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간 랜케이블 연결시 주의점?

   조회 2646   추천 0    

바로 인접한 두 건물 사이를 랜케이블로 연결하려고 합니다.
공중에 띄워야하는 건 아니고, 1층과 1층 사이를 연결할 예정입니다.

양 건물 모두 시내의 20층 규모의 건물이고, 둘 사이의 틈은 1m 정도.
케이블이 들어갈 수 있는 입구가 반대쪽이라 케이블 길이는 30~50m 예상합니다.

케이블의 양끝단은 각 건물내부에 있는 스위치에 붙을 예정입니다.


           +-----+                              
           |     |                              
+----------|---+ | +-------------+              
|          |   | | |             |              
|          |   | | |             |              
|          v   | | |             |              
|              | | |             |              
|              | | |             |              
|              | | |             |              
|  Office 1    | | |   Office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cpu 검색하다가 옥외용 랜케이블이 따로 있어서,
그걸 쓰면 내구성에서 더 좋다는 건 알았습니다.


그런데 서지 프로텍터라는 것도 필요할까요?
서지프로텍터도 1만원짜리부터 10만원까지 다양하게 있더라구요.

언뜻 생각하면,
양쪽 건물이 높고, 케이블은 1층으로만 지나가고, 두 케이블 모두 종단은 건물 내부로 들어와있으니 괜찮지 않을까 싶은데...
이건 아무것도 모르는 저의 뇌피셜이라..


혹시 이와 관련한 경험이나 지식이 있으신 분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그리고 서지프로텍터 말고도 랜선을 외부에 설치할때의 주의점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요새 여러모로 2cpu 도움을 많이 받고 있네요. 모두들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2-11
케이블이 지나가는 자리가 옥외냐 옥내냐가 재일 중요하고 거기에서 케이블 종류가 갈린다고 봐야 합니다..

현재는 옥외용 UTP 케이블을 생각하시는 듯합니다만

만일 양쪽 장비가 지원이 된다면 광케이블을 고려 해보겠습니다..
dateno1 2022-11
그 거리면 파이프 씌워서 옥외용 넣으세요 (아무리 비싸게 먹힌다라지만 길이가 저렇게 짧으면 얼마 안 함)

서지 프로텍터는 과전류가 흐를꺼같으면 다는거니 안전을 중시한다면 다는게 추천이지만, 그 거리에서 필수인지는....불명이네요 (애초에 건물 1층간이라면 직접 벼락 맞을 가능성 거의 없을꺼고, 절연되는 파이프로 씌우면 외부 전기 흐르긴 힘들껍니다)

가격에 따라 보호능이랑 지원하는 최대 네트워크 속도가 달라집니다

참고로 광으로 하면 전기 안 통하니 저런거 필요없어요
박문형 2022-11
+100

광으로 하면 양쪽 장비간의 접지를 신경 쓸 필요가 없습니다..

접지 프로텍터도 필요 없어지게 됩니다..
스틸배관 + 일반 Utp(4~5선) 인입


광케이블이 가장 좋아보이나,
비용 문제도 고려해야한다면 위 구성을 추천합니다.
4~5개선을 넣는 이유는 여유분입니다.
상대적으로 저가의 스위치로 LACP구성도 되고요
epowergate 2022-11
그런게 문제가 아니라
애들이 담배 피다가 "어 이거 뭐야?" 할 수도 있습니다.
나중에 누군가 에어컨 실외기 설치하다가 덥을 수도 있고
     
dateno1 2022-11
그런 무의식중의 파손이 상당히 곤란하죠

거기다 몇년 지나면 잊혀져서 의외로 빈도가 높기도 하죠

파이프에 아에 통신선이라고 테그라도 붙여서 지상이 아닌 공중으로 몇미터정도 뜬 높이에 놔서 접근이 힘들게 해두는게 안전해보입니다 (지하에 묻으면 안 보여서 다른거땜에 땅 파다가 부수는일 흔함)
박문형 2022-11
잘은 모르지만 저런 공사를 하려면 양쪽 건물주나 건물관리소에서 허가가 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재일 좋은 것은 양쪽 건물 사이에 지하관로가 있어서 거기를 통해 케이블을 연결시키는 것입니다..

지하관로나 통신케이블 인입 데이터 같은 것은 다 건물주나 건물관리소가 가지고 있을 겁니다..
하이넥스 2022-11
외피 철심 그물로  차단되어 쥐못 파먹는
UTP케이블도 있습니다
해수에도 강해서 빗물 정도론 삭지도 않는 케이블 입니다
레인보우7 2022-11
애매하긴하네요.
가공선로도 안되고, 지중선로도 안되면, 바닥으로 가야되는데, 미관상 보기는 안좋을듯합니다.
주로 전력선 매립안하고 바닥으로 날릴때  트렌치로 깔고 그안에 전선관 날리기는합니다.

지중으로 해서 매립이 가능하시면 전선관 휘어지는 모델로 두꺼운걸로해서 UTP 몇가닥 넣으셔서 하는게 제일 깔끔할것 같습니다.
그냥바닥으로 날리시는거면 트렌치+ 전선관 조합도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
전선관 찾아보시면 쓸만한게 있습니다. 합성수지제 평활관 휨(가요) 전선관 (CD-P)
페선생 2022-11
e/o  컨버터 얼마 안히니 광으로 넣으세요
tantan11 2022-11
L2 또는 L3 스위치가 대부분 광지원하니까 서로 광으로 밀어넣는게 제일 깔끔할듯요
아니면 기업용인터넷은 보통 전용망도 구축을 지원해주니 여유가 되시면 알아보시는것도 좋을듯요


QnA
제목Page 645/5708
2015-12   1673650   백메가
2014-05   5139148   정은준1
2023-09   2558   keros
2024-04   2558   아마데우쓰
2021-10   2558   별이쨔잔
2021-09   2558   junhua
2021-05   2558   의롭게살리라
2019-06   2558   응애애오
2019-12   2558   나파이강승훈
2021-12   2558   미친감자
2023-12   2558   포스트맨
2023-01   2558   natdevur
2021-10   2558   선녀와나후…
2019-03   2559   늘파란
2023-04   2559   일반유저
2022-03   2559   meviesta
2024-06   2559   제온프로
2023-03   2559   azchoi
2019-08   2560   거니스트
2019-04   2560   신은왜
2020-12   2560   김동혁1
2020-09   2560   읍내노는오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