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할 압축하여 백업하여도 괜찮을까요?

주먹밥   
   조회 1779   추천 0    

저는 현재 dat160 백업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https://www.google.com/search?q=dat160&source=lnms&tbm=isch&sa=X&ved=2ahUKEwjno_bm57T8AhXdm1YBHbreD60Q_AUoAXoECAEQAw&biw=2286&bih=1229&dpr=1#imgrc=eaAckKnWBuTLAM

이 사진과 같은 드라이브를 사용하고 있어 테이프의 물리적 한계?가 오면 다른 테이프에 이어서 백업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테이프의 최대 용량을 체크하고 백업을 하고 있는데요. 문제는 백업할 폴더의 크기가 천차만별이라 어떤 테이프에는 많이 넣게 되고 어떤 테이프에는 용량이 남는데도 더 넣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분할 압축을 하여 각 테이프에 들어가는 파일의 용량이 비슷하도록 하여 백업하면 어떨까 생각해보았는데, 이런 식으로 백업했을 경우 추후에 문제가 될 사항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사실상 압축은 하지 않고 그냥 분할 기능만 사용하여 백업하고자 합니다. 또한 보통은 어느 방식으로 사용하시는지도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Sikieiki 2023-01
파일을 그냥 넣어도 어느정도 자동압축을 진행하지않나요?
굳이 분할하여 만에하나 파일꺄질 리스크를 감수하실 이유가?
     
spndisk 2023-01
주 목적은 압축이라기보다는 파일의 분할이 큽니다. 하지만 우려하신 대로 분할하다가 파일이 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도리어 복구하기 힘든 상황도 발생하겠네요.. 댓글 감사합니다!
dateno1 2023-01
파일이 여러 파일에 나뉘어서 저장될 경우 해당 파일 추출시 한군데 그 파일을 다 모아야하니 대용량 저장소가 필요해집니다
     
spndisk 2023-01
테이프 용량이 더 많았으면 분할하지 않고 그냥 파일 원본 그대로 넣어서 백업해버릴텐데 아쉽습니다 ..ㅎㅎ 댓글 감사합니다
박문형 2023-01
테이프백업은 유닉스 시스템때의 유산 중 하나이고 디스크 전체나 파티션 전체 백업용도로만 생각하고 있습니다..

파일 하나를 데이프 카트리지 하나에 넣고 사용은 가능하겠지만 카트리지가 많이 필요하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테이프 장치는 일종의 소모품입니다..

헤드관리도 해야 하고 헤드가 닳아서 고장나면 테이프 장치 또 사야 됩니다..

은근히 유지 보수비 많이 들어간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술이 2023-01
보통 테잎백업 같은경우 용량이 오버되면 다음 테잎 넣으라고 할건데...
윈도우 백업은 항상그렇게 진행되었습니다.


QnA
제목Page 428/5730
2015-12   1791054   백메가
2014-05   5266131   정은준1
2020-08   2251   팔코
2022-01   2047   라이카
2016-02   5516   미수맨
2014-12   4525   테돌아이
2014-12   4164   지수삼촌
2017-02   4582   오리고니
2019-06   6346   깜박깜박가
2013-07   7633   뮤노
2014-12   4624   백남억
2023-09   2976   system32
2010-08   11980   김민수
2019-06   3723   김제연
2013-07   8300   밥한끼
2014-12   5732   송주환
2016-03   4579   허리장사
2020-09   3636   twopaik
2010-09   8643   권용1
2018-05   4372   진신두
2023-10   1935   평행우주
2013-08   6527   이선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