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7975 |
25 |
2015-12
1677975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43831 |
0 |
2014-05
5143831
1 정은준1
|
80375 |
ddr3를 지원하는 iram 같은 장치가 있을까요.? (9) |
김제연 |
2014-07 |
4047 |
0 |
2014-07
4047
1 김제연
|
80374 |
HP z220 SFF 용 그래픽카드? (10) |
epage |
2019-03 |
4047 |
0 |
2019-03
4047
1 epage
|
80373 |
nvme 머리 나사 - 반대탭으로 뽑을 수 있을까요? (8) |
오성기 |
2020-12 |
4047 |
0 |
2020-12
4047
1 오성기
|
80372 |
엑셀 매크로 질문 좀 드리겠습니다. (6) |
차평석 |
2017-01 |
4047 |
0 |
2017-01
4047
1 차평석
|
80371 |
KRAB 램섬웨어 감염 (6) |
신관악산 |
2018-08 |
4047 |
0 |
2018-08
4047
1 신관악산
|
80370 |
미크로틱 750gl 문의드립니다. (10) |
임종열 |
2014-04 |
4047 |
0 |
2014-04
4047
1 임종열
|
80369 |
해상도가 낮아진 모니터 수리방법은 있을까요? (10) |
NiteFlite9 |
2020-12 |
4047 |
0 |
2020-12
4047
1 NiteFlite9
|
80368 |
cmos설정 잘 정리를 해놓은 사이트 있을까요? (2) |
쌍cpu |
2016-10 |
4047 |
0 |
2016-10
4047
1 쌍cpu
|
80367 |
익스프레스캐쉬, 레디캐쉬를 쓰면 성능향상이 큰가요? |
병맛폰 |
2014-03 |
4047 |
0 |
2014-03
4047
1 병맛폰
|
80366 |
tas 465 오실로스코프 상태.. (5) |
2CPU최주희 |
2021-02 |
4047 |
0 |
2021-02
4047
1 2CPU최주희
|
80365 |
허영진님께 백라이트 사신 선발대분들 소켓 또는 핀맵정보 아시는지요? (12) |
Nikon |
2014-03 |
4047 |
0 |
2014-03
4047
1 Nikon
|
80364 |
바이오스 업데이트가 여기서 멈춥니다. (3) |
김민철GC |
2015-08 |
4047 |
0 |
2015-08
4047
1 김민철GC
|
80363 |
디스트 정보(용량/폴더수등) 프로그램 문의 드립니다. (1) |
태무진 |
2016-09 |
4047 |
0 |
2016-09
4047
1 태무진
|
80362 |
tx100 s3p 와 삼성 ssd 840 pro 속도가... (6) |
witbox |
2014-08 |
4047 |
0 |
2014-08
4047
1 witbox
|
80361 |
zotac h55itx a-e 보드사용중인데 윈도 스핀 설정이 자꾸 죽습니다. (2) |
김건우 |
2018-02 |
4047 |
0 |
2018-02
4047
1 김건우
|
80360 |
해킹당해서 개인정보나 도청을 당하고 있는데요. (6) |
잠못이룬 |
2015-08 |
4048 |
0 |
2015-08
4048
1 잠못이룬
|
80359 |
[여행지 문의 드립니다.] 변산반도 1박 2일 정도 다녀 오는데 추천 코스 부탁 드립니… |
monan |
2015-12 |
4048 |
0 |
2015-12
4048
1 monan
|
80358 |
노트북 질문드려요 님들은 어떤걸 선택하시겠어요??? (4) |
무엇을선택… |
2014-10 |
4048 |
0 |
2014-10
4048
1 무엇을선택…
|
80357 |
pfsense haproxy 에서 test.com:port 로 접근할려면 어떻게 셋팅하는지 궁금합니다. (2) |
강한구 |
2021-01 |
4048 |
0 |
2021-01
4048
1 강한구
|
80356 |
5805을 pci-e 4x에 물릴경우 성능이 많이 떨어질까요? (3) |
김민철GC |
2014-02 |
4048 |
0 |
2014-02
4048
1 김민철GC
|
원격데스크톱이라는게 IDrac가 있는 서버의 원격 데스크톱을 말씀하시는거라면 Shared BMC 로 검색 해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dedicated port 대신 shared port 사용하시면 서버 LAN 포트에서 다중 IP 설정으로 서버에서 IDrac 연결이 가능 합니다.
지금 제 노트북으로 원격데스크톱으로 T350서버 접속 까지는 했는데
Tcp/IPv4 데스크톱 IP 는 200.0.0.10 이공 제 노트북은 200.0.0.11 로 설정 했습니다
이렇게 설정해서 192.168.0.120 IDrac 접속을 하려고 하니... 네트워크 확인 하라는 인터넷창만 뜨네요 답답해 죽겠습니다 ㅠㅠ
서버에 네트워크포트가 남는게 있으시면.. 물리적으로 연결하시면 간단해요..
idrac이랑 남는 이더넷 포트를 짧은 랜선으로 직접 연결하시고 IP를 서로 통신가능하게 설정하시면 됩니다.
그후 원격데스크톱으로 서버 접속후, 웹브라우저 켜서 idrac IP를 입력하시면 idrac웹화면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저도 이렇게 관리하는 서버가 몇개 있습니다
제 노트북에서 원격데스크톱을 이용해서 IDrac 을 접속 하는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아니면 idrac 관리 포트만으로 서버 자체는 standalone/인터넷 연결없이 라는 의미인가요?
일단 전자라면 ip만 부여해주면 됩니다.idrac 버튼 누르다 보면 ip 설정된게 있는게 그 아이피 대역으로
노트북의 ip를 맞추어서 접속하시거나, 서버에서 kvm 연결하시고 bios 쪽 통해 idrac 설정가셔서 아이피 바꾸시면 됩니다.
그리고 2번째 방법도 알고 싶습니다
IP는 서버 T350에 200.0.0.10 부여했고 노트북에는 200.0.0.11로 부여했습니다 이렇게 부여하니 크롬이 먹통이더라구요? ㅠㅠ
바이오스에서는 192.168.0.120 IDrac 설정을 해놓은 상태입니다
해당 기능을 이용하시면 idrac monitor 포트에만 랜을 연결한 채로 메인 서버/서비스는 랜없이 원격접속이 가능은 합니다.
크롬의 경우 dns설정이 되어 있지 않으면 ip가 아닌 도메인으로 접속시 먹통이 되는 것 처럼 보입니다.
내부 DNS를 설치하고 설정하시거나, ip로 접속해보시기 바랍니다.
서버
- 아이피, 게이트웨이, DNS
노트북(?)
- 아이피, 게이트웨이, DNS
네트워크
- 내부망 설정
이런 정보를 기재해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IP : 200.0.0.10
서브넷 : 255.255.255.0
게이트웨이 : 192.168.0.1
DNS 설정 X
노트북
IP : 200.0.0.11
서브넷 : 255.255.255.0
게이트웨이 : 192.168.0.1
DNS 설정 X
네트워크 내부망 설정???
이쪽계열에 처음 일시작을 해서 잘 모릅니다
초보라서 이해 하는게 느려서 답답하시겠지만은 이해부탁드리고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200을 반드시 써야 하는게 아니라면 192.168.0.1~254 사이에 설정해주시는게 옳습니다.
게이트웨이가 192.168.0.1 인데 해당 게이트웨이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공유기의 내부망인가요?
200.0.0.10 설정 해놓은상태에서
제노트북으로 서버 원격데스크톱 걸려고 하면은 제 노트북 200.0.0.11 설정을 했습니다
그래서 원격데스크톱 연결이 가능 해졌는 상태인데 그 이후에 IDrac 들어가려고 하니 막혀서 안들어가지네요
192.168.0.1은 인터넷 연결되어 있는 공유기 내부 입니다
스위치로 해도 되고..
Lan선으로 노트북과 Direct로 해되 되고..
인터넷이 없으면 최대한 가까이 가서 하세요..
iDAC IP : 192.168.100.10 / 24
노트북 : 192.168.100.20 / 24
이렇게 서로 정하고 iDRAC 때려 주면. 잘 연결되죠..
IDrac 은 라이프사이클에서 192.168.0.120으로 설정해놓은 상태이구요
IP : 200.0.0.10
subnet : 255.255.255.0
GW : 200.0.0.1
고급 메뉴 눌러서 IP주소 추가 192.168.0.10, subnet 255.255.255.0
노트북
IP: 200.0.0.11
subnet : 255.255.255.0
GW : 200.0.0.1
고급에서 192.168.0.11, subnet 255.255.255.0 추가
idrac shared nic 192.168.0.120 설정
위 과정거치면 서버에서든 노트북에서든 192.168.0.120 접속하시면 IDrac 접속이 가능합니다.
질문을 여기에 하셨으니 결과에 대해서는 모두가 공유하고 볼 수 있는 댓글이나 답변으로 남기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쪽지보다는 댓글로 계속된 질문을 달아주시는게 다수의 아이디어나 정보를 모을 수 있다고 여겨집니다.
해결 되었습니다 !! 감사합니다 ㅎㅎ
사설망에 붙이시고 예를들어 192.168.0.200 에 idrac 부여했으면
내부망이 192.168.0.1 게이트웨이 쓰시는 경우에 접속 가능하구요.
그게 아니면 nat 설정을 바꾸셔야해요. 라우터(공유기)에 따라서 다른대역 사설망 접속 설정이 다 다릅니다.
그것도 귀찮으면 USB 이더넷 하나 더 연결하시고 USB 이더넷 쪽은 192.168 로 idrac 아이피 대역으로 할당하시면 됩니다.
idrac의 아이피를 변경하면 안되는 이유가 있나요?
해결 되었습니다 !! 감사합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