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협 새마을금고도 저축은행인가요?

   조회 2698   추천 0    

 예금을 하나 들까 하고 알아보는데요


 이런쪽은 무식해서 하나도 모릅니다 ㅠㅠ


 최근 인터넷 소문을 보니 저축은행 부도위기라고 절대 하지말라더라구요


 유명은행은 금리가 4.5%정도 되는데 신협이나 새마을금고는 5를 넘어가네요


 이런곳도 저축은행인지 아닌지 몰라서 질문 남겨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헬로우 2022-10
키워드 "예금자보호법"  검색 하셔서 해당 내용에 대한 상식을...
     
병따개님 2022-10
그 법을 보긴했는데 부도나면 괜히 귀찮은 일이 많이 생길까봐요 ㅎㅎ
          
헬로우 2022-10
부도 나도 상품에 따라 보호해 주는 것이 해당법 내용입니다
               
병따개님 2022-10
해당내용 한번  다시보고 직접 창구가서 물어보며 해야겠네요
무식하니 몸이 고생합니다 ㅠㅠ
                    
헬로우 2022-10
창구 직원도 잘 모를 수 있습니다.
각 계좌 별 인 지 개인별 합산 인 지, 그리고 만약 정기 예금이 아니고 펀드를 권유하기도 합니다 만, 펀드는 아무리 원금보장형이라고 하더라도 원금 보장되는 것은 아닌 예금과 달리 손해를 볼 수 있는 투자상품에 해당되어 손실 날 수도 있을뿐더러 중도 해지 수수료율도 타 상품보다 많이 있어 가입자로서는 손해입니다.  창구직원의 말에 현혹되면 안 되고 본인이 지식을 쌓아서 금융기관 별로 좋은 상품들(소액이 대부분입니다) 가끔 이벤트 형식으로 나오기도 하니 잘 보아서 가입하시길 바랍니다.
                         
병따개님 2022-10
복잡하군요
뭐가 되었든 정기예금으로만 할 예정이에요
     
예금자 보호는 해주는데 뱅크런 생기면 바로 돈을 주는게 아니라 보통 1년 걸립니다
빠르면 6개월?

일반적으로 1년 잡아야돼요.
실제로 부산 저축은행 사태때 피해자들이 돈 받았을때 1년 걸렸구요
Qsup 2022-10
2금융권은 맞지만 법적으로 어느정도는 보호를 받는 단체라서 일반 저축은행보다는 안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100% 안전한건 아니라서 5천만원 이하까지만 보장이 되니 적당히 넣어두세요.
     
병따개님 2022-10
그래도 저축은행과 어느정도 구분은 하나보군요
혹시 부도나면 이리저리 뛰어다녀야 될까 걱정되서 질문했어요 ㅎㅎ
스케빈 2022-10
가입하시려는 상품이 예금자보호법 대상인지 확인하시구요, 이자 포함 5000만원 이하 입니다.
     
병따개님 2022-10
5천까지는 할 능력이 없으니 걱정은 좀 덜어도 될듯하네요 ㅎㅎ
새마을금고는 저축은행과 다릅니다. 법적으로는.
새마을금고는 법적으로 협동조합이죠.

근데, 그게 의미가 없는게 금융기관은 결국 안정성이고,
안정성은 결국 예금자보호법으로 적용되니까

저축은행이냐 새마을금고냐가 중요한게 아니고
예금자보호법이 적용되는 기관인가 상품인가 아닌가
가 중요한거겠죠.

새마을금고도 예금자보호법에 적용되는걸로 알고는 있는데, 해당 상품이 적용되는지는 본인이 확인 해 보시는 게 맞아 보입니다.
이원재K 2022-10
저축은행은 시중은행과 동일한 예금자보호법이 적용되고 예금보험공사에서 지급합니다. 새마을금고는 금고중앙회에서 지급합니다.
하셀호프 2022-10
새마을 금고에서도 5천만원까지 지급을 합니다만 자체 재원으로합니다
그러니까 일반 은행하고 동급은 절대 아닙니다
자체 재원에 문제가 생기면 못 받을 수도 있는 것입니다
예금보험 공사하고 상관없습니다
지금같이 금융이 불안할때는 그냥 안전한 은행에 두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자 높게 준다는 것은 돈이 급하다는 것이고 위험 요소가 있다는 것입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은 저축은행, 신협, 새마을 금고 근처에도 않갑니다
어떤 분들은 적당량 현금은 본인이 직접 보관한다고도 합니다
흑기사 2022-10
신협은 신협중앙회, 새마을금고는 새마을금고중앙회에서 예금자보호 해줍니다. 예금보험공사와는 무관하고요. 증권사 CMA와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될겁니다. 국가기관 차원의 보호시스템은 없는데 굴러가는 구조상 국가가 망하기 전에는 망하기 힘든 종류.

저축은행만이 1금융과 같은 예금보험공사에서 해주고요.
병따개님 2022-10
답변을 쭉 읽어보니 조금 복잡하군요 ㅎㅎ

며칠 공부좀 해보고 예금에 들어가야겠습니다 ㅠㅠ
     
하셀호프 2022-10
복잡하다고 느끼신다면 제대로 가고 계신 것입니다 당연하지요 간단하면 도둑들기 쉬운 것입니다
말난김에 자세히 알아보세요
어떤분이 하시는 말씀이 우리 나라 사람들은 버는 데만 열심이구 관리에는 신경을 쓰지 않는다구요
1. 예금보험공사(이하 공사)가 언급되는데...이놈도 공사라서 부도날 수 있습니다.이번 레고사태의 문제....바로 공사라는거죠.공사가 발행함 채권에대한 보증을 취소한건데.....공사라는게 문제죠. 그덕에 지금 타공사의 채권도 난리난거죠.

 2.공사는 내가 예금을 하면 예금금액의 일정%를 보험료로 가져가서, 그것으로 재원으로 굴러가죠.

3. 공사의 보험대상은 1금융권과 저축은행의 예금 및 보험사들의 보험상품들중 일부 입니다.

4. 신협과 새마을금고,지역농협등 제2금융권은 법에 의해 예금의 일부%를 공사의 보험금처럼 적립하여 준비하도록 강제하고 있습니다. 이부분은 대단히 중요한 부분으로 이걸 건드리면 해당 기관은 바로 날라갑니다. 이는 법적으로대단히 강하게 구속하는 부분임니다. 지불 준비금과는 비슷하지만 다른 겁니다. 전에 법개정을 통해 이부분을 지불준비금으로 넣는다 만다해서 업계에서는 난리가 난적이 있었는데..지금은 모르겠네요.저도 법을 봐야 하는데..요즘은 개을러져서..ㅎㅎ

5. 증권사의 CMA는 예금이 아닌투자상품이므로 이런 보험을 법적으로 강제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자가 좀 더 높습니다.보험금이 않나가서요.대신 문제발생시 다날리는건 당연합니다.

6.우체국은 공사가 아닌 국가가 직접 보호 합니다. 그것도 전액....단...그만큼 이자는 짭니다(아니...거의 없다시피 합니다.)
    대신 안정성은 가장 좋습니다. 어떤일이 있어도 이돈은 지켜야한다면 우체국에 넣으세요.단 이자는 기대하지 마시구요.

7. 저축은행이  부도나면..이번에는 1금융권도 부도 납니다. 1금융권들이 저축은행들을 계열사로 거느리게 되면서....
    서로 물려 있는 상황이라.....그래서...지금 금융당국이 재빨리 개입한 이유가...증권사까지는 피해가더라도...은행권에는 불똥이 최대한 덜 튀도록 하기 위함이란 소문도 돌고 있습니다. 특히 몇몇 저축은행은 자칫잘못하명 외교문제까지도 비화가 가능해서.....ㅎㅎㅎㅎ
김준연 2022-10
우정사업본부(우체국예금), 새마을금고, 신용협동조합은 법적으로 은행(1금융권)이 아닌 2금융권으로 분류됩니다. 이들은 각각 별개의 법률에 의해 존재를 인정받는 곳들입니다. 그 법에 따라서 취급도 서로 달라집니다. 다만 공통적으로 예금보험공사의 예금 보호 대상은 아닙니다.

그럼에도 신협을 제외하면 나머지 두 곳은 돈을 떼일 위험은 웬만하면 없습니다. 일단 우체국예금은 법률에 의거하여 아예 국가(정부)가 예금 전액을 보장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즉 예금보험공사를 뛰어 넘는 존재가 예금을 보장하는 셈이라 안정성은 훨씬 높습니다. 새마을금고는 행정안전부 소관 기관이며 새마을금고중앙회 차원에서 예금보험공사와 동일한 예금 보장 제도를 운영합니다. 신용협동조합 역시 신협중앙회 차원에서 예금 보장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다만 뒷배가 없는 신협은 중앙회 자체가 나가 떨어질 가능성을 0라고 할 수 없지만, 일단 정부가 뒷배로 있는 새마을금고는 중앙회가 나가떨어질 가능성은 우리나라 대형 은행이 나가 떨어질 가능성보다도 낮습니다. 정부 그 자체인 우체국이야 더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추신: 단, 새마을금고의 '출자금'은 예금이 아니기에 보호 대상이 아닙니다.
페선생 2022-10
1. 신협 새마을금고 보호됩니다. (예금자 보호 아니라 자체 기금)
    각 독립 지점별 소량 출자해서 기금 조성해서 보호합니다... ==> 그기금이 얼마나 쥐꼬리 만한지 보면
    각 독립이라 지점별로 경영공시보시고 선택하시면 됩니다. 현시점에서는 채권위주의 지점이 안전하겠죠 그나마 .국채위주 (그런데 안전한곳은 금리 짭니다.)
2. 출자금 이건 투자라 보호 대상아니며 ..작금의 경제상황을 사전에 이미 어느 정도 예견 되었던터라 협동조합급의 금융업체 (새마을,신협등은) 자기자본의 급작스런 유출을 방지하기위해 출자금 출금을 지연하는 방법을 미리 작업해 뒀습니다.

3. 예금자보호 ?? 예금보호공사의 기금... 과연 얼마나 될지 보시면 ㅋㅋ <=세금 보전이 되겠지요

4. 향후 .. 전 정권에서 선진국임을 선언 하였음으로 은행 부실에 대한 베일인 제도를 시행할 가능성이 높아 졌습니다.
 
항시 안전하다고 하는 것들이 한순간에 부실로 바뀌는것이 세상이라 .. ..
당근 2022-10
은행보다 안전한 곳은 우체국뿐입니다.
개인소유 지점은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흑기사 2022-10
은행보다 더 안전한데 원하신다면 우체국 외에도 기업은행 중금채(중소기업금융채권)가 있습니다.
기업은행 창구 가셔서 중금채 정기예금 만들러 왔다 하시거나 비대면이면 정기예금상품 중에 중금채라고 써진 예금 가입하시면 됩니다.
중금채는 국가에서 전액보증합니다.
맨홀홍 2022-10
새마을금고, 신협은 2금융권 중에서 상위급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중앙회도 존재하고 금융망은 공동사용이나
지점은 별개로 운영됩니다.
(같은 동네에 새마을금고가 여러개더라도
지점이 다르면 별개로 봅니다.
입출금은 가능하지만 예적금은 따로 가입합니다)
저도 5년가까이 새마을금고를 쓰는데 별 문제는
없었습니다.
불안하시다면 규모가 큰 지점에서 가입하시거나
1금융권을 추천드립니다.
참고로 출자금이 아닌 일반 예적금은 예금자보호가
되며 각 지점마다 적용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금액이 크다면 각 지점마다 한도내로 예치
하시면 됩니다)
2bit 2022-11
현찰은 그저 장판밑에 깔아두는게 든든하더라는


QnA
제목Page 5520/5725
2014-05   5242636   정은준1
2015-12   1767960   백메가
2020-12   2962   2CPU최주희
2011-05   6451   가빠로구나
2018-08   3642   오성기
2011-06   6821   NeXT
2016-05   8582   anh
2021-01   9271   헥사코어
2011-06   7077   똥배오빠
2018-08   3976   s김종화z
2022-07   3683   봉래
2024-03   1818   새로운차원
2013-11   4333   AKA지니
2018-08   4860   으라차차차
2017-05   3921   쌍cpu
2024-03   1613   나두련
2013-12   6009   김대원
2022-08   1646   공백기
2017-05   11856   윌라멧
2013-12   5377   유호준
2019-10   8072   킵고잉
2024-04   1551   컴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