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2) |
백메가 |
2015-12 |
1638747 |
25 |
2015-12
1638747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4) |
정은준1 |
2014-05 |
5102219 |
0 |
2014-05
5102219
1 정은준1
|
99154 |
자료(참조reference,링크)를 기록하는툴 (7) |
yummy |
2019-04 |
2704 |
0 |
2019-04
2704
1 yummy
|
99153 |
VAG조립후 빨간불 문의 (3) |
헌터D |
2019-09 |
2704 |
0 |
2019-09
2704
1 헌터D
|
99152 |
Windows10 에서의 Defender와 UAC 설정 문의 (2) |
프링글스 |
2020-08 |
2704 |
0 |
2020-08
2704
1 프링글스
|
99151 |
중국에 어린 여자아이(제딸아이와 그 친구 둘입니다... 고졸 예정자..좀 더 어려 보… (9) |
아라야 |
2018-12 |
2704 |
0 |
2018-12
2704
1 아라야
|
99150 |
HP N54L 의 슬롯 문의드립니다 (4) |
미수맨 |
2019-02 |
2705 |
0 |
2019-02
2705
1 미수맨
|
99149 |
p5ql 개조바이오스 (3) |
마초 |
2019-05 |
2705 |
0 |
2019-05
2705
1 마초
|
99148 |
2CPU 게시물 정리가 있었나요 ? (4) |
정유미 |
2019-06 |
2705 |
0 |
2019-06
2705
1 정유미
|
99147 |
'해님 달님' 이야기(설화)에 대해 (6) |
김영기 |
2019-10 |
2705 |
0 |
2019-10
2705
1 김영기
|
99146 |
nvme ssd 관련 문의 (4) |
헬로우 |
2020-02 |
2705 |
0 |
2020-02
2705
1 헬로우
|
99145 |
노트북 키보드 배열 잘아시는분께 도움 요청합니다. (2) |
AKMU |
2019-06 |
2705 |
0 |
2019-06
2705
1 AKMU
|
99144 |
저전력 시스템 활용방안좀 여쭙습니다 (6) |
나나나나나 |
2020-11 |
2705 |
0 |
2020-11
2705
1 나나나나나
|
99143 |
블루투스는 스마트폰 DAC 음질과 전혀 관계 없나요??? (4) |
병맛폰 |
2020-06 |
2705 |
0 |
2020-06
2705
1 병맛폰
|
99142 |
레이드 5 사용 중 확장을 위해 익스팬더 중간에 달아도 괜찮을까요? (4) |
하드쟁이 |
2021-03 |
2705 |
0 |
2021-03
2705
1 하드쟁이
|
99141 |
이베이 윈도우 태블릿을 구매했는데 램 용량이 다르네요. (1) |
inquisitive |
2018-11 |
2705 |
0 |
2018-11
2705
1 inquisitive
|
99140 |
선인상가에 조립서버 업체 추천해주세요 (8) |
서버같은인생 |
2023-06 |
2705 |
0 |
2023-06
2705
1 서버같은인생
|
99139 |
디비 테이블 정규화 관련 질문입니다. (8) |
배고프고가… |
2021-02 |
2705 |
0 |
2021-02
2705
1 배고프고가…
|
99138 |
클러스터 질문 입니다. (14) |
MikroTik이진 |
2020-05 |
2705 |
0 |
2020-05
2705
1 MikroTik이진
|
99137 |
Dell r510 Server 베젤 열쇠를 국내에서 따로 구입할수 있을까요? (6) |
jang |
2019-01 |
2705 |
0 |
2019-01
2705
1 jang
|
99136 |
Option Rom 이 있는 Nvme을 쓸수 있는 레거시 시스템 (12) |
송상병 |
2022-12 |
2705 |
0 |
2022-12
2705
1 송상병
|
99135 |
혹시 nuc에 WinXP Pro 사용하시는 분 계신가요? (8) |
Psychophysi… |
2019-03 |
2705 |
0 |
2019-03
2705
1 Psychophysi…
|
USB to COM 컨버터가 호환성을 좀 타는지라....
헤놀로지 OS에서도 인식을 제대로 할런지 모르겠습니다.
여기 번역해서 보시면 직렬 포트를 콘솔로 사용하려면 지원을 컴파일해야 합니다라고 써있네요
기본적으로 컴파일되지 않는다구요 ..
USB타입은 안 될꺼같고, DS918+경우 PCIe에 CH382L 달린넘을 달면 된다고 합니다
검색을 좀더 해본결과 usbserial 드라이버 설치 없이는 동작이 안되는것 같습니다.
Tinycore linux 에서는 로더빌드 역할만 하고 빠지는것 같아서 여기엔 필요가 없고
시놀로지 Junior 부트 과정에서 insmod 처리가 되도록 코딩을 해봐야 할것 같습니다.
만아래 깃헙이 최근까지 개발되고 있는 시놀로지 드라이버 같은데요.
시놀로지 DSM 이 다 설치된 단계에서만 사용이 가능한것 같아서,
헤놀로지 junior 단계로 올려볼까 합니다.
일단 시놀로지에서 잘되는지 부터 시험이 되야 할듯 하네요.
-------------------------------------------------------------------
네이버에서 시놀로지 usbserial 검색
https://www.kimnjang.com/110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nova386&logNo=220341802273
구글에서 synology usb serial adapter 검색
https://community.synology.com/enu/forum/1/post/144408
https://github.com/robertklep/dsm7-usb-serial-drivers
이건 아마 PCH밖에 안 될꺼에요 (아니면 Grub용 Driver가 있는 모델만 됩니다)
USB 포트에 USB TO SERIAL 붙이면 UPS 인식하듯이 UART 로 인식은 한다고 합니다
레드필 config.json 의 샘플을 보면 uart8250 이 설정에 있네요.
COM 포트로는 이미 시리얼 통신을 하도록 되고 있어서,
이걸 어찌어찌 하면 될듯도 한데, 좀더 연구해 봐야겠네요.
USB to Serial 케이블이 아닌 USB to UART 가 더 수월할지 모른다는 생각이 드네요.
"syno_hw_version": "DS3622xs+",
"syno_hdd_powerup_seq": 0,
"HddHotplug": 0,
"vender_format_version": 2,
"console": "ttyS0,115200n8",
"withefi": null,
"elevator": "elevator",
"syno_port_thaw": 1,
"syno_hdd_detect": 0,
"root": "/dev/md0",
"earlycon": "uart8250,io,0x3f8,115200n8"
https://github.com/PeterSuh-Q3/redpill-load/blob/master/config/DS3622xs%2B/7.1.1-42962/config.json
RS-232쪽이 장거리 전송용으로 나온거다 보니까 전압이 더 쎕니다(UART는 3.3~5V, RS-232는 12V). 이거 하나때문에 USB to UART, USB to Serial이 따로 있죠.
UART면 연결하는 기기의 전압도 알아야 하고요. (대개 3.3 아니면 5입니다. USB to UART 보면 전압 선택하는 스위치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USB to UART, USB to Serial 변환 칩셋도 종류가 많아서 호환성 문제 얘기 많죠.
다만 USB2Serial 포트가 인식된 이후에, 어떻게 처리가 되어 있는지는 모르죠.
"커널 모듈"을 올리는 것과는 별개로 후처리가 필요한 셋팅의 문제일테니..
MAC은 문제 안되는데 해놀로지쪽이 문제가되겠네요. 해놀로지에 해당 케이블 칩셋 드라이버가 있는지 여부, 시리얼 콘솔 가능 여부가 문제인데. 드라이버 없다면 커널컴파일 들어가야 할꺼고, 시리얼 콘솔 원한다면 커널 부팅 파라미터를 바꿔야 하기 때문에 부트로더도 손봐야 합니다.
USB to Serial이 리눅스에서 인식된다면 /dev/ttyUSB? 라는 시리얼포트 장치파일이 생깁니다(?는 0부터 시작하는 숫자. 꽂은 순서대로 올라감).
두번째 케이블로 하나더 어떤것을 사야 좋을까 싶었는데, 일단 이 케이블로 헤놀로지에 붙여볼까 합니다.
클라이언트는 윈도우를 사용하던 맥을 사용하던 COM 포트가 있는 보드를 활용해서 신호를 받아볼까 합니다.
https://blog.naver.com/tomynymph/221584574968
제것과 케이블의 VID / PID 는 달라서 바꾸어서 해봤습니다.
VID / PID 가 틀리면 stty 과정에서 /dev/ttyUSB0 장치가 생기지 않고 실패가 납니다.
stty: /dev/ttyUSB0: No such file or directory
아래와 같이 헤놀로지에서 드라이버 설치하고 준비하고
sudo -i
modprobe ftdi_sio
sh -c "echo 1a86 7523 > /sys/bus/usb-serial/drivers/ftdi_sio/new_id"
stty -F /dev/ttyUSB0 115200
cat /dev/ttyUSB0 해두고
클라이언트쪽 COM1 에는 하이퍼 터미널로 창을 열고 기다린 상태에서
시놀로지에서 텍스트를 HELLO 보내봤는데
하이퍼 터미널이 무응답입니다.
위 성공하신분 설정대로 따라해 봤는데, 하이퍼 터미널 설정을 잘못했나 싶어서 오늘은 여기까지 시험해 보고 내일 계속할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