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ltek 제품이 별루인가요?

LevinF   
   조회 6756   추천 0    

 꽃게텍이 저가를 무기로 물량공세를 하는지...

꽃게칩 들어간 공유기, wifi, 신호수신기, 메인보드 내장 사운드등...

가격이 동급의 다른 칩 쓴거의 절반이하부터 시작하던데.

그만큼 무선기기에선 꽃게칩은 호환성을 많이 탄다 라고 하던데

꽃게텍 제품은 그저 가격만 싼 비지떡인가요?

- Levin.Fhillips.Lee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이선호 2022-12
원래 저가로 밀어붙이던 회사입니다.
사운드는 리얼텍 천하이고 유선은 쓸만하고 무선은 리얼텍을 꼭 써야하는게 아니라면 안쓰는게 좋지요.
대신 2.5Gb는 인텔보다 낫습니다.
제온프로 2022-12
그런 경향이 있습니다.
리얼텍을 사용하고자 하는
환경이 윈도우라면.. 리얼텍 그래도 쓸만합니다.

이외에
리눅스
유닉스
ESXi
Virtual Hypervisor
--- 이런데에서는 망입니다. 망.

그냥 윈도우에서 인터넷만 하는 용도.
시도니 2022-12
혹시 realtek 말씀하시는 건가요?..

반대입니다.

리얼텍이 워낙 많이 퍼져서 SMB나 컨슈머 라인업의 경우 리얼텍과 호환성이 좋지 않은 경우를 못봤습니다.

미디어칩 역시 사블이나 오디오카드에 비하면 저질이지만,..

 그럭저럭 사운드카드가 없는 거에 비하면야...  좋죠.

가격을 생각하면야... 좋지요 가성비로만 따지면..

다만,..

최상급기종이나 비즈니스급 모델이나 하이엔드급하고 비교하면 무리라는 거지요.

경쟁대상 자체가 다른거죠.

실제로 얘네 같은 가성비애들 때문에 하이엔드 애들이 가격을 마음대로 하지 못하는 것도 일부 효과가 있습니다.
     
LevinF 2022-12
이름을 잘못알고 있었네요.
realtech 이 다른회사네요
realtek이 맞습니다!
박문형 2022-12
리얼텍 제품이 분야 별로 여러가지라 모두다 싸 잡아서 나쁘다라고는 할 수는 없습니다..

그리고 하드웨어만으로 제품이 좋다 나쁘다라고도 할 수 없습니다.. (거의 모든 컴퓨터 기기는 펌웨어[소프트웨어]가 들어갑니다..)

전반적으로는 가성비 제품을 만드는 화사라고 볼 수는 있습니다..

리얼택이 유명해진 것은 유선 인터넷이 대중화되고 유선 네트워크가 100매가에서 1기가가 보급화 될 때 리얼택 랜카드 /랜칩이 다른 회사 제품들보다

저렴하고 성능도 좋게 나와서 대중화에 앞장 섰다는 것입니다..

현재는 2.5기가에 제품이 나오고 있죠..
gmltj 2022-12
옛날에는 엄청 안 좋았는데... 요즘은 그냥 보통은 되는 것 같습니다.... 인텔 랜 같은 거는 옛날에는 좋았는데 요즘은 더 안 좋은..
박문형 2022-12
제가 볼때는 사운드 칩은 거의 평정

유선랜칩도 거의 평정급 대신 10G 제품은 아직 안 만드는 듯합니다.. 그리고 유선랜 칩은 서버용은 아니고 일반 PC용입니다..

인텔랜칩은 1G까지는 신뢰의 인텔 , 리눅스 드라이버 완벽제공 인텔 이였는데

10G 와서는 제품이 나오다가 열문제나 기타 여러 문제들이 알게 모르게 불거져 나왔고 그래서 해결책은 계속 다음 버젼 칩셋을 만들어왔지만

획기적인 개선점은 없었습니다.. 40G 100G 제품도 있지만 글쎄요..

그 중간에 인피니벤드를 하던 멜라녹스가 10G 랜칩셋을 만들게 되어 이게 25G 40G 100G 200G 까지 제품이 나와서 초고속 인터넷은 현재 맬라녹스가

평정했다고 봐야 합니다..

멜라녹스는 현재 엔비디아에 흡수되었습니다..
piloteer 2022-12
유선랜의 경우 일반적으로 별 차이가 없으나 한계에 가까운 수준으로 쓸 때는 다소 힘들어하는 경향이 있는 편이고, 무선랜 드라이버가 좀 문제가 있는 칩셋이 있어서 무선랜쪽 평가가 좀 안 좋았을 겁니다.

근데 의외로 리얼텍 거 아니라도 드라이버가 쫌 이상하거나 그게 아니라도 좀 호환성을 타는 무선랜카드가 많아요. 오히려 괜찮은 무선랜카드 칩셋이 소수인 듯..
박문형 2022-12
무선랜쪽 칩은 인텔도 유명하지만 아마 재일 많이 사용되는게 아데로스(Atheros) 칩셋일 것입니다..
김준연 2022-12
이 회사가 없으면 적절한 가격에 소비자용 네트워크 장비는 못 나옵니다. 싼게 비지떡으로 욕을 먹었으면 세계를 지배(?)하지도 못했습니다. 사람들은 가격에만 환장하고 나머지는 쳐다도 안 보는 단세포가 아니라서 가격 경쟁력은 기본이고 성능과 신뢰성까지 수준 이상으로 갖춰야만 선택합니다. 이걸 다 어느 수준으로 만족하여 세계를 장악한 그 정도로 위대한(?) 기업입니다.

메인보드의 오디오 코덱은 게표에 가격으로만 진게 아니라 다양한 라인업과 검증된 성능 모두에 패배했고, 컨슈머용 네트워크 컨트롤러 역시 인텔을 빼면 그냥 다 망했다 상태입니다. 단순히 저렴한 것을 넘어서 무난한 성능과 검증된 신뢰성을 모두 갖고 있습니다. 오히려 2.5Gbps쪽은 삽질을 너무 심하게 한 인텔보다 오히려 문제가 적었습니다.(인텔도 V3로 가서는 좀 나아지긴 했습니다만. 그 전에 단기간에 V3까지 나온 그 자체가 문제입니다만.)

다만 ARM 프로세서가 들어가야 하는 곳들은 아직 저항이 꽤 있는데, 대표적인게 인터넷 공유기입니다. 여기는 Mediatek이라는 나름 먹어주는 기업이 있고, 특히 ipTIME 공유기는 주 프로세서가 웬만하면 Mediatek이라(예전에는 Realtek도 쓰고 Broadcom도 쓰고 그랬으나 지금은 중급 모델 이상은 웬만하면 다 Mediatek입니다.) 이쪽은 '상대적으로' Realtek이 조금 약세입니다.
     
dateno1 2022-12
문젠 v3되어도 여전히 안정성 문제를 해결 못했단점도 있습니다

219떄부터 끈킴으로 애먹이더니 225되면서 정점을 찍어버린 느낌입니다

다만 윈도만 끈킴이 자주 보고되는걸 보면 드라이버 문제일듯합니다
          
김준연 2022-12
그래도 V3 + 11 내장 드라이버 조합이면 웬만하면 클레임 전화는 잘 안 받습니다.^^
               
dateno1 2022-12
v3 이후 끈킴 문제 많이 개선되어서 거의 찾아보기 힘들어진듯합니다

다만 발생해버리면 드라이버 바꾸어도 전혀 해결이 안 되어서 문제인거같네요 (온보드 특히 PCIe 없는 모바일이나 소형 기종들은 USB밖에 선택지가 없어져버림)
                    
김준연 2022-12
공유기나 모뎀을 바꾸면 해결된다는 의외의 해결책도 있습니다.
                         
dateno1 2022-12
문젠 회사에서 쓸때죠

저넘 하나땜에 더 비싼 네트워크 장비를 못 바꾸니까요 (차라리 박박 우겨서 교품 시키던지, 불량 증명해서 교품 시키던지, 저렴하게 처분해버리고 새로 구매하는게 현실적)

225는 폭망이라 생각하고 226 써도 될껀데, 워낙 오래동안 해결이 안 되다보니 대부분의 제조사가 그냥 8125로 만들더군요
안철현 2022-12
그러고 보니 제 업무용 구닥다리 PC의 NIC 칩셋이 꽃게 네요. ㅎㅎ
꽃게야 수고하고 있다..
박문형 2022-12
산업용 컴퓨터에도 꽃게 마니 사용합니다..
페선생 2022-12
시장 장악력 = 호완성 ...
끝난 게임이죠
고가 무선 ap ... 하위장비들 호완 안되서 ...리얼텍 ap로 ..ㅋㅋ
dateno1 2022-12
무선 관련은 아직도 여전히 좀 미묘합니다

다만 나머진 다 쓸만한 수준은 됩니다

사운드는 윈도 믹서 변화에 따라 칩셋의 영향이 줄어들었고, 어차피 대부분의 온보드 사운드의 부품 품질 수준 고려시 충분한 수준입니다

유선경우는 서버나 네트워크 장비용으로 쓰기엔 부족함이 있습니다 (속도 꽉채워도 아무 문제 없지만, 동시에 많은 엑서스가 걸리면 좀 지연되거나 합니다)
엠브리오 2022-12
퇴근할때 끄는 컴퓨터라면 이미 꽃게칩을 대부분 쓰고 있습니다.
1년 내내 켜놔야 하는 서버라면 브로드컴 혹은 인텔 칩셋이 사용됩니다.
모어쿨 2022-12
일단 가성비로는 1위 기업이구요. 안정성으로는 요즘은 보통이상은 합니다. 다만 성능에서 최상급은 아닙니다. 보급형에 가깝구요. 일반인 대상 PC급에서는 가히 독보적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다만 엔터프라이즈 서버 환경에서는 명함도 못내밉니다. 안정성이나 성능이전에 쌓아둔 신뢰도가 없습니다.
블루스맨 2022-12
사운드는 리얼텍 아닌 경우가 드물고 공유기에 리얼텍은 거의 초저가형이죠.
공유기ap는 브로드컴 퀄컴이 상급 미디어텍이 보급형입니다.
무선랜은 리얼텍 wifi가 달려있다 싶으면 인텔 칩셋으로 바꿔쓰길 추천하죠 1~2만원이면 사니까요.
이더넷에서는 인텔이 2.5g에서 삽질을 하긴 했지만 어쨌든 i226이 나왔고 리얼텍보다 자원을 덜 먹습니다.
같은 기가비트를 처리해도 리얼텍이 더 많은 cpu 자원을 소모하는..
보급형으로 널리 퍼졌고 그냥 딱 그정도..?
가성비 안정성 필요 없음 : 리얼텍 , 미디어텍
기성비 중가용성 안정성 약간 필요 : 미디어텍 마벨
고가용성 안정성 필요 : 인텔 브로드컴 퀄컴

전 이렇게 구분하고 았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리얼텍 아니었으면 기가 랜카트 하나에 몇만원이 아니라 며십만원 주고 구매해야할만큼 NIC 시장에 가격 하향 평준화를 시킨 회사임음 틀림 없습니다
설치맨 2023-12
..


QnA
제목Page 450/5730
2014-05   5265849   정은준1
2015-12   1790823   백메가
2016-07   7054   새총
2024-05   2454   새비지
2014-02   12924   김민성
2024-06   1604   장동건2014
2016-07   6552   김준유
2016-07   4048   알약통
2019-12   7094   일반유저
2015-06   4541   윈도우10
2019-12   3174   MidasCustom…
2015-06   3158   지구인이다
2019-12   8153   나라사랑
2011-12   6041   오준호5
2021-03   2858   DDDIE
2011-12   9892   경박한시민
2014-02   6131   프린쎄쓰
2016-07   4484   가람이당1
2024-07   1403   파피푸페
2021-03   5955   짱님
2019-12   2488   삐돌이슬픔이
2022-11   3656   블루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