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61870 |
25 |
2015-12
1661870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4) |
정은준1 |
2014-05 |
5126916 |
0 |
2014-05
5126916
1 정은준1
|
80970 |
Lenovo S415 노트북인데 고장났네요.. (3) |
정상억 |
2018-07 |
3973 |
0 |
2018-07
3973
1 정상억
|
80969 |
크로스 케이블은 케이블 테스터기에서 LED가 어떻게 들어와야 정상인가요? (2) |
김건우 |
2015-04 |
3973 |
0 |
2015-04
3973
1 김건우
|
80968 |
USB 지원 외장 하드의 모니터링 기능 지원 여부. (3) |
계속김과장 |
2014-12 |
3973 |
0 |
2014-12
3973
1 계속김과장
|
80967 |
고사양 노트북의 2년후 가치 (17) |
앙드레준 |
2019-01 |
3973 |
0 |
2019-01
3973
1 앙드레준
|
80966 |
Ajax 통신질문드립니다. (10) |
질문학생 |
2017-03 |
3973 |
0 |
2017-03
3973
1 질문학생
|
80965 |
조명 SMPS 문의드립니다! (8) |
머리감자 |
2018-10 |
3973 |
0 |
2018-10
3973
1 머리감자
|
80964 |
하드웨어에 관해 정보 나눔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 |
봉봉이 |
2016-09 |
3973 |
0 |
2016-09
3973
1 봉봉이
|
80963 |
이런 경우도 있나요... ?? SAS HDD 고장 ?? (6) |
싱어송라이터 |
2016-08 |
3973 |
0 |
2016-08
3973
1 싱어송라이터
|
80962 |
E5 2670 스탬핑별 성능차이가 있나요? (3) |
쁘삐 |
2017-11 |
3973 |
0 |
2017-11
3973
1 쁘삐
|
80961 |
window 7을 부팅 usb 로 설치할 때, 처음 사용자 설정 단계에서 먹통되는 현상 (9) |
블루2014 |
2017-09 |
3973 |
0 |
2017-09
3973
1 블루2014
|
80960 |
해외 직구 문의드립니다. (4) |
정연 |
2015-08 |
3974 |
0 |
2015-08
3974
1 정연
|
80959 |
컴퓨터 고장증상 질문드립니다 (11) |
NAS고장났다… |
2017-08 |
3974 |
0 |
2017-08
3974
1 NAS고장났다…
|
80958 |
LG U+ 관련 회원님이 계시는지요? |
싱국날강도 |
2016-08 |
3974 |
0 |
2016-08
3974
1 싱국날강도
|
80957 |
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추천해주세요. (4) |
블루스카이 |
2016-02 |
3974 |
0 |
2016-02
3974
1 블루스카이
|
80956 |
[ 시놀로지 ] 6.0 업그레이드가 완료 되지 않네요 (2) |
전설속의미… |
2016-04 |
3974 |
0 |
2016-04
3974
1 전설속의미…
|
80955 |
현재 신품 USB FDD 와 신품 플로피디스켓을 구할 방법이 있을까요? (18) |
차넷컴퓨터 |
2019-01 |
3974 |
0 |
2019-01
3974
1 차넷컴퓨터
|
80954 |
레이드1을 백업개념으로 사용하시는 분들 위한 질문 (7) |
겨울나무 |
2016-07 |
3974 |
0 |
2016-07
3974
1 겨울나무
|
80953 |
리눅스에 원격연결을 하고 싶습니다. 고수님들 좀 도와주세요..(VNC 실패기..) (9) |
으하라야 |
2015-12 |
3974 |
0 |
2015-12
3974
1 으하라야
|
80952 |
[ 미크로틱 ]. SWOS - RB2011UAS-2HnD (8) |
전설속의미… |
2020-09 |
3974 |
0 |
2020-09
3974
1 전설속의미…
|
80951 |
가성비 좋은 USB 3.0 4포트 PCI Express 카드 뭐 있을까요? ^^ (7) |
딸기대장 |
2018-08 |
3974 |
0 |
2018-08
3974
1 딸기대장
|
원격데스크톱이라는게 IDrac가 있는 서버의 원격 데스크톱을 말씀하시는거라면 Shared BMC 로 검색 해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dedicated port 대신 shared port 사용하시면 서버 LAN 포트에서 다중 IP 설정으로 서버에서 IDrac 연결이 가능 합니다.
지금 제 노트북으로 원격데스크톱으로 T350서버 접속 까지는 했는데
Tcp/IPv4 데스크톱 IP 는 200.0.0.10 이공 제 노트북은 200.0.0.11 로 설정 했습니다
이렇게 설정해서 192.168.0.120 IDrac 접속을 하려고 하니... 네트워크 확인 하라는 인터넷창만 뜨네요 답답해 죽겠습니다 ㅠㅠ
서버에 네트워크포트가 남는게 있으시면.. 물리적으로 연결하시면 간단해요..
idrac이랑 남는 이더넷 포트를 짧은 랜선으로 직접 연결하시고 IP를 서로 통신가능하게 설정하시면 됩니다.
그후 원격데스크톱으로 서버 접속후, 웹브라우저 켜서 idrac IP를 입력하시면 idrac웹화면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저도 이렇게 관리하는 서버가 몇개 있습니다
제 노트북에서 원격데스크톱을 이용해서 IDrac 을 접속 하는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아니면 idrac 관리 포트만으로 서버 자체는 standalone/인터넷 연결없이 라는 의미인가요?
일단 전자라면 ip만 부여해주면 됩니다.idrac 버튼 누르다 보면 ip 설정된게 있는게 그 아이피 대역으로
노트북의 ip를 맞추어서 접속하시거나, 서버에서 kvm 연결하시고 bios 쪽 통해 idrac 설정가셔서 아이피 바꾸시면 됩니다.
그리고 2번째 방법도 알고 싶습니다
IP는 서버 T350에 200.0.0.10 부여했고 노트북에는 200.0.0.11로 부여했습니다 이렇게 부여하니 크롬이 먹통이더라구요? ㅠㅠ
바이오스에서는 192.168.0.120 IDrac 설정을 해놓은 상태입니다
해당 기능을 이용하시면 idrac monitor 포트에만 랜을 연결한 채로 메인 서버/서비스는 랜없이 원격접속이 가능은 합니다.
크롬의 경우 dns설정이 되어 있지 않으면 ip가 아닌 도메인으로 접속시 먹통이 되는 것 처럼 보입니다.
내부 DNS를 설치하고 설정하시거나, ip로 접속해보시기 바랍니다.
서버
- 아이피, 게이트웨이, DNS
노트북(?)
- 아이피, 게이트웨이, DNS
네트워크
- 내부망 설정
이런 정보를 기재해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IP : 200.0.0.10
서브넷 : 255.255.255.0
게이트웨이 : 192.168.0.1
DNS 설정 X
노트북
IP : 200.0.0.11
서브넷 : 255.255.255.0
게이트웨이 : 192.168.0.1
DNS 설정 X
네트워크 내부망 설정???
이쪽계열에 처음 일시작을 해서 잘 모릅니다
초보라서 이해 하는게 느려서 답답하시겠지만은 이해부탁드리고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200을 반드시 써야 하는게 아니라면 192.168.0.1~254 사이에 설정해주시는게 옳습니다.
게이트웨이가 192.168.0.1 인데 해당 게이트웨이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공유기의 내부망인가요?
200.0.0.10 설정 해놓은상태에서
제노트북으로 서버 원격데스크톱 걸려고 하면은 제 노트북 200.0.0.11 설정을 했습니다
그래서 원격데스크톱 연결이 가능 해졌는 상태인데 그 이후에 IDrac 들어가려고 하니 막혀서 안들어가지네요
192.168.0.1은 인터넷 연결되어 있는 공유기 내부 입니다
스위치로 해도 되고..
Lan선으로 노트북과 Direct로 해되 되고..
인터넷이 없으면 최대한 가까이 가서 하세요..
iDAC IP : 192.168.100.10 / 24
노트북 : 192.168.100.20 / 24
이렇게 서로 정하고 iDRAC 때려 주면. 잘 연결되죠..
IDrac 은 라이프사이클에서 192.168.0.120으로 설정해놓은 상태이구요
IP : 200.0.0.10
subnet : 255.255.255.0
GW : 200.0.0.1
고급 메뉴 눌러서 IP주소 추가 192.168.0.10, subnet 255.255.255.0
노트북
IP: 200.0.0.11
subnet : 255.255.255.0
GW : 200.0.0.1
고급에서 192.168.0.11, subnet 255.255.255.0 추가
idrac shared nic 192.168.0.120 설정
위 과정거치면 서버에서든 노트북에서든 192.168.0.120 접속하시면 IDrac 접속이 가능합니다.
질문을 여기에 하셨으니 결과에 대해서는 모두가 공유하고 볼 수 있는 댓글이나 답변으로 남기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쪽지보다는 댓글로 계속된 질문을 달아주시는게 다수의 아이디어나 정보를 모을 수 있다고 여겨집니다.
해결 되었습니다 !! 감사합니다 ㅎㅎ
사설망에 붙이시고 예를들어 192.168.0.200 에 idrac 부여했으면
내부망이 192.168.0.1 게이트웨이 쓰시는 경우에 접속 가능하구요.
그게 아니면 nat 설정을 바꾸셔야해요. 라우터(공유기)에 따라서 다른대역 사설망 접속 설정이 다 다릅니다.
그것도 귀찮으면 USB 이더넷 하나 더 연결하시고 USB 이더넷 쪽은 192.168 로 idrac 아이피 대역으로 할당하시면 됩니다.
idrac의 아이피를 변경하면 안되는 이유가 있나요?
해결 되었습니다 !! 감사합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