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얼 PC 에 하나의 워터펌프를 쓰고자 한다면 이렇게 구성해야 할까요?

   조회 2327   추천 0    

 




현재 이와 같이 1대의 PC에 펌프, 팬 9개를 연결해 MO-RA3 외장 라디 기반의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1대의 PC를 추가해 아래와 같이 의도한 대로 시스템이 기능하게 하고 싶습니다

1) 두 대의 PC 중 최소 1대가 전원이 켜지면, 쿨링팬 및 펌프 묶음에도 전력 공급

2) 두 대의 PC 모두가 전원이 꺼지면, 쿨링팬 및 펌프 묶음에도 전력 공급 차단





적합한 컨트롤러가 없어서, 여러 변환 젠더와 케이블을 이용해 마이크로닉스 듀얼 파워 커넥터를 대신 이용해보려 합니다

(커넥터 제품 링크: https://prod.danawa.com/info/?pcode=16514312)



1) 커넥터의 메인 파워 단자에는 Y자 스플리터 및 SATA 암수 변환 젠더를 이용해 두 대의 PC를 연결하고,

2) 커넥터의 보조 출력 단자에 쿨링팬 및 펌프들을 SATA 멀티 케이블을 이용해 연결하고

3) 커넥터의 보조 파워 단자에는 아무 것도 연결하지 않고자 합니다.


위와 같이 구성한다면 의도한 대로 문제 없이 작동할 수 있을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3-01
잘은 모르지만 PC1과 PC2의 전원을 합치는 것이 전선 연결만으로는 불가능 할 것입니다..

저렇게 연결하면 PC의 전원이 데미지 입을 확률이 높습니다..

각 PC의 전원 전압도 미세하게 틀리고요..
     
새앙쥐 2023-01
혹여나 했는데 역시 저리 안 하는 게 좋겠군요
조언 감사합니다
찬이 2023-01
링크의 저건 반대의 상황용이지 어느 하나가 켜졌을 때 동작시키기 위함이 아닙니다.
그냥 SATA 케이블 두개 구매하셔서, 선을 잘라 다이오드를 통해 병렬 연결 하시는게 나을듯 합니다.
다이오드없이 직결하시면 고장납니다.
     
새앙쥐 2023-01
전자 부품이나 회로에 대한 지식이 거의 전무해서 몇 가지 질문 드려 봅니다...
1) 다이오드 같은 경우 이런 제품을 쓰면 될 지 ( https://www.11st.co.kr/products/1615952517 )
2) SATA 케이블 같은 경우 각각 4가닥 씩 선이 나오는데, 각 선 별로 다이오드를 하나씩 연결해야 할 지
3) 각 파워에서 SATA 케이블 따서 연결한 뒤에 어떤 것과 연결해야 할 지... 듀얼 파워 커넥터? 아니면 펌프에 직결?
          
찬이 2023-01
이 다이오드는 고전압용이고 Vf 도 높아 목적에 맞지 않습니다.
1A 미만으로 사용한다면 1N5819 정도면 될거같고 전류가 높으면 다른걸 사용하셔야 합니다.
답글 확인해주세요.
12V만 쓰면 5V쪽(빨간색)은 아무것도 연결 안해도 되구요.
               
새앙쥐 2023-01
팬(팬 허브)는 12V만, 펌프는 5V, 12V를 쓰는데, 둘 다 1A 이상 소비해서 말씀하신 1N5819는 어려울 것 같네요...
각각 최대 소비 전력이 13W, 65W 이렇게 됩니다
Sikieiki 2023-01
파워없아 12v릴레이로 접점 만들어주고 독립파워로 펌프돌리시는게...
     
새앙쥐 2023-01
잘 이해가 안 되어서 그런데, 12V 릴레이 스위치로 어떤 것과 어떤 것을 접점 만들고, 독립 파워는 어떻게 연결해야 된다는 것일까요...?
          
김강호 2023-01
펌프에 별도의 전원 소스를 붙이고, 전원 소스 제어를 릴레이를 통해 하라는 말씀이신 것 같습니다. 릴레이 제어는 각 PC의 5V나 12V 아무거나 따오면 되구요.
오태화 2023-01
찬이님이 이야기 하신대로 용량 (허용전류)높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펌프와 팬들의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장 간편한 방법인것 같읍니다.
릴레이로 할 경우 별도의 전원이 또 필요하게 되므로 다이오드 2개로 해결하시는것이 간편해 보입니다.
     
새앙쥐 2023-01
본문의 구성에서 다이오드는 어떻게 연결을 해야 하는 것일까요...
그 부분부터 감이 안 잡혀서 난감한 상황입니다;;
          
오태화 2023-01
펌프와 팬의 연결을 어떤 커넥터를 사용 하는지 보면 답하기 쉬울것 같읍니다.
               
새앙쥐 2023-01
펌프와 팬 (팬 허브) 모두 본문의 그림처럼 SATA 수컷 커넥터를 사용합니다 (핀이 튀어나온 커넥터)
                    
오태화 2023-01
12V의 전압만 사용한다면
PC1 SATA 전원케이블의 노란색 중간을 잘라서 거기에 10A 다이오드 2개 이상 병렬로 연결하고
PC2 SATA 전원케이블도 노란색 중간을 잘라서 다이오드 2개 이상 연결하면 될것 같읍니다.

위 사양으로 보면 12V에 약 7A의 전류가 흐를 것으로 생각되는데 SATA커넥터가 7A를 연결할 경우 접촉불량이나 접촉저항으로 커넥터가 녹을 수 있으므로 커넥터 1개 보다는 2개 이상으로 사용하시는 것이 좋을것 같읍니다.

    --> 다이오드 2개 이상 연결은 다이오드의 발열과 전압강하에 대비하기 위해 연결해 테스트 해보시고 다이오드의 발열량을 체크해서 다이오드 갯수를 정하시면 될것 같읍니다.
                         
새앙쥐 2023-01
팬은 12V만 쓰지만 펌프 쪽이 12V, 5V 모두 사용하네요
이 경우엔 말씀하신 것에서 SATA 케이블 빨간색을 추가로 잘라 작업해주면 되는 것일까요?
그리고 PC 전원에서 SATA 케이블은 각각 1개씩만 나올 터인데, 어떻게 2개를 사용하라는 말씀이실 지가 잘 이해가 안 되네요...
                         
오태화 2023-01
더이상 댓글이 안되는것 같아 여기에 댓글을 답니다.

5V도 사용 한다면 5V라인도 다이오드 추가하시구요.  전류도 체크해 보시고 다이오드 발열도 체크해 보세요
PC1, PC2 전원공급 커넥터 2개 이상 연결을 추천드입니다. 정확한건 SATA커넥터 하나의 허용 전류를 확인해 봐야 하겠지만요
                         
새앙쥐 2023-01
커넥터 2개 이상 연결이 그 말씀이셨군요. 상세히 도움 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그렇다면 혹시 그렇게 2n (n: pc당 SATA 커넥터) 배수의 개수의 SATA 케이블들에 다이오드를 작업하고 나면, 각 다이오드들의 나머지 말단은 무엇과 연결해야 되는 것일까요...?
각 전압 라인 별로 묶어서 또다른 SATA 케이블과 연결해, 최종적으로 그림의 마이크로닉스 듀얼 파워 커넥터와 연결한 뒤, 나머지 구성은 최초에 계획했던 구성 그대로 하면 되는 것인지 궁금하네요
                         
오태화 2023-01
그림으로 그리신 커넥터를 2개 만들어서 출력라인만 합치면 쉽게 끝날것 같읍니다.

또는 다이오드 출력쪽에 펌프,홴 입력라인을 직접 연결해도 되구요
                         
새앙쥐 2023-01
늦게 확인해서 죄송하고, 또 도움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직접 해 볼 수 있게 되었네요
에스오투 2023-01
다이오드가 편하긴 하겠지만 전압강하도 있을거고 6~7A 전류를 버티는 다이오드가 있을지 모르겠네요.
다이오드를 여러개 병렬 연결해도 되겠지만 미세한 저항의 차이로 일부에 최대전류가 흐를테고 그중 하나가 죽으면 연쇄적으로 나머지도 죽을테니, 워터펌프에 별도전원 달고 릴레이 모듈 2개를 병렬로 연결하는게 좋을것 같네요.
     
새앙쥐 2023-01
일단 10A 짜리 정류 다이오드 제품이 있긴 합니다만 ( https://www.11st.co.kr/products/1615952517 )...
워터 펌프에 별도 전원과 릴레이 모듈을 같이 연결할 떄는 구성을 어찌 해야할까요
제온프로 2023-01
박수 보냅니다.
뭔가 연구하기를 좋아하시는 분..

참견하자면..
연구좋아 하시는 분들...  수랭.. 머시기.. 이런거 하지말고..

소형 NAS 좀 해주세요.
3.5인치 5개 이상으로
시놀로지나 Qnap 같은 소형 개인용 스토리지요.

3.5인치 8개 짜리면 좋겠습니다.
레이드 컨트롤러 같이 추가하여 핫스왑 지원 될 수 있도록 .
10G 컨트롤러 추가..


QnA
제목Page 543/5705
2014-05   5126919   정은준1
2015-12   1661871   백메가
2021-10   2319   galaxyfamily
2020-04   2319   MinGi
2019-04   2320   몬스
2020-08   2320   GPGPU
2024-06   2320   dateno1
2023-09   2320   ArtsRommel
2022-11   2320   lenux8
2023-08   2321   2CPU최주희
2022-09   2321   niet38h
2023-11   2321   atozztoa
2023-01   2321   회원
2019-12   2321   김상일
2019-05   2321   ZSNET5
2020-04   2321   Jjun
2023-06   2321   장동건2014
2021-06   2321   Noname1
2020-02   2321   pibang
2020-06   2321   리키파울러
2019-08   2321   나파이강승훈
2024-01   2321   희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