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4436 |
25 |
2015-12
1784436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9646 |
0 |
2014-05
5259646
1 정은준1
|
105626 |
TTS를 문구데이터베이스와함께운용 (2) |
slowcity |
2022-12 |
1724 |
0 |
2022-12
1724
1 slowcity
|
105625 |
VPN WIREGUARD 세팅 질문 (2) |
정상억 |
2022-12 |
2067 |
0 |
2022-12
2067
1 정상억
|
105624 |
Nginx Proxy Manager + Transmission(vpn) 접속문제 (1) |
azchoi |
2022-12 |
2126 |
0 |
2022-12
2126
1 azchoi
|
105623 |
Dell 장비 구매 후 Firmware 업데이트... (7) |
워니님 |
2022-12 |
3602 |
0 |
2022-12
3602
1 워니님
|
105622 |
집의컴퓨터를 데이타저장소로하려면 (11) |
yummy |
2022-12 |
1824 |
0 |
2022-12
1824
1 yummy
|
105621 |
BitLocker 복구 ??? (11) |
ityongsan |
2022-12 |
6099 |
0 |
2022-12
6099
1 ityongsan
|
105620 |
사용 가능한 스티커 일까요? (8) |
광주동키호테 |
2022-12 |
1729 |
0 |
2022-12
1729
1 광주동키호테
|
105619 |
결국 장터에 있는 10G 랜카드 구입하였는데... (3) |
무법자 |
2022-12 |
4038 |
0 |
2022-12
4038
1 무법자
|
105618 |
Z820 윗뚜껑 여는 법 아시는 분 계신지요? (2) |
syhj |
2022-12 |
1800 |
0 |
2022-12
1800
1 syhj
|
105617 |
DELL R720 CPU 온도 차이 (8) |
워니님 |
2022-12 |
2342 |
0 |
2022-12
2342
1 워니님
|
105616 |
10G가랜 SFP+를 보고 있는데 케이블 값이 왜이렇죠? (12) |
무법자 |
2022-12 |
2834 |
0 |
2022-12
2834
1 무법자
|
105615 |
알리익스프레스 10g기가 랜카드 이거 살만할까요? (17) |
무법자 |
2022-12 |
5784 |
0 |
2022-12
5784
1 무법자
|
105614 |
국내에서 3선 배선된 503759 배터리를 구할 수가 있을까요? (2) |
Psychophysi… |
2022-12 |
1756 |
0 |
2022-12
1756
1 Psychophysi…
|
105613 |
도커에 파이썬 설치후 파이썬을 외부 네트워크에서 하는것이 가능한가요? (17) |
홍익 |
2022-12 |
2304 |
0 |
2022-12
2304
1 홍익
|
105612 |
노트북 메모리 업글후 호환되지않는메모리라고 뜨는데 지원리스트를 찾아보고 싶습니다 (6) |
나나나나나 |
2022-12 |
2101 |
0 |
2022-12
2101
1 나나나나나
|
105611 |
슈마 서버 구매에 대한 질문드립니다. (16) |
두봉 |
2022-12 |
2424 |
0 |
2022-12
2424
1 두봉
|
105610 |
혹시 13세대 저전력 모델 아직 출시가 안됬을까� (4) |
니포 |
2022-12 |
1899 |
0 |
2022-12
1899
1 니포
|
105609 |
랜케이블 일일이 사기 VS 랜툴세트 사기 (10) |
LevinF |
2022-12 |
1976 |
0 |
2022-12
1976
1 LevinF
|
105608 |
인텔 듀얼 랜카드 PRO/1000PT 문의 (MAC address) (4) |
블루2014 |
2022-12 |
1941 |
0 |
2022-12
1941
1 블루2014
|
105607 |
하드디스크의 파일들을 하드디스크로 옮기기 (9) |
pumkin |
2022-12 |
2428 |
0 |
2022-12
2428
1 pumkin
|
단일시스템 여럿이 하나 케이스에 묶어놓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드웨어적인 면으론..
운영적인 면에서.. RMS 툴을 써서.. 하나의 프로젝트로 렌더를 할 수 있으며.. RMS의 종류는 다수가 있으며.. 프로젝트의 운영방식에 따라 최적의 선택을 하심이 좋습니다.
자.. 다음 본격적으로.. 제안도 같이 올립니다.
우선.. 귀하의 소속.. 담당자분들의 렌더 운영방식 및 과정을 좀더 이해 하시고..질문을 주시면 좀 더 자세히 이야기 드릴수 있겠습니다만.. 현재는 수준에선.. 너무 두리뭉실합니다.
단순 구성의 하드웨으 질문에서.. 네트워크 렌더 및 렌더방식의 디테일한 부분까지 고려하심에 미리 이야기 주셔야 할 백 데이터(운영방식, 운영체제, 툴, 과정) 없는 상황은
충분한 답변을 받기엔 많이 부족한 질문입니다. 차라리.. 렌더 담당자 또는 운영진을 통해 질문을 주심이 더 낳아보입니다.
윈도우 서버에 뭘 설치해서 IP넣고 렌더링할때 서버 몇대가 로컬과 함께 같이 렌더링 하고 있던데요..
그래서 서버를 늘리고 있다가 vrtx 시스템 이런거 보다가 질문하게 되었네요 ㅎㅎ
지금이야.. 렌더링시.. 백버너가 통합되어.. 네트워크 렌더링이 과거보다 수월한 상황이구요..
물론 보다 전문 RMS툴을 사용한다면.. 각각의 프로젝트 또는 렌더씬을 개별 제어할 수 있지만.. 백버너는.. 기본적인 넷렌더환경을 지원하고 있는 툴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맥스 환경에서 렌더 시스템 구성이라면.. GPU를 활용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뭐.. 전문 쿼드로니 테슬라보단.. RTX, AMD의 가격대비 효율성을 고려하여 설계하면 좋을 듯 싶기는 합니다. 물론 진행 프로젝트의 성격따른 하드웨어의 구분이 될 수 있겠지만.
GPU를 중심으로 VRTX 시스템및 렌더, 가상화뷰, 등등 뷰 전문의 특화된 시스템 환경에선 특화된 GPU 시스템을 사용하는게 좋겠지만.. 이는 온리 뷰의 관점이며.. 요즘은.. 고성능의 네트워크 환경 및 IO 장비로 인해 보다 수월한 환경설계가 가능한것도 사실입니다.
기획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면.. 문의 이야기 주시면 도움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역시 블레이드 서버도 .. 열과의 전쟁입니다.
고성능 cpu가 들어가 숨쉬기 힘들죠.
우리는
E5-2696 V3
E5-2697 V3
E5-2699 V3,,,
E5-2696 V4
E5-2697 V4
E5-2699 V4,,,
하지만 힘들어요..
그래서
1U 서버를 스태킹 해서 만들죠..
인피니벤드를 동원하여.
좀더 강력하고 안정적인 시스템을 만들려면..
2U로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블레이드는 공간이 어쩔수없는 고밀도 서버이죠.
공간대비 성능은 당연히 높습니다..
M1000e 는 하우징 케이스 이구요..
M620
M630
M640
*** 다 세대별로 준비 되어 있습니다... 케이스 파워. 스위치. 인터페이스 공통사용이구요.
1 node에 2cpu 인데.. 2 스페이스로 4cpu로 도 준비되어 있구요..
사용 방법은 다 가능합니다..
일부만 써도 되고..
전체 다 같이 써도 되고..
반만 써도되고..
전체를 단일로 써도 되고..
이런 점에서 블레이드 서버는 특화가 되어 있죠.
회사에서 주력으로 사용하는 r730 도 이제서야 알아가는데.. ㅜㅜ
이런 하드웨어적인건 어디 학원 없으려나요 ㅎㅎ
제조사 PM급이 되거나
판매처 기술 총괄쯤 되면 대략 가능해지는데 많은 원천 기술 소스는 인텔과 AMD같은 곳에서 나옵니다..
로드맵을 봐야 하는데 NDA 사인해야 할 것입니다..
필름 영화 및 고화질 퀄리티 요구에선.. 아직 구세대적 CPU, IO를 많이 활용하는 케이스구요..
단순한 캐릭터 게임 오브젝트 렌더에선.. GPU를 적극 활용하는 툴이 대세인건 사실이지만..
이 역시도 실사 및 퀄리티를 요구하는 곳, 또는 고리타분한 큰 기업들은 아직 구세대적 환경의 결과를 많이 요구 합니다.
즉 클라이언트 또는 감독 요구에 따라.. 렌더 방식 환경들이 맣이 오고가고합니다.
어떤 모델들은 이중화에 핫플러깅도 되죠..
하드웨어적으로만 놓고 보면
문제는
업그레이드나 구성 변경시 전용 하드웨어만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메모리도 VLP만 써야 되는 경우도 있고 그 때문에 가격이 올라가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1세트의 전기를 너무 많이 먹기에 설치 시 항상 전기부터 생각해야 하고
어찌 보면 범용이 아니다 보니 수명이 다했을시 중고로 팔아먹기가 힘듭니다..
단종되면 유지보수도 잘 안될 수 있습니다..
잘은 모르지만 개인적으로 보기에 랜더팜 서버는 코어만 왕창 많다고 능사는 아닌 듯하고 어느 정도 프로세서 클럭도 높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랜더팜용이라면 DELL의 Rack Workstation 이 더 용도에 맞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https://www.dell.com/en-us/shop/workstations-isv-certified/precision-7920-rack-workstation/spd/precision-7920r-workstation
https://www.dell.com/ko-kr/shop/dell-%EB%8D%B0%EC%8A%A4%ED%81%AC%ED%83%91/precision-7920-%EB%9E%99-%EC%9B%8C%ED%81%AC%EC%8A%A4%ED%85%8C%EC%9D%B4%EC%85%98/spd/precision-7920r-workstation
두개의 링크는 똑같은 제품입니다..
이것도 전용/전문적인 제품이지만 블레이드 서버보다는 덜 합니다..
이런게 power edge r730 740 750 과 뭐가 다른지 안그래도 좀 궁금했었습니다.
Dell Wyse 5030 이런걸 통해서 자리에 PC를 두지 않고 랙에 있는 서버를 통한 업무를 볼 수 있는 것일까요?
델쪽에 라인이 있으시면 제품 홍보자료나 제품 소개 자료를 구해보세요..
하드웨어 가상화나 인피니밴드같은걸로 묶어서 MPI를 사용하면 하드웨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는 았을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