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2636 |
0 |
2014-05
5242636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7960 |
25 |
2015-12
1767960
1 백메가
|
4110 |
Dell h1000e-00 일반pc에 사용가능한가요 (3) |
2CPU최주희 |
2020-12 |
2962 |
0 |
2020-12
2962
1 2CPU최주희
|
4109 |
raid 1 에 대해서 궁금한게 (5) |
가빠로구나 |
2011-05 |
6451 |
0 |
2011-05
6451
1 가빠로구나
|
4108 |
리안리 TU-200 케이스 파츠 구하려고 하는데.... |
오성기 |
2018-08 |
3642 |
0 |
2018-08
3642
1 오성기
|
4107 |
직원 50명 정도인 회사의 인터넷 구성. (12) |
NeXT |
2011-06 |
6821 |
0 |
2011-06
6821
1 NeXT
|
4106 |
i5 3470T 마이크로 서버 gen8에 사용가능한걸까요 ??? (17) |
anh |
2016-05 |
8582 |
0 |
2016-05
8582
1 anh
|
4105 |
그래픽 카드 쿨러 윤활유로 뭘 써야 되나요? (14) |
헥사코어 |
2021-01 |
9271 |
0 |
2021-01
9271
1 헥사코어
|
4104 |
하나의 보드에 레이드 컨트롤러를 두개이상 쓸수 있을까요? (8) |
똥배오빠 |
2011-06 |
7077 |
0 |
2011-06
7077
1 똥배오빠
|
4103 |
xpenology + H310 인식 문제 (3) |
s김종화z |
2018-08 |
3976 |
0 |
2018-08
3976
1 s김종화z
|
4102 |
PCI 랜카드 인식불가 문제 (4) |
봉래 |
2022-07 |
3683 |
0 |
2022-07
3683
1 봉래
|
4101 |
사무실에서 10기가 스위치 사려는데 넷기어 xs728t 10기가 스위치 괜찮을까요? (7) |
새로운차원 |
2024-03 |
1818 |
0 |
2024-03
1818
1 새로운차원
|
4100 |
M1015 드라이버 문의드립니다 |
AKA지니 |
2013-11 |
4333 |
0 |
2013-11
4333
1 AKA지니
|
4099 |
발뒤꿈치 통증 정형외과? 한의원? 신경외과? (10) |
으라차차차 |
2018-08 |
4860 |
0 |
2018-08
4860
1 으라차차차
|
4098 |
간만에 이베이에서 구매하는데 헷갈리네요 (2) |
쌍cpu |
2017-05 |
3921 |
0 |
2017-05
3921
1 쌍cpu
|
4097 |
Brocade san 스위치 구성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3) |
나두련 |
2024-03 |
1613 |
0 |
2024-03
1613
1 나두련
|
4096 |
FAN 4pin pwm기능에 대해서 아시는 분 계신가요? (6) |
김대원 |
2013-12 |
6009 |
0 |
2013-12
6009
1 김대원
|
4095 |
방화벽 A-S 페일오버시 IP/MAC 가져가는 기술이름이 아시는분?? (8) |
공백기 |
2022-08 |
1646 |
0 |
2022-08
1646
1 공백기
|
4094 |
mgmt의 스위치의 기능이 무엇이 있나요? (4) |
윌라멧 |
2017-05 |
11856 |
0 |
2017-05
11856
1 윌라멧
|
4093 |
0x00000044 블루 스크린 에러, HDD 전송 관련으로 보이는데... (2) |
유호준 |
2013-12 |
5377 |
0 |
2013-12
5377
1 유호준
|
4092 |
z620 집에서 24시간 돌리면 전기세 많이 나가나요? (14) |
킵고잉 |
2019-10 |
8072 |
0 |
2019-10
8072
1 킵고잉
|
4091 |
하단 라우터 Null, 상단 라우터 부하관련 (9) |
컴박 |
2024-04 |
1551 |
0 |
2024-04
1551
1 컴박
|
무식하니 몸이 고생합니다 ㅠㅠ
각 계좌 별 인 지 개인별 합산 인 지, 그리고 만약 정기 예금이 아니고 펀드를 권유하기도 합니다 만, 펀드는 아무리 원금보장형이라고 하더라도 원금 보장되는 것은 아닌 예금과 달리 손해를 볼 수 있는 투자상품에 해당되어 손실 날 수도 있을뿐더러 중도 해지 수수료율도 타 상품보다 많이 있어 가입자로서는 손해입니다. 창구직원의 말에 현혹되면 안 되고 본인이 지식을 쌓아서 금융기관 별로 좋은 상품들(소액이 대부분입니다) 가끔 이벤트 형식으로 나오기도 하니 잘 보아서 가입하시길 바랍니다.
뭐가 되었든 정기예금으로만 할 예정이에요
빠르면 6개월?
일반적으로 1년 잡아야돼요.
실제로 부산 저축은행 사태때 피해자들이 돈 받았을때 1년 걸렸구요
물론 100% 안전한건 아니라서 5천만원 이하까지만 보장이 되니 적당히 넣어두세요.
혹시 부도나면 이리저리 뛰어다녀야 될까 걱정되서 질문했어요 ㅎㅎ
새마을금고는 법적으로 협동조합이죠.
근데, 그게 의미가 없는게 금융기관은 결국 안정성이고,
안정성은 결국 예금자보호법으로 적용되니까
저축은행이냐 새마을금고냐가 중요한게 아니고
예금자보호법이 적용되는 기관인가 상품인가 아닌가
가 중요한거겠죠.
새마을금고도 예금자보호법에 적용되는걸로 알고는 있는데, 해당 상품이 적용되는지는 본인이 확인 해 보시는 게 맞아 보입니다.
그러니까 일반 은행하고 동급은 절대 아닙니다
자체 재원에 문제가 생기면 못 받을 수도 있는 것입니다
예금보험 공사하고 상관없습니다
지금같이 금융이 불안할때는 그냥 안전한 은행에 두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자 높게 준다는 것은 돈이 급하다는 것이고 위험 요소가 있다는 것입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은 저축은행, 신협, 새마을 금고 근처에도 않갑니다
어떤 분들은 적당량 현금은 본인이 직접 보관한다고도 합니다
저축은행만이 1금융과 같은 예금보험공사에서 해주고요.
며칠 공부좀 해보고 예금에 들어가야겠습니다 ㅠㅠ
말난김에 자세히 알아보세요
어떤분이 하시는 말씀이 우리 나라 사람들은 버는 데만 열심이구 관리에는 신경을 쓰지 않는다구요
2.공사는 내가 예금을 하면 예금금액의 일정%를 보험료로 가져가서, 그것으로 재원으로 굴러가죠.
3. 공사의 보험대상은 1금융권과 저축은행의 예금 및 보험사들의 보험상품들중 일부 입니다.
4. 신협과 새마을금고,지역농협등 제2금융권은 법에 의해 예금의 일부%를 공사의 보험금처럼 적립하여 준비하도록 강제하고 있습니다. 이부분은 대단히 중요한 부분으로 이걸 건드리면 해당 기관은 바로 날라갑니다. 이는 법적으로대단히 강하게 구속하는 부분임니다. 지불 준비금과는 비슷하지만 다른 겁니다. 전에 법개정을 통해 이부분을 지불준비금으로 넣는다 만다해서 업계에서는 난리가 난적이 있었는데..지금은 모르겠네요.저도 법을 봐야 하는데..요즘은 개을러져서..ㅎㅎ
5. 증권사의 CMA는 예금이 아닌투자상품이므로 이런 보험을 법적으로 강제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자가 좀 더 높습니다.보험금이 않나가서요.대신 문제발생시 다날리는건 당연합니다.
6.우체국은 공사가 아닌 국가가 직접 보호 합니다. 그것도 전액....단...그만큼 이자는 짭니다(아니...거의 없다시피 합니다.)
대신 안정성은 가장 좋습니다. 어떤일이 있어도 이돈은 지켜야한다면 우체국에 넣으세요.단 이자는 기대하지 마시구요.
7. 저축은행이 부도나면..이번에는 1금융권도 부도 납니다. 1금융권들이 저축은행들을 계열사로 거느리게 되면서....
서로 물려 있는 상황이라.....그래서...지금 금융당국이 재빨리 개입한 이유가...증권사까지는 피해가더라도...은행권에는 불똥이 최대한 덜 튀도록 하기 위함이란 소문도 돌고 있습니다. 특히 몇몇 저축은행은 자칫잘못하명 외교문제까지도 비화가 가능해서.....ㅎㅎㅎㅎ
그럼에도 신협을 제외하면 나머지 두 곳은 돈을 떼일 위험은 웬만하면 없습니다. 일단 우체국예금은 법률에 의거하여 아예 국가(정부)가 예금 전액을 보장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즉 예금보험공사를 뛰어 넘는 존재가 예금을 보장하는 셈이라 안정성은 훨씬 높습니다. 새마을금고는 행정안전부 소관 기관이며 새마을금고중앙회 차원에서 예금보험공사와 동일한 예금 보장 제도를 운영합니다. 신용협동조합 역시 신협중앙회 차원에서 예금 보장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다만 뒷배가 없는 신협은 중앙회 자체가 나가 떨어질 가능성을 0라고 할 수 없지만, 일단 정부가 뒷배로 있는 새마을금고는 중앙회가 나가떨어질 가능성은 우리나라 대형 은행이 나가 떨어질 가능성보다도 낮습니다. 정부 그 자체인 우체국이야 더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추신: 단, 새마을금고의 '출자금'은 예금이 아니기에 보호 대상이 아닙니다.
각 독립 지점별 소량 출자해서 기금 조성해서 보호합니다... ==> 그기금이 얼마나 쥐꼬리 만한지 보면
각 독립이라 지점별로 경영공시보시고 선택하시면 됩니다. 현시점에서는 채권위주의 지점이 안전하겠죠 그나마 .국채위주 (그런데 안전한곳은 금리 짭니다.)
2. 출자금 이건 투자라 보호 대상아니며 ..작금의 경제상황을 사전에 이미 어느 정도 예견 되었던터라 협동조합급의 금융업체 (새마을,신협등은) 자기자본의 급작스런 유출을 방지하기위해 출자금 출금을 지연하는 방법을 미리 작업해 뒀습니다.
3. 예금자보호 ?? 예금보호공사의 기금... 과연 얼마나 될지 보시면 ㅋㅋ <=세금 보전이 되겠지요
4. 향후 .. 전 정권에서 선진국임을 선언 하였음으로 은행 부실에 대한 베일인 제도를 시행할 가능성이 높아 졌습니다.
항시 안전하다고 하는 것들이 한순간에 부실로 바뀌는것이 세상이라 .. ..
개인소유 지점은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기업은행 창구 가셔서 중금채 정기예금 만들러 왔다 하시거나 비대면이면 정기예금상품 중에 중금채라고 써진 예금 가입하시면 됩니다.
중금채는 국가에서 전액보증합니다.
알고 있습니다.
중앙회도 존재하고 금융망은 공동사용이나
지점은 별개로 운영됩니다.
(같은 동네에 새마을금고가 여러개더라도
지점이 다르면 별개로 봅니다.
입출금은 가능하지만 예적금은 따로 가입합니다)
저도 5년가까이 새마을금고를 쓰는데 별 문제는
없었습니다.
불안하시다면 규모가 큰 지점에서 가입하시거나
1금융권을 추천드립니다.
참고로 출자금이 아닌 일반 예적금은 예금자보호가
되며 각 지점마다 적용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금액이 크다면 각 지점마다 한도내로 예치
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