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CI 진행 시 Window Server 라이선스 질문

DualPort   
   조회 2311   추천 0    

HCI 제품 도입 시 Window Server 라이선스 관련해서 궁금한게 있어서요..

Window Server 12대 정도와 그 외 리눅스 10대 정도 총 22대 정도를 VMware 환경으로 P2V하려고 합니다 

기구축된 피지컬 서버 window OS는 WS Std 2019 16core 라이선스와 WS Std 2016 16core 라이선스로 섞여 있는데

oem이 아닌 오픈 라이선스로 도입 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궁금한게, 기존 피지컬 서버의 WS 라이선스를 VMware로 올린 VM OS에 그대로 인증을 해놓아도 라이선스 위반이 아닐까요?


기존 구축된 서버 모두 최대 2소켓 16코어를 넘지 않는 선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VM으로 그대로 옮겨 라이선스를 활용해도 되나 궁금하네요..

HCI 노드의 물리 코어 수에 맞게 datacenter 라이선스를 다시 구매하면 비용도 매우 비싸고 리눅스 OS 를 사용하는데 전체 물리코어를 

맞서서 진행해야 한다는게 불필요한 지출 같네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술이 2023-01
가상화에 올라가는것중 리눅스는 라이센스 대상이 아니고 어떤 버젼이든간에 무제한 라이센스입니다.(Hyper-V 인스턴스는 그렇고 벰웨어는 모르겠습니다 인스턴스 라이센스 제한되어 있는지)
문제는 윈도우인데 위와같은 라이센스 이슈를 피해가기 위해서 데이터센터 버젼을 구입하는것이 대부분입니다.
보통 윈도우 스탠다드버젼은 가상화 인스턴스 라이센스2개가 인정되어서 문제는 안되는게 맞는거 같지만 이게 기존 물리서버에걸 다시 가상화로 들어가는건 문제의 소지가 있을수 있을거 같습니다. 이쪽 부분은 귀에걸든 코에걸든 걸리는게 대부분이라...
그런데 데이터센터 버젼을 구입하면 위 12대 값을 대신할거 같은데요?
일단 데이터센터 버젼이라면 모든 인스턴스는 무제한입니다. 인증도 무제한이라 걱정거리는 없는데...
HP에서 판매하는 금액은 16코어가 600만원 조금 넘는거 같습니다. 두대 이중화라면 1200인데 비싼건 아닌거 같아요.
리눅스 가상화 머신이 많다고 한다면 지금 물리서버에 가상화 올려서 리눅스 주구장창 올리면 라이센스 걱정은 전혀 없을겁니다. 리눅스같은 오픈소스 OS들은 스탠다드 버젼이여도 라이센스 대상이 아니라 무제한이기 때문입니다.
     
Dreaday 2023-01
데이터센터는 자체 Hyper-V 써야 ...무제한이라 ..비추일듯하네용
          
술이 2023-01
벰웨어 써도 윈도우데이터 구입해서 쓰면 무제한인데요...(벰웨어 라이센스가 문제지 윈도우계열은 어느 플랫폼을 쓰든 라이센스는 똑같습니다)
Dreaday 2023-01
vmware 올라가는 윈도우 라이센스는 동일 사양이면 이관 가능합니다 .

저희도 그렇게 확인 후 이관했습니다 .


QnA
제목Page 416/5725
2014-05   5240423   정은준1
2015-12   1765864   백메가
2023-01   4628   보탕
2023-01   2952   pibang
2023-01   1318   구십평
2023-01   1713   야타호핵꿀밤
2023-01   1368   눈부신아침
2023-01   1518   짱님
2023-01   1799   한성택
2023-01   2714   재로쿨
2023-01   1501   syhj
2023-01   1966   영산회상
2023-01   1942   Andrew
2023-01   2240   Elsaphaba
2023-01   1665   05
2023-01   2924   딥마인드
2023-01   1717   전설속의미…
2023-01   1565   요를레이
2023-01   2108   수퍼싸이언
2023-01   1209   박문형
2023-01   1491   보탕
2023-01   1728   choi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