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짧은 랜선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조회 2292   추천 0    

대충 7~8cm? 정도의 랜선이 필요한데 (벽면 마운트용)

RFC 에 명시된 최소 요구 길이는 딱히 없지만 누구는 반사? 간섭? 때문에 너무 짧은 케이블은 문제가 생길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실질적으로 문제가 있을까요?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정도고 그냥 쓰면 쓸 것 같은데.. 애매합니다.


아래 이미지 같은 느낌인데 사진 속 물건 보다는 손가락 한마디 정도 더 길겠네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2-11
재대로만 만들어진 것이라면 큰 문제 없다라고 생각합니다..

우선 기성품 중에 그 정도로 짧은 것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블루스맨 2022-11
그냥 써도 되지 않나? 라고 생각은 하지만 혹시 실전에서 문제를 겪어본 분이 계실까해서 질문 해봤습니다.
국내 판매중인 제품은 30cm가 가장 짧고 10cm 라고 된건 다 중국 해외배송이네요. 수제품? 으로 구입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박문형 2022-11
옛날에는 10~15cm 짜리도 기성품이 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수요가 없어서 안 나오나 보네요..

대량으로 사용하신다면 한 두개 구해서 테스트 해보시고 난 후에 적용하세요..
10cm 짜리 기가비트로 썼었는데 문제 없었습니다.
랙에서 허브끼리 묶는 용도로 썼습니다.
     
블루스맨 2022-11
답변 감사합니다~
성기사 2022-11
문제 없을 것 같은데요. 저도 랙에서 장비끼리 묶는데 만들어서 썼었습니다.
     
블루스맨 2022-11
짧게 쓰시는 분들이 꽤 계시나보네요 ㅎㅎ;
     
블루스맨 2022-11
알리는 배송이 오래걸려서요.
중국엔 10cm 랜선도 그냥 파는 것 같더군요.
혹시 제작해주실 분이 있나해서.. 구매글은 올렸습니다..
drachen 2022-11
예전에는 문제가 있었지만 지금은 대부분의 경우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옛날 CSMA/CD 프로토콜 쓰던 시절에는 케이블에 신호가 흐르는 걸 가지고 회선이 사용 중인지 탐지를 하고
내가 통신 가능한지 신호를 쏘고 돌아오는 반송파를 감지해서 통신을 했는데
그 때는 케이블이 너무 짧으면 반송파가 계속 회선을 점유하는 상황이 벌어져서 네트워크가 먹통이 될 수 있었습니다.

이게 잘해야 멍텅구리 허브로 반이중통신하던 시절까지의 일이라서
100Mbps NIC에 스위치 쓰던 이후에는 상관이 없어졌습니다.

가끔 케이블 저항이 안맞는다던지 해서 문제가 생길 수도 있는데 1Gbps 시대부터는 스위치랑 NIC가 알아서 처리하니까 더 문제 없습니다.
     
블루스맨 2022-11
옛날이야기군요. 감사합니다.


QnA
제목Page 455/5729
2015-12   1789659   백메가
2014-05   5264642   정은준1
2020-03   3407   권용1
2014-06   4053   무느미
2015-10   4647   차평석
2009-06   6565   이기육
2012-09   9179   데이비드
2017-11   4428   김건우
01-18   664   쌍cpu
2012-09   5908   미수맨
2014-06   4808   김승현1
2021-08   3707   전설속의미…
2012-09   5852   차평석
2015-11   4040   소푸
2017-11   5158   컴박
2021-08   3294   김말고
2017-11   5056   Doker
2012-10   9369   2CPU최주희
2009-08   6188   Sico
2015-11   4362   겨울나무
2016-10   4533   스티
2016-10   5666   다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