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3377 |
25 |
2015-12
1793377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8344 |
0 |
2014-05
5268344
1 정은준1
|
105055 |
큰이미지 프린트할때 쪼개서(A4,9분할) 분할인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을까요? (7) |
박중석 |
2013-08 |
91370 |
0 |
2013-08
91370
1 박중석
|
105054 |
컴퓨터에 스피커를 2대 연결하려면? (4) |
VSPress |
2015-01 |
24705 |
0 |
2015-01
24705
1 VSPress
|
105053 |
한달에 100kWh 미만으로 나오는거 정상 일까요? (9) |
정희섭 |
2018-05 |
3683 |
0 |
2018-05
3683
1 정희섭
|
105052 |
MAC 영상편집 스토리지 공유파일시스템 사용은? (15) |
정영철 |
2023-10 |
2900 |
0 |
2023-10
2900
1 정영철
|
105051 |
Ebay 배송 지연 관련하여 질문입니다. (6) |
원시인7 |
2018-05 |
6128 |
0 |
2018-05
6128
1 원시인7
|
105050 |
MOSFET 4804N 하나만 구하려면 어디서 구매 가능할까요? (12) |
SPD2 |
2022-03 |
2319 |
0 |
2022-03
2319
1 SPD2
|
105049 |
4G 폰에 5G 요금제 (4) |
Sakura24 |
2022-03 |
2686 |
0 |
2022-03
2686
1 Sakura24
|
105048 |
서로 다른 브랜드 서버들을 연결하는 것과 관련해서 문의 드립니다. (4) |
guzzi |
2022-03 |
2887 |
0 |
2022-03
2887
1 guzzi
|
105047 |
알리구매품 통관시 물류회사 문자 (14) |
안규민 |
2019-07 |
5610 |
0 |
2019-07
5610
1 안규민
|
105046 |
VForce NPC-104 비밀번호 설정 관련해서 (2) |
별들의속삭임 |
2020-09 |
3030 |
0 |
2020-09
3030
1 별들의속삭임
|
105045 |
장터에서. IBM ServeRAID-BR10i 케이블구해볼려고하는데요.. (1) |
백승철 |
2010-11 |
8762 |
0 |
2010-11
8762
1 백승철
|
105044 |
[질문] GVT-G 사용해보신분.......... (2) |
페르세우스 |
2018-05 |
4329 |
0 |
2018-05
4329
1 페르세우스
|
105043 |
10G 랜을 구매하였는데 장치관리자에서 에러가 뜨고 작동이 안 되네요 (11) |
봉봉이 |
2019-07 |
3978 |
0 |
2019-07
3978
1 봉봉이
|
105042 |
[생활] 혹시 자동으로 물이 공급되는 장치를 만들려고 합니다. (12) |
정은준1 |
2010-11 |
8924 |
0 |
2010-11
8924
1 정은준1
|
105041 |
m2 nvme ssd를 x99에 장착하려고합니다.다빈치도 질문좀 (22) |
굴렁쇠 |
2022-03 |
3761 |
0 |
2022-03
3761
1 굴렁쇠
|
105040 |
프로그램 개발 관련 문의 드립니다. (16) |
풀로드시스템 |
2013-09 |
8984 |
0 |
2013-09
8984
1 풀로드시스템
|
105039 |
윈도우2008R2 문의 (3) |
song05 |
2010-12 |
7121 |
0 |
2010-12
7121
1 song05
|
105038 |
윈도우 7 프리징 현상 관련 질문드립니다. (3) |
Carolus |
2013-09 |
7334 |
0 |
2013-09
7334
1 Carolus
|
105037 |
네트워크 연결 관련 문의 드립니다. (4) |
DDAYs |
2015-01 |
3415 |
0 |
2015-01
3415
1 DDAYs
|
105036 |
타임바가 딜레이없이 작동되는 고화질 동영상 재생기 추천 좀 해주세요. (5) |
장동건2014 |
2013-09 |
12286 |
0 |
2013-09
12286
1 장동건2014
|
장터에 H200이나 H310 같은 레이드 카드를 구매하셔서 IT 모드로 플래싱하시면 됩니다.
장당 1~2만원이라 가격도 착하구요. 카드 1개당 8개 연결 가능합니다.
여기 QnA게시판이나 RAID 게시판에서 H200, H310으로 검색하시면 많은 정보를 얻으실수 있을꺼에요!
혹시 이거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 수 있나요?
슬롯 맞는 보드에 장착만 해도 알아서 인식 잘 하나요?
또 sata 확장카드와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RAID 카드에 IT 모드 펌웨어를 입히면 SATA 확장카드랑 다르지 않은 것으로 전 이해하고 있어요.
단 NAS는 하드웨어만으로 돌아가는 장비는
아니기에 NAS엔진에 맞는 하드웨어가 필요하겠죠..
어떤 NAS엔진을 사용하실 것인가요??
하드에도 모터가 들어가는데 모터에는 시동전류라는게 있어요.
전기가 없어서 인버터를 써야하는 환경에서 드릴같은거 700w짜리 쓰시면 켤때는 2k 정도 드니까 인버터도 700w짜리쓰면 가동이 안되서 2~3k짜리 인버터를 써야하는것과 같은 거죠.
대충 안맞을수도 있는데 3.5 기준으로 16개면 맥스값 기준으로 500와트가 넘을수도 있습니다.하드만!!
문론 hba쓰시면 분산해서 켜지기 때문에 그만큼은 들지 않지만 16개의 하드를 사용하시면서 저전력을 신경쓸 이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hba 2개를 사용하시려면 pcie x8 or x16슬롯이 2개가 있어야 하는데 저전력 아톰cpu같은경우는 pci레인 자체가 몇개 없습니다. 그리고 hba 열 많이 납니다.
쿨링팬 안대주면 고장날수 있습니다.
결국은 저전력cpu + 일반보드로 가야하는데 하드는 5v가 중요하거든요. 16개 안정적으로 돌릴수 있는 파워찾는것도 힘드실듯 합니다.
가장좋은 방법은 여기 판매 페이지 뒤지셔서 하드 많이 들어가는 서버를 찾으시는게 베스트가 될듯합니다.
그것도 약간의 문제가 있긴 한데 서버에 헤놀이나 다른 nas os
깔려면 일반컴보다 더 머리가 아픕니다^^;
돈이 많으셔서 나는 18테라짜리 16개 간다 이것이 아니시라
저처럼 저렴한 저용량하드 여러개로 만들어 봐야지 이생각이시면 돈좀 보태서 고용량 몇개로 가시는게 머리도 덜아프시고
전기도 훨씬 덜먹습니다.
Nas는 오래켜져 있어야해서 파워도 중요하고 온도도 중요한데
하드가 많아지면 전기를 많이먹고 그러면 열이많이나고 그러면 하드 수명 떨어지고..
서버는 풍량이 상당히 쎄서 상관없지만요..
그리고 nas가 처음에는 용량크게만들면 많이 쓰겠지 생각하다가 막상 만들어 놓으면 생각보다 안쓰게 됩니다
영화다운받아 보다가 결국 넷플릭스 가구요 ㅜㅜ
저도 넷플 디즈니 웨이브 티빙 왓차 다 쓰고 있네요..ㅜㅜ
가족 사진도 생각보다 용량 많이 안먹습니다.
제가 적게 찍었는지 모르겠는데 10년치 해도 200기가 안먹습니다.
그런데 헤놀이든 시놀이든 얼굴인식이 엉망이라 원본저장하고 또 구글포토로 다시 올립니다
목적성을 생각하시고 nas만들 돈 노력 고통 인내 ㅜㅜ
이런것들을 차라리 분산하시는게 ..
그러니깐 넷플릭스 결제하시구요.
가성비는 왓차가 좋은듯 합니다.
이번에 웹툰보는기능도 추가 ..
구글원 년간 요금제 이용하시구요..
구글포토에 백업할 방법만 검색하기에도 많은 노력이 요구됩니다..
nas는 아톰 j 시리즈로 저용량 2개 만드셔서 (2~4테라)
하나는 메인 하나는 백업..
딱히 레이드 할필요 없습니다. 문제일으킬 확률만 높일뿐.
Nas는 백업이 생명..ㅎㅎ
그렇게 사용해보시고 부족하다 싶으시면 sata 확장카드로 4~6개 정도는 무리없이 확장 가능하니 그때 고려해 보세요..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경험상..^^;;
12400T같은 애로요
그런데 하드 16개 hba 2개가 되는 순간 cpu파워는 큰 의미가 없습니다 ㅎㅎ
CPU 전력 수십왓 아껴봤자 하드 몇개 모터 돌리는 전력밖에 안 됩니다
그리고 잉텔 T라인업 요즘 상태가 게그 수준이라 S랑 전.혀. 차이 없는 전력 소비를 보여줍니다 (35왓(1기가)이라 적고 200왓(5기가)이라 읽기까지하는 노답들에게 저전력을 요구하셔도 곤란합니다)
기업용이거나 개인이 특별한 용도로 사용하지 않는 한, 개인 NAS는 4베이 정도가 여러모로 편리한 것 같습니다.
저도 베이를 늘리는 것 보다는 4베이 상태에서 HDD를 점점 고용량으로 교체하는 방향으로 업그레이드를 하게 되더군요.
실제 데이터 날려먹고 어떤지 경험해봐야 재대로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구글원 구독해서 중요한것은 구글에 백업하고 나머지는 날아가던지 말던지 하며 쓰고있습니다.
레이드5 고 6이고 다 소용 없는것 같아요.
하드 하나라도 날아가면 전문가는 모르지만 개인으로는 머리아파집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레이드 장비는 비싸고 데이터를 리빌딩하니까 만능이 이다 라는 생각을 대부분합니다..
하드디스크는 소모품입니다..
레이드는 백법만이 살 길입니다..
데이터 복구한다고 복구전의 데이터와 100% 똑같다고 검증이 가능하신가요??
일반적으로는 불가능합니다..
제경우 2.5" ~9mm 4베이밖에 안 되는넘으로 하느라 용량 늘리느라 결국 SSD로 도배해버렸네요 (저소음, 소형, 저발열은 다 잡았습니다)
16개쯤 HDD 달꺼면 어차피 보드나 시퓨 전력 깍아봤자 티도 안 납니다
그냥 무시하고 확장성 높은 보드 가세요
어차피 16개쯤 달려면 RAID 2개정도 달아야하고, 제성능 뽑을려면 CPU Lane을 분할 가능한 Z나 C로 가시는걸 추천합니다 (x16 -> x8*2로 한다음 2개 물리세요)
Z나 C계열 보드중 저렇게 되는 보드 산다음 (아마 mATX론 힘들고, ATX 가셔야 할껍니다), 거기 호환되는 시퓨 박고, 디스크 개수 고려시 램 16~32기가 이상 장착후 (디스크 개당 용량에 따라 저걸론 택도 없을 수 도 있습니다) 케쉬용 SSD는 NVMe로 500~1테라정도 2개쯤 다시는걸 추천합니다 (이걸 생각하면 11세대나 라이젠 5000대 이상으로 가셔서 CPU Lane을 8+8+4. PCH Lane을 4해서 각각 RAID/RAID/NVMe/NVMe 이렇게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어차피 하드값에 비하면 보드나 시퓨값은 새발의 피)
다만 16개쯤 달려면 케이스랑 파워가 정말 골치아픈 사항이 되니 그냥 벤더에서 나오는 Storage 쓰시던지, 하다못해 디스크는 벤더제 DAS로 붙인다음 본체를 따로 구성하시는걸 추천합니다 (8~10개 이하라면 자작해볼만하지만 이 이상은 자작자체를 추천 안 합니다)
이외에 저정도 되면 저용량 하드로 구성해도 50테라는 간단하게 넘기니 백업 수단도 고민해보셔야 합니다
우선 레이드 카드나 HBA카드가 고용량 하드를 제조사에서 공짓적으로 지원해주어야 하는데 그게 쉽지 않고
보통 개인은 PC용 하드를 사용할려고 하고 RAID카드 제조사는 기본이 서버용 하드를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니까요..
대신 디스크 개수가 늘어나면 케이스부터 시작해서 골치아픈 요소가 뒤따르니 적당히 저울질해봐야죠 (저런 개수를 할려면 자작자체를 비추하고 픔)
본문처럼 16베이나 구축할려면 서버용 케이스 써도 타워형에서는 거의 보기 힘들어요 (보드같은거 신경쓰기 이전에 케이스랑 파워 확보부터 머리 썩어야 함) (거기다 서버용 케이시는 기본 단품으로 안 파니 서버를 통으로 구할꺼면 저런거 고민할 필요가 없죠)
다만 개당 용량이 늘어나면 RAID 리빌드 시간이 늘어나고, 그만큼 데이터 망실 가능성이 올라가는것도 신경쓰이네요 (이런 의미에선 고용량 볼름 자체가 너무 위험하다고 봅니다)
조립제품은 시장규모가 작아서 그런지 타워 전체에 하드를 꼽을수 있는 제품이 거의 없습니다..
그나마 치아코인땜에 빅타워에는 6~8베이용 케이스 조금 보이긴하는데, 하드빼면 나머지는 크게 공간 필요도 없는데 이런 케이스 쓸바엔 핫스왑 베이 + ITX 케이스로 탑쌓기라도 하는게 나은거같아서 안 쓰게 되네요
최근 몇년간 자작한넘들은 전부 구형 케이스 중고를 쓰거나 알리에서 주문한걸로 디스크 베이를 추가해서 구축했네요 (이러면 미니 타워에 6베이도 충분함) (전면팬 있는 케이스의 바닥에 나사 구멍을 뚤어서 베이를 장착후 거기 디스크 꽃으면 전면팬이 냉각해줘서 냉각도 감당되어서 편함)
JONSBO N1 NAS (http://prod.danawa.com/info/?pcode=15462080)같은 케이스도 보이긴하는데, 베이 개수가 1개만 더 많았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네요 (C가 아닌 이상 온보드 6개가 많으니 그걸 다 하드로 채우고픔)
어쩃든 저렴하게 ~100테라정도로 4~8베이정도 구축하는거라면 모르겠지만, 그 이상은 기본 자작자체를 추천하고 싶지가 않네요 (여러모로 골치아픈 요소가 너무 많음)
아직 747케이스는 재대로 된 중고를 못봐서 구매를 못했습니다.. (재일 좋은게 2000와트 리던던트 버젼)
아톰 시리즈는 불가능하다고 보시면 될겁니다.
그리고 sas hba 1개당 15~20w 정도를 상시로 먹습니다. 하드는 스핀업하는 순간이 피크인데 이때 개당 25~30w 먹고 일반적인 작동상황에서는 10w
HBA는 Host Bus Adapter 의 준말로 본래는 RAID 카드만 지칭하는 것이 아니며 여러가지 컴퓨터에 들어가는 I/O카드중에 DMA를 사용하는 카드들
이야기 합니다..
랜카드 /FC카드 /1394카드 / SCSI 카드 등등등
그리고 RAID 카드도 크게는 2가지로 나뉩니다..
잘 아시겠지만 일반 PC용 ATX파워로는 감당이 안되죠..
그나마 저런 케이스 구하면 케이스 문제는 해결이 되겠군요 (요즘 하드 개수가 줄어드는게 대세라 그런지 빅타워쯤 되어도 10베이도 보기 힘듬)
그나져나 요즘 하드 개당 20테라가 코앞인 시대에 16베이를 채우면 꽤 큰 용량이 되는데 목표 구축 용량이 얼마나 되는걸까요 (100테라 이하가 필요한거라면 6~8베이에 고용량 채우라고 추천하고 싶네요)
6베이로 채울꺼면 복잡한거 필요없이 온보드에 다 붙인후 7~800왓정도의 파워 하나 물리면 끝나고, 8베이라도 H310같은거 1개면 끝이니까요
과하게 비유해보면
25톤 화물차에 2천씨씨급 엔진탑재하려고하니
2천씨씨급 연비와 구매비용이 나오길 바라는것과 같습니다.
디스크 16개 스토리지면 구매와 유지에 들어가는 금액이 엄청나다고 각오하셔야 합니다.
https://www.2cpu.co.kr/hardware_2014/36560?&sfl=wr_name%2C1&stx=%B9%DA%B9%AE%C7%FC&sop=and&page=3
36베이 스토리지 서버 만들기
https://www.2cpu.co.kr/hardware_2014/37935?&sfl=wr_name%2C1&stx=%B9%DA%B9%AE%C7%FC&sop=and&page=2
24베이 스토리지 서버 만들기
언제 작성된 글인지 확인하시고요..
디스크 갯수가 많아지면 저런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검증된 것중 그나마 저렴하게 들어가는 솔류션입니다..
위의 링크 제품도 개인이 쓰는 제품은 아닙니다만 진짜 재대로 하시려면 벤더에서 나오는 완제품 하시면 됩니다만
개인이 구매할수 있는 범위를 넘어갑니다..
이 사이트에 제이름으로 검색하면 글과 댓글이 대략 2만개쯤 나오는데 (여기 가입된지 20년이 넘어가기에)
그것들 하나하나 읽어보시면 어느 정도 관련된게 그럭저럭 나올겁니다..
하드 전기먹는 것에 대한 글입니다..
옛날에는 하드 전기먹는것에 대한 글이 많았는데 거의다 없어졌습니다..
저기에 대한 기초 자료는 하드 디스크 1개가 꺼져 있다가 켰을때 동작하기 위한 전기의 양이 얼마나 되느냐에 따릅니다..
요즘은 잘 안보이지만 하드디스크 테크니컬 스팩데이터를 보면 잘 설명 되어 있습니다..
하드디스크는 일반적으로 12V(플레터 모터 구동용)와 5V (전자 회로 구동용) 을 사용하는데 각각의 전압이 최대로 사용되는 피크치와 시간영역이 있습니다..
스토리지에 사용되는 파워는 이 전기 먹는 것을 잘 견뎌야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요즘 나오는 SSD는 전기 먹는 것이 하드와는 전혀 다른 페턴입니다.. 개인용과 기업용 또 많이 다르고요..
심지어는 ATX 5.0에 12핀 달린 파워는 순간 부하 정격의 2배까지 버텨야 인증받을 수 있다고 하네요
다만 5V 쓰는데가 많이 줄어든 영향으로 전체 용량에 비해 공급 가능 상한이 많이 줄어들어서 이쪽이 문제일듯합니다
요즘 디스크 개당 용량도 커져서인지 일반적인경우 저런 대단위 디스크플 기업용 아니면 보기 힘들어져서 자료도 잘 안 보이네요 (기업경우 그냥 벤더제 사는 경우가 많아서 저런거 신경도 안 쓰는 경우가 많음)
그리고 80 인증을 받을려면 효율이 좋아야 하는데 그렇게 하려면 12V를 1차로 만들고 그 12V를 쏘스로 DC-DC 컨버터를 거져
5V /3.3V를 만드는 구조로 가야 하는데 그렇게 하면 각 전압간의 타이밍문제가 발생하기에 이것을 조절하는 것도 일이라고 하네요..
혹시 16베이 케이스 어떤건지 알려 주실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