩니다. 추가는 디스크 꽂으면 알아서 자동인식되고요.

echo "scsi remove-single-device X X X X" > /proc/scsi/scsi

리눅스 쓰신다면 본문글에 있는 하드랙 사서 이방법으로 디스크 끼우고 빼기 테스트해 보세요. 저 하드랙은 서버 가격에 비하면 얼마 안합니다.
박문형 2022-09
장치들을 가지고 있다면 셋팅해서 사용을 해보세요..

핫스압을 이용해서 무엇을 할지는 모르겠지만  하드를 핫플러깅하고 하드가 초기화 될 시간(플레터가 돌아가고 하드가 동작할 준비가 다 되었다의 시간)

도 안주고 다시 하드를 뽑아내고 하는 그런 급작스러운 작업만 안하면 그럭저럭 쓸만은 할 것입니다..(100% 문제가 없게 라고는 이야기 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중요한게 어떤 모델의 하드를 사용할 지는 모르겠지만 하드를 오랜시간 동작시켜도 하드의 온도를 40도 이상되게 만들지 마세요..

저런 핫스압 장치들을 사용하는데에 있어서 하드 온도를 신경 쓰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냉각 장치를 신경 안 쓰는데)

하드는 적정 동작 온도가 있기에 너무 차거워져도 안되고 너무 뜨거워져도 안됩니다..

그 외 SATA 포트는 바이오스에서 AHCI 혹은 RAID 상태에서 동작되어야 합니다..
     
소음기 2022-09
z620을 간단한 게임서버로 사용할 예정이며 ssd 3개에 하드1개 정도를 전부 레이드1 로 설정해서 쓰려고 합니다.
왠만해선 데이터 날라갈일 없게끔이요...
사실 하드나 ssd가 뻑나지 않는이상은 핫스왑을 쓸일이 없긴한데 서버가 돌아가고있는동안 뻑난 하드나 ssd가 있으면 시스템을 다운시키지 않고 바로 바꿀수 있도록 하려고 해요.
박문형 2022-09
레이드 장치에서 SSD + HDD 혼용으로 레이드를 묶어서 사용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레이드 카드도 사용할 SSD 와 호환성이 맞아야 하고요..

레이드 레벨 5나 6을 사용하면 레이드 멤버에 포함된 하드나 SSD가 하나가 고장이 나면 속도가 처지게 됩니다..

원하시는 것을 구현하려면

가볍게 하려면 SSD 2개를 RAID 1로 묶고 레이드 볼륨 1으로 셋팅하고 다른 SSD 2개나 HDD 2개를 레이드 1로 묶어서 레이드 볼륨 2로 사용하면

될 듯하고

조금 더하면 SSD 4개를 RAID 1+0 으로 묶어서 사용하면 될 듯합니다..

그러나 이것들을 재대로 구현하려면 재대로 동작하는 핫스압베이가 4개 이상 필요하겠죠..


제가 볼 때 컴퓨터를 키고 끌때 시간이 어느 정도일지는 모르겠지만 그냥 삼성 SSD 중 재일 비싼 Pro 기종이나 기업용 SSD 를 사용하고

기업용 HDD를 사용하고 핫스압베이는 없어도 게임 운영에는 크게 문제는 없을 듯합니다..


게임 한번 시작하면 컴퓨터를 끄지 않고 1주일 이상씩 하고 그러시나요??

그렇게 하기에는 여러가지로 힘들 것으로 생각됩니다만..


개인적 생각입니다만(게임은 안합니다만) 하드웨어 문제보다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문제가 아마 게임운영 문제에 더 많이 관여 될 것 같습니다..

필요없는 레지스터 정리하고 필요 없는 프로그램 지우고 바이러스 검사 수시로 하고 윈도우즈 업데이트 꼬박꼬박하는게

장기 운영에는 더 도움이 되는 듯합니다..
     
소음기 2022-09
답문 감사드립니다.
현재 서버는 우분투 20.04 server 버젼이며 게임 업데이트 버젼 출시를 제외하고는 재부팅 할일이 없네요.
단지...게임 데이터가 언제 날라갈지 모르기에 레이드 카드 끼워서 데이터를 3중으로 백업해두려고 하는데 레이드카드를 써본적이 없어서요 ....
레이드카드 사용해서 레이드1 사용시 모든데이터(즉 os까지)가 다같이 백업되는건가요? 아니면 특정 데이터만 백업되는건가요?
박문형 2022-09
보통 레이드 카드를 사용하면 디스크 단위로 데이터가 움직입니다..

따라서 RAID 1 은 OS나 파티션으로 백업되는 것이 아닌 디스크 단위로 데이터가 미러링됩니다..

리눅스라면 온보드된 레이드 기능은 드라이버가 없어서 사용하지 못합니다..

레이드 카드 중에서 사용하시는 OS와 호환성이 있는지 드라이버가 재대로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시스템에 재대로 붙는지도 확인해봐야 하지만 보통 그것은 직접 해봐야 알 수 있습니다..

중요 데이터는 다른 컴퓨터에 네트웍으로 해서 백업하고 리스토어 하는 습관도 기르시면서

레이드 작업시에는 데이터가 날라가도 복원 가능할 수 있도록 백업과 리스토어를 많이 연습해두세요..


레이드 장비는 백업만이 살 길입니다..
술이 2022-09
하드랙 구입할때 신경써야 하는 1순위가 쿨러입니다. 1-2년 쓰면 쿨러가 픽픽 죽어요. 그 순간부터 하드가 뜨거워서 하드도 잘 죽습니다. 특히 포트쪽이 더 뜨거워서 핫플러깅에 영향을 줍니다.
요즘 바이오스에서 핫플러깅 옵션이 많이 있습니다. 없어도 수동으로 하면 되긴 하는데 안정성 유무는 고려 안하고 써야...
4슬롯 하드랙도 뒤에 120미리나 80미리 쿨러가 빵빵하게 돌아주면 하드는 오래 버티는데 그게 아닌 40미리 쿨러들 달아논거는 거이 쓰레기급입니다. 버린것만 몇개 됩니다.


QnA
제목Page 496/5730
2014-05   5266121   정은준1
2015-12   1791040   백메가
2022-06   4159   무쏘뿔처럼
2011-04   6563   명성호
2018-07   3126   이윤주
2019-09   3439   나파이강승훈
2024-02   5285   초보자에용
2017-04   3658   김지훈83
2020-12   2835   2CPUI김세훈
2016-05   7879   김영민75
2016-05   8393   바람이되어서
2022-06   1449   죠슈아
2011-04   6987   가빠로구나
2011-04   6113   데이비드
2015-03   8881   미친소랑이
2019-09   2909   2CPUI김세훈
2024-02   2486   산골농부
2011-05   7227   복일성
2018-07   3499   밤차
2015-03   3650   뚜뚜김대원
2016-05   11243   이선호
2020-12   2940   조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