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7437 |
0 |
2014-05
5267437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2443 |
25 |
2015-12
1792443
1 백메가
|
105682 |
PoE랜카드 질문.. (10) |
브라운콧 |
2024-01 |
1479 |
0 |
2024-01
1479
1 브라운콧
|
105681 |
hp z210 - bios에 lock이 걸린거 같아요 (6) |
회원K |
2013-10 |
8701 |
0 |
2013-10
8701
1 회원K
|
105680 |
[급질문] 지인의 네이트온 ID가 도용당했습니다. (1) |
일반유저 |
2011-03 |
6805 |
0 |
2011-03
6805
1 일반유저
|
105679 |
중개사 사무소에서 쓸만한 컬러 프린터 추천 좀 해주세요. (18) |
남회귀선 |
2022-05 |
2409 |
0 |
2022-05
2409
1 남회귀선
|
105678 |
[tx100] 도시바 3tb 파티션 관련 [C:\ 150G D:\ 2648G ( = 1901.51 + 746.52) 로 … (6) |
주세홍 |
2013-10 |
6252 |
0 |
2013-10
6252
1 주세홍
|
105677 |
n36l 내장랜+ usb 기가비트랜 조합으로 티밍이 가능할까요?? (10) |
인생여전 |
2013-10 |
7921 |
0 |
2013-10
7921
1 인생여전
|
105676 |
예전이나 지금이나 삼성 ssd나 nvme를 (5) |
허밍버드 |
2024-01 |
1740 |
0 |
2024-01
1740
1 허밍버드
|
105675 |
물건을 찾습니다~ 베터리로 구동되는 포터불 나스, 혹은 와이파이로 붙는 USB 허브를… (4) |
백남억 |
2015-03 |
4293 |
0 |
2015-03
4293
1 백남억
|
105674 |
pc에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를 깔면 웹캠이나 TV 수신카드로 캡쳐한 영상을 인식할수… (2) |
병맛폰 |
2016-05 |
7356 |
0 |
2016-05
7356
1 병맛폰
|
105673 |
m.2 2242 ssd 추천부탁드립니다. |
김민철GC |
2016-05 |
6773 |
0 |
2016-05
6773
1 김민철GC
|
105672 |
로모스 PEA60 고속충전 대용량 보조배터리 60000mAh 멀티단자 (14) |
slowcity |
2022-06 |
3817 |
0 |
2022-06
3817
1 slowcity
|
105671 |
냉방 두통에 뭐가 좋을까요? (4) |
무아 |
2018-07 |
3816 |
0 |
2018-07
3816
1 무아
|
105670 |
시놀로지 입문하면 활용성이 좀 늘까요? (8) |
osthek83 |
2024-02 |
1511 |
0 |
2024-02
1511
1 osthek83
|
105669 |
"ASUS 노트북 절대 사지마세요" N73J 노트북 배터리 구입할수 있는곳좀 가… (9) |
만능야매 |
2011-04 |
21898 |
0 |
2011-04
21898
1 만능야매
|
105668 |
FTP관련 문의 드립니다. (3) |
김유중 |
2016-05 |
4520 |
0 |
2016-05
4520
1 김유중
|
105667 |
알뜰폰 무한 요금제 질문 (12) |
그모도 |
2022-06 |
2244 |
0 |
2022-06
2244
1 그모도
|
105666 |
숨어있는 2tb를 찾아주세요, (5) |
user |
2013-11 |
29630 |
0 |
2013-11
29630
1 user
|
105665 |
pci-e 8배속 라이저 카드 저렴하게 구할수 없을까요? (6) |
민사장 |
2015-03 |
4310 |
0 |
2015-03
4310
1 민사장
|
105664 |
오래된 아파트로 인한 욕실에 콘센트가 없는데..가설하는데 문제가 있을까요? (방수… (11) |
김건우 |
2017-04 |
7784 |
0 |
2017-04
7784
1 김건우
|
105663 |
Alteon 180e 초기화 좀 부탁 드립니다~ (2) |
전현규 |
2017-04 |
3584 |
0 |
2017-04
3584
1 전현규
|
간단히
밖에서 보면 공유기 WAN 포트의 IP를 하나 밖에 안보이고 내부 포트는 DHCP 로 사설 IP 대역으로 돌려져 있는 것이니까요..
그리고 보통 들어오는 가정용 인터넷 라인들은 인터넷 통신사에서 사용하는 방화벽으로 어느 정도는 다 보안에 대한 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자세히 따지기 시작하면 한도 끝도 없기 때문에 보안 관련 공부를 해보시던지 좋은 방화벽 하나 구해서 완벽하게 익히세요..
방화벽과 해킹은 계속 발전 하는 것이고 따라서 방화벽 솔류션 업체에서는 수시로 방화벽 프로그램을 보완하고 있으며
실제 방화벽기기의 가격은 하드웨어 가격보다는 소프트웨어 유지 보수 가격의 비중이 더 높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방화벽의 기초는 포트를 막고 열고 하는 것으로 부터 시작한다고 생각합니다..
그 외는 장터에서 파는 방화벽 사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오래되서 업데이트 안 해주는 모델 쓰면 자신이 털려서 좀비가 된후 하위 장비를 다 가루(?)로 만들어버릴 수 도 있습니다
관문? 가 아니라 그대로의 의미로도 쓰입니다 (GW(Gateway) )라고도 표현하니까요)
이유는 방화벽은 아웃바운드까지 통제를 하는걸 방화벽이라고 하지 대부분의 공유기는 아웃바운드 통제를 안합니다. 일부 필터기능이 있지만 방화벽처럼 여러 룰을 오브젝트별로 분류를 못하기 때문에 방화벽 기능으로는 불가라고 봐야됩니다.
라우터의 특성인 NAT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외부망(인터넷)에서 내부망(공유기 내부에 연결된 장치들)을 쉽게 들여다 볼 수는 없고, 라우터 내부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방화벽을 구성할 수도 있기는 합니다만 어디까지나 인터넷 공유기의 기능은 매우 제한적이기에 이 자체가 상업적인 수준으로 먹힐 정도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불편하다고 보안에 구멍을 뻥뻥 뚫는 설정을 하고, 보안 패치가 안 된 구 버전 펌웨어를 고집하면 뚫릴 위험은 늘 존재합니다.
정리하면, 공유기는 라우터로서의 최소한의 기능을 갖추고는 있기에 보안 기능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게 무슨 전문적인 방화벽이나 대형 라우터 수준으로 뛰어난 것은 결코 아니며, 설정을 엉망으로 하면 그 보안도 더 믿을 수 없는 것이 되고 맙니다. 개인이 할 수 있는 것은 외부에서 내부로 침투할 수 있는 예외사항은 아예 설정하지도 말고, 펌웨어 업데이트를 잘 하여 운영체제나 내부 탑재 기능의 보안 허점을 빨리 막는 것 뿐입니다.
홈네트워크에는 최근(6~7년전부터) 사용하지 않던 홈게이트웨이라는 기기가 있는데
해당기기는 공유기의 기능을 가지고 있죠.
그런데 이 제품의 기능 중 NAT가 있다고 해서 이제품을 설치하지 않아 보안이슈가 발생한 것처럼 언론을 호도한 분들이 계십니다.
그러니까 모든 공유기는 리눅스 기반의 소프트웨어 방화벽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는 CLI와 iptables(nftables) 문법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공유기 제조사는 GUI로 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그리고 이 GUI는 netfilter의 기능 중 극히 일부만을 사용자에게 노출합니다.
이 한계를 극복하려고 루팅과 dd-wrt 등의 커스텀 펌웨어를 덮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소프트웨어 방화벽의 근본적인 한계가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바로 처리 성능과 제한된 기능이죠. Netfilter가 완전무결한 물건이었다면 모든 리눅스 서버들은 앞단에 방화벽 없이 사용되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죠. 왜일까요?
먼저 netfilter를 쓰게 되면 규칙의 수가 증가할수록 스루풋이 떨어집니다. 상용 방화벽은 규칙의 갯수에 따른 성능 영향이 없습니다.
그리고 netfilter는 기본적인 패킷 필터링, mangle 기능을 제공합니다. BPF를 통해 임의의 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긴 하지만 어렵고 성능 영향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요 근래의 NGFW들은 네트워크 가시성과 추가적인 인사이트 기능을 제공합니다. IPS/IDS 기능이 통합된 지도 오랜 시간이 흘렀습니다.
리눅스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netfilter 단독으로 지원할 수 없습니다. Snort/suricata 등을 쓰더라도 성능 이슈가 여전히 꼬리표처럼 따라다닙니다.
장애 시 기술 지원도 문제가 됩니다.인터넷 공유기로 전문적인 방화벽 장비에 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이론상 가능합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아주 어려우며 성능도 나오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니까 공유기는 전문 방화벽을 대신할 수 없습니다.
공유기는 고전적인 의미에서의 방화벽이 가진 기능의 일부를 제공할 뿐이며, 그것으로 보안성 향상을 담보할 수도 없습니다. 자동화된 공격에 대한 제한적인 방어를 기대할 수 있는 정도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