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3650 |
25 |
2015-12
1673650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39148 |
0 |
2014-05
5139148
1 정은준1
|
101261 |
외장 케이스로 870 evo 쓰시는분 계신가요? (10) |
keros |
2023-09 |
2558 |
0 |
2023-09
2558
1 keros
|
101260 |
DDR5 ECC 관련 질문 (7) |
아마데우쓰 |
2024-04 |
2558 |
0 |
2024-04
2558
1 아마데우쓰
|
101259 |
i7 1650V3 랑 제온E5 2680V4 하나씩 있는데 씨피유만 팔릴까요?? (8) |
별이쨔잔 |
2021-10 |
2558 |
0 |
2021-10
2558
1 별이쨔잔
|
101258 |
Concrete Pumping Can Save Your Money (1) |
junhua |
2021-09 |
2558 |
0 |
2021-09
2558
1 junhua
|
101257 |
암호화, 인코딩 관련 질문입니다. (10) |
의롭게살리라 |
2021-05 |
2558 |
0 |
2021-05
2558
1 의롭게살리라
|
101256 |
가정용 게이밍 무선 공유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3) |
응애애오 |
2019-06 |
2558 |
0 |
2019-06
2558
1 응애애오
|
101255 |
삼성 TV 미국에서 직구 대행에 관하여 (로로몰?) (4) |
나파이강승훈 |
2019-12 |
2558 |
0 |
2019-12
2558
1 나파이강승훈
|
101254 |
esxi에서 SR-iov 기능 써보신 분 있나요? (3) |
미친감자 |
2021-12 |
2558 |
0 |
2021-12
2558
1 미친감자
|
101253 |
PC 점검 장비??? (10) |
포스트맨 |
2023-12 |
2558 |
0 |
2023-12
2558
1 포스트맨
|
101252 |
openvpn 오류 입니다 (2) |
natdevur |
2023-01 |
2558 |
0 |
2023-01
2558
1 natdevur
|
101251 |
Supermicro 인터넷 질문드려요 (5) |
선녀와나후… |
2021-10 |
2558 |
0 |
2021-10
2558
1 선녀와나후…
|
101250 |
annke ip 카메라 원래 와이파이 안잡히나요? (2) |
늘파란 |
2019-03 |
2559 |
0 |
2019-03
2559
1 늘파란
|
101249 |
안드로이드 업데이트(10 -> 12) 후, 블루투스 이어폰 버튼 작동불가 문의 (2) |
일반유저 |
2023-04 |
2559 |
0 |
2023-04
2559
1 일반유저
|
101248 |
모니터 색감 질문을 드려도 될까요? (10) |
meviesta |
2022-03 |
2559 |
0 |
2022-03
2559
1 meviesta
|
101247 |
좋은 아이디어좀 주세요..Toshiba SAS SSD 800GB x 2 Raid 1 죽음 (10) |
제온프로 |
2024-06 |
2559 |
0 |
2024-06
2559
1 제온프로
|
101246 |
[해결] rclone 1.62.x 문제로 fuse3 설치가 필요합니다. (4) |
azchoi |
2023-03 |
2559 |
0 |
2023-03
2559
1 azchoi
|
101245 |
보통 레이트카드나 메인보드 콘트롤러에 끼는 sas 포트가 맞은편도 같은? (3) |
거니스트 |
2019-08 |
2560 |
0 |
2019-08
2560
1 거니스트
|
101244 |
앱 잘 만드시는 분들 중에 혹시 이런 것에 관심이 없으신가요? (11) |
신은왜 |
2019-04 |
2560 |
0 |
2019-04
2560
1 신은왜
|
101243 |
[네트웍] 티밍값과 기존 ip내역을 백업 복원하는 방법을 아시는분 계십니까?(윈도우 … (1) |
김동혁1 |
2020-12 |
2560 |
0 |
2020-12
2560
1 김동혁1
|
101242 |
브래이크 패드교환 해야할까요? (8) |
읍내노는오빠 |
2020-09 |
2560 |
0 |
2020-09
2560
1 읍내노는오빠
|
현재는 옥외용 UTP 케이블을 생각하시는 듯합니다만
만일 양쪽 장비가 지원이 된다면 광케이블을 고려 해보겠습니다..
서지 프로텍터는 과전류가 흐를꺼같으면 다는거니 안전을 중시한다면 다는게 추천이지만, 그 거리에서 필수인지는....불명이네요 (애초에 건물 1층간이라면 직접 벼락 맞을 가능성 거의 없을꺼고, 절연되는 파이프로 씌우면 외부 전기 흐르긴 힘들껍니다)
가격에 따라 보호능이랑 지원하는 최대 네트워크 속도가 달라집니다
참고로 광으로 하면 전기 안 통하니 저런거 필요없어요
광으로 하면 양쪽 장비간의 접지를 신경 쓸 필요가 없습니다..
접지 프로텍터도 필요 없어지게 됩니다..
광케이블이 가장 좋아보이나,
비용 문제도 고려해야한다면 위 구성을 추천합니다.
4~5개선을 넣는 이유는 여유분입니다.
상대적으로 저가의 스위치로 LACP구성도 되고요
애들이 담배 피다가 "어 이거 뭐야?" 할 수도 있습니다.
나중에 누군가 에어컨 실외기 설치하다가 덥을 수도 있고
거기다 몇년 지나면 잊혀져서 의외로 빈도가 높기도 하죠
파이프에 아에 통신선이라고 테그라도 붙여서 지상이 아닌 공중으로 몇미터정도 뜬 높이에 놔서 접근이 힘들게 해두는게 안전해보입니다 (지하에 묻으면 안 보여서 다른거땜에 땅 파다가 부수는일 흔함)
그리고 재일 좋은 것은 양쪽 건물 사이에 지하관로가 있어서 거기를 통해 케이블을 연결시키는 것입니다..
지하관로나 통신케이블 인입 데이터 같은 것은 다 건물주나 건물관리소가 가지고 있을 겁니다..
UTP케이블도 있습니다
해수에도 강해서 빗물 정도론 삭지도 않는 케이블 입니다
가공선로도 안되고, 지중선로도 안되면, 바닥으로 가야되는데, 미관상 보기는 안좋을듯합니다.
주로 전력선 매립안하고 바닥으로 날릴때 트렌치로 깔고 그안에 전선관 날리기는합니다.
지중으로 해서 매립이 가능하시면 전선관 휘어지는 모델로 두꺼운걸로해서 UTP 몇가닥 넣으셔서 하는게 제일 깔끔할것 같습니다.
그냥바닥으로 날리시는거면 트렌치+ 전선관 조합도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
전선관 찾아보시면 쓸만한게 있습니다. 합성수지제 평활관 휨(가요) 전선관 (CD-P)
아니면 기업용인터넷은 보통 전용망도 구축을 지원해주니 여유가 되시면 알아보시는것도 좋을듯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