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6557 |
0 |
2014-05
5266557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1460 |
25 |
2015-12
1791460
1 백메가
|
105793 |
무한토너의 파우더 충전방식 안전한가요? (레이저 프린터) (9) |
봉래 |
2020-05 |
5848 |
0 |
2020-05
5848
1 봉래
|
105792 |
Z620 메모리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3) |
snoopy1024 |
2019-03 |
2904 |
0 |
2019-03
2904
1 snoopy1024
|
105791 |
국내 고정아이피로 vpn 서비스 제공해주는 믿을만한 업체 있을까요? (8) |
땅부자 |
2020-05 |
2927 |
0 |
2020-05
2927
1 땅부자
|
105790 |
AIO RAID 150-2Ch 카드 장착가능한 하드디스크 용량은 어떻게돼나요? (2) |
김병일 |
2009-11 |
7998 |
0 |
2009-11
7998
1 김병일
|
105789 |
VM 에 설치한 Windows 10 인증은 어떻게 처리되는 걸까요? (8) |
무아 |
2016-11 |
9542 |
0 |
2016-11
9542
1 무아
|
105788 |
가정 내, 기가 빗 구성 질문 입니다. (8) |
PARKYONGJOON |
2014-08 |
4237 |
0 |
2014-08
4237
1 PARKYONGJOON
|
105787 |
AP컨트롤러쪽에는 pfsense류의 오픈소스는 없나요? |
대한민국 |
2015-12 |
3208 |
0 |
2015-12
3208
1 대한민국
|
105786 |
dell xps 15 9550 윈도우10 usb문제 |
이희주 |
2016-11 |
4788 |
0 |
2016-11
4788
1 이희주
|
105785 |
윈도 기본 메모장 대신 notepad++을 사용하고 싶습니다. (10) |
겨울나무 |
2014-08 |
17859 |
0 |
2014-08
17859
1 겨울나무
|
105784 |
새벽에 술먹고 폰을 박살냈습니다 ㅠ_ㅠ (2) |
햇님반변강쇠 |
2015-12 |
4513 |
0 |
2015-12
4513
1 햇님반변강쇠
|
105783 |
Thin iTX CPU 일체형 보드는 구하기 힘든가요? (18) |
레나 |
2020-05 |
4989 |
0 |
2020-05
4989
1 레나
|
105782 |
인텔 s2600wt usb boot (6) |
2CPU최주희 |
2023-05 |
2694 |
0 |
2023-05
2694
1 2CPU최주희
|
105781 |
로지텍 G1 마우스에 대하여 (6) |
씨형 |
2009-12 |
11138 |
0 |
2009-12
11138
1 씨형
|
105780 |
뭘 업글하는게 가성비 좋을까요? (6) |
영산회상 |
2020-06 |
2826 |
0 |
2020-06
2826
1 영산회상
|
105779 |
부모님 핸드폰 교체해드리려는데 번호이동 공짜폰 (4) |
푸릉이 |
2009-12 |
8186 |
0 |
2009-12
8186
1 푸릉이
|
105778 |
i5-6500T 저전력 시피유 질문 (1) |
최재원99 |
2016-12 |
5488 |
0 |
2016-12
5488
1 최재원99
|
105777 |
그래픽 카드 모니터 연결 (10) |
백만스물하나 |
2020-06 |
3784 |
0 |
2020-06
3784
1 백만스물하나
|
105776 |
HP Z230 SFF 형 external 3.5인치 베이 작창 문제 (4) |
풀로드시스템 |
2016-01 |
4381 |
0 |
2016-01
4381
1 풀로드시스템
|
105775 |
삼성 870 EVO 제품 RAID 0 문의 |
나우마크 |
2023-06 |
1515 |
0 |
2023-06
1515
1 나우마크
|
105774 |
델 T620 외장 그래픽 질문합니다. (5) |
고기 |
2014-09 |
6504 |
0 |
2014-09
6504
1 고기
|
보드 제조사에 문의해서 해주겠다고 할 수도 있지만 똑같은 장비가 필요하니 자기네 테스트 룸(해외)로 보내 주면 해주겠다 하던지
제조사에서 테스트 해보고 개발비가 필요하다던지 할 수 있습니다..
물론 테스트 하는데 시간도 걸리고 결과가 이래저래서 지원이 안된다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보드 바이오스를 뜯어 고치던지 보드레이어 아웃까지 뜯어 고쳐야 할 수도 있는 사항입니다..
국내에서는 아마 거의 못할 것입니다..
보통 바이오스 및 개발 엔지니어들은 제조사 밑에서 일하고 몸값도 셉니다..
다른 보드를 사용해도 호환성 문제는 해봐야 답이 나옵니다..
썬더볼트 카드는 본래 보드 모델에 맞추어서 나오는 것인데 ( 일종의 전용 악세사리인데 )
(요즘 그냥 이래저래 일반적으로 사용가능하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만)
보드는 기가바이트인데 왜 아수수 썬더볼트 카드인지가 의문입니다.. ( 싸게 쉽게 구매할수 있는게 그것밖에 없으니까 라는 것도 이해는 합니다만..)
기가바이트 보드면 썬더볼트카드도 기가바이트여야 하지 않겠느냐는 것입니다..
그리고 요즘 레이드 카드의 주류는 LSI가 9 아답텍이 1 정도 이고 그 외의 레이드 카드들은 거의 보기 힘들 정도입니다..
LSI 가 거의 모든 서버/웍 제조사에 OEM을 하고 있지요..
제 개인적 경험으로는 그나마 기가바이트 보드가 레이드 카드가 잘 붙습니다..
Highpoint roketraid 4520 sas/sata 6G raid card 는 PCIe GEN 2.0 까지 지원하고 GiGabyte z490 vision g 보드는 PCIe GEN 4.0 지원입니다..
보통 GEN은 위아래 한단계까지는 큰 문제가 없다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만 두단계 넘어가면 호환성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asus 썬더볼트 카드는 애플 썬더볼트 모니터 때문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에 장터에서 기가 바이트 타이탄 리지 카드도 구입을 했었는데 위 애플 썬더볼트 모니터 사용이 어렵더라고요. asus 알파인 릿지 썬더볼트 카드에서는 아예 바이오스 화면부터 나옵니다.
그런데 기가바이트 썬더볼트 카드도 연결해 봤었는데 거의 동일한 증상입니다.
PC보드들은 새로 나오면 나올수록 비디오 카드 한장 달랑 꼽고 다른 PCIe 자원은 거의 모두 M.2로 돌려 버리더라고요..
저도 레이드 카드 사용하는 입장이라 PCIe 슬롯이 많은 보드를 선호하는데 PCIe 슬롯이 넉넉한 PC보드는 이제는 없다라고 할 정도입니다..
만일 가능하시면 레이드카드를 LSI 나 아답텍 /아레카 정도로 바꿔보세요..
Highpoint roketraid 4520 sas/sata 6G raid card 드라이버 어디까지 지원하나 보니 윈도우즈 7 /윈도우즈 8.1 정도까지네요..
만일 카드 다 꼽고 OS 디스크 없이 동작시켰을때 시스템이 장치 다 인식하고 부팅 하드 없음으로 나온다면 하드웨어 자체 문제 보다는
OS 드라이버 지원이나 꼬임 문제로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보통 제조사가 단종된 제품 최신 OS 드라이버를 만들어 줄리는 거의 없고요..
맥만 사용하다 애플 썬더볼트 디스플레이, dell sas 하드디스크 몇개 사용하려다 온갖 삽질을 하고 있는데요, 나중에 문제 해결하고 기분좋게 삽질기를 정리할 기회가 있으면 좋겠습니다. ㅜ 지금은 좀 막막하네요.
맞는 것만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 이래저래 프로그램 인증 건도 있고 해서 가격이 더 비쌀 수 밖에 없습니다..)
물론 사용하다 보면 호환성 문제가 생기기는 하는데 그 때는 벤더사 쪽에서 해답을 주는 것이 맞고요..
일반용 조립 PC나 서버는 항상 호환성 문제를 달고 갑니다.. 그 문제를 푸는 주체는 그 시스템을 만든 소비자이죠..
썬더볼트가 나오고 나서 얼마되지 않아서 썬더볼트는 맥의 전용이라고 생각했었습니다..
그러나 썬더볼트 3가 나오고 인텔이 관련 칩셋을 만들고 나서 전체는 아니지만 조금씩 인텔 시스템에도 썬더볼트가 적용됩니다..
물론 썬더볼트 되는 시스템은 아직은 한정적 이지만요..
OS 설치 안하고 하드웨어 인식만 하는데도 왔다 갔다 한다면 풀기가 쉽지 않습니다..
구성품 중 무엇인가 바꿔야 합니다...
전에 B460에 가상화 서버로 돌릴려고 쿼드로 3개 물린후 부트 시도하니 부트 안 되더군요 (슬롯 상관 없이 3개중 아무거나 2개 쓴 경우 정상)
아마 구조상 저런 대량의 리소스 요구하는건 2개까지만 되게 만든듯합니다
GC쪽은 패스용 DP포트를 제외하면 드라이버 적재되는 단계까지 일체 안 나오더군요
다테노 님 블로그 게시글은 잘 읽고 (감사합니다) 따라서 해봤는데 타이탄 리지 카드에 디자이너리 nvm33 버젼 모드된 걸로 펌웨어 바꾸고 레가시 드라이버 이용을 해도 윈도우 10(21h2) 에서는 썬더볼트 카드가 작동을 하지 않았습니다. 썬더볼트 모니터 뿐만 아니라 다른 기기들(하드 등) 작동을 안하더라고요.
순정 nvm23 펌웨어를 이용하면 썬더볼트 디스플레이 사용이 가능하다는 말도 있어 그걸로 바꾸어 봤는데 다른 기기들은 동작하는데 썬더볼트 디스플레이는 동작을 하지 않고요. (순정 펌에서 레가시 드라이버는 안써봐서 이건 차후 해보려고 합니다) nvm 23순정펌 이용하면 인텔 최신 dch 드라이버에서도 다른 기기들은 정상 작동했습니다.
펌 순정 유무 상관없이 드라이버 적재될때까진 화면 안 나오더군요
썬더볼트 (모니터나 USB 제외) 핫플러그 가능 유무는 똑같이 해도 보드에 따라 달랐습니다 (게시물 작성시 센디부터 시작해서 AMD 포함 6~7가지 모델 시험했습니다) (안 되는 경우 꽃고 켜야만 잡혀있더군요)
윈도에서 개조된 펌으로 제대로 될려면 본문대로 낡은 구버전 드라이버 써야 합니다 (안 그러면 부트후 몇분 있으면 43에러 뜨고, 작동도 안 합니다)
펌 시험할때 순정 23/순정 43? (최신)/디자이어 3가지 다 부트후 모니터는 되었습니다 (QHD/USB C 모니터 가진게 있어서 그걸로 다 시험 진행했습니다)
----------------------------------
결국 전용 커넥터 있음 + 맥 안 씀 + 1장 장착 경우 그냥 순정 펌 쓰세요
전용 커넥터 있음 + 맥 쓰거나 2장 이상 장착하는 경우 순정 기반 개조 버전 쓰세요
전용 커넥터 없는 경우에나 디자이어 펌 써주세요
ㅡㅡ
윈도우 로그인 (암호입력 화면) 화면부터 나온다는 말씀이시죠?
애플 썬더볼트 디스플레이가 다른 썬더볼트 모니터보다 까다로운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부트해서 화면이 나올때까진 전혀 안 나오더군요
부트된다음엔 핫플러그 비롯해서 모니터 정상적으로 작동했습니다 (다만 부트후 1번 탈착해야 화면 나오는 경우는 있었습니다)
애플껀 제품이 없어서 시험을 못해봤네요
-- 썬더볼트 카드를 더 꼽았더니 다시 레이드카드를 인식 못하고---
아마도 메인보드 IRQ 자원이 모자라서 RAID에 할당을 못 준것일수도 있고.
BIOS 롬이 작아서 .. Raid 컨트롤러의 Firmware rom을 못 뛰우는 것일 수도 있고..
메인보드 바이오스를 얼마나 모든 유저의 성향을 다 이해하고.. 많은 것을 지원하고.
배려하는 맘으로 제작했느냐의 그런 내용 같습니다.
메인보드를 좋은 거 사야... 이러한 드문 케이스등이 문제가 없습니다.
꼭 하고 싶다면..
메인보드의 사용하지 않는 자원
모두 끄세요.
컨슈머 라인업에서는 저런 대량의 리소스 달란 카드 3개 힘든경우 많습니다 (심지어는 젤 비싼 Z나 기업용 아니면 보기 힘든 Q조차 동일)
다만 IRQ는 아니고, 메모리 주소쪽이 부족한걸껍니다
보통 사용자 패턴이 저런거 3개 안 물려서 설계상 고려 안 하는 경우가 많은듯 합니다
한번 고민해 보겠습니다.
서버용 C시리즈 칩셋은 사정이 좀 낫던데 (이조차 모델 나름), 컨슈머용 H/B/Z/Q는 3개 물리니 인식 불가, 부트 불가, POST 불가 등 다양하게 애먹이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