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쓰레드리퍼 안정성 어떤가요?

Xecus   
   조회 3491   추천 0    

현재 사용중인 웍스는 8280 두개를 넣어 사용중입니다


웍스를 새로 하나 맞추려고 하는데


intel xeon 또는 amd threadripper 둘 중 하나로 고려중입니다

요즘 쓰레드리퍼 안정성이 많이 올라갔다고 하는데

실 사용시에는 어떤지 궁금합니다

수치해석이나 3D 랜더용으로 괜찮나요?

서명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2-10
실 사용자는 아니지만

CPU는 쓰레드리퍼와 쓰레드리퍼 프로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쓰레드리퍼/쓰레드리퍼 프로 보드나 시스템을 만드는 제조사와 제품이 몇개 안됩니다..

국내에서는 그나마 쓰레드리퍼 프로 지원하는 ASUS 보드 제품이 주로 팔리는 것 같습니다.. (그 외는 거의 없다시피 하다고 생각합니다..)
레인보우7 2022-10
2cpu 자게에도 오래전에 토발즈가 쓰레드리퍼 쓴다는 내용이 올라와서 토발즈가 쓸정도면 안정성? 성능은 나름 괜찮은듯  합니다.
찾아보니, PC웍급으로 기가바이트도 지원하는 보드가 있네요.
GIGABYTE WRX80-SU8-IPMI
https://prod.danawa.com/info/?pcode=14647910

[비교]  intel-xeon-platinum-8280  vs threadripper-pro-3975wx
https://gadgetversus.com/processor/intel-xeon-platinum-8280-vs-amd-ryzen-threadripper-pro-3975wx/
박문형 2022-10
https://www.youtube.com/watch?v=ZtNVJw4TTH4

여기 보시면 신제품으로 두가지 제품이 나오는데 둘 다 국내에는 수입이 안된 것 같고 수퍼마이크로 제품은 완제품만 팝니다..

그리고 쓰레드리퍼프로는 아직은 레노버에서만 벤더 제품으로 나와 있으며 장터 뒤지면 판매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브랜드 웍스로는 레노보의 P620 도 있습니다.
sbg2005 2022-10
3세대에 들어선 신뢰성 많이 올라왔습니다.

1세대는 진짜 별에별 오류들이 많았지요.
3000번대는 괜찮다고 합니다. 1000번대랑 2000번대는 평이 그다지 좋지가 않더라구요.
특히 1000번대는 레거시 어플리케이션(vc6?으로 컴파일된 20년 넘은 어플리케이션들)에서 성능이 제대로 안 나오는 버그도 있다고 어디서 본거같기도 하네요.
김우진 2022-10
3960X 조립컴 쓰고 있습니다. 언버퍼램 256 GB 끼우고 리눅스 환경에서 생물정보학 계산용으로 사용하는데, 한번 계산 시작하면 십여시간 동안을 95% 이상의 메모리와 시피유 사용률로 굴리지만, 특이 사항은 아직까지 한번도 없었습니다.
영산회상 2022-10
저도 3960x 쓰는데 인텔 cpu 대비 안정성의 차이점은 모르겠네요...
prisms 2022-10
5965wx 워크스테이션으로 사용중인데, 안정적으로 사용중입니다.


QnA
제목Page 472/5727
2014-05   5254104   정은준1
2015-12   1779057   백메가
2016-10   5521   앙드레준
2019-02   3775   원상현
2023-03   1506   전설속의미…
2009-06   9908   박재영
2015-10   4226   이해하면오…
2016-10   4034   AplPEC
01-21   2681   안토니오김
2019-02   3598   hydetky
2021-08   2435   미수맨
2016-10   3874   나파이강승훈
2019-02   3189   김준유
2017-11   5908   천외천oo노…
02-10   406   쭈쭈봉
2023-03   1545   drama
2012-10   4795   obawang
2023-04   2211   kmj343
2015-11   4182   회원K
2016-10   4635   박문형
2017-12   5696   나라사랑
2021-09   3308   hdsni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