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랜은 또 새로운 지식의 영역이네요
다름이 아니라 방1에서 건너편에 있는 방2으로 무선랜으로 인터넷을 공유하고 있는데요
방1 방은 공유기에서 랜선으로 따와서 대략 480MBps 거의 풀로 속도가 나오고 있고요
여기서 ipTIME Extender GIGA 를 허브로 연결해서 AP 무선으로 인터넷 신호를 쏘고 있습니다.
그렇게 건너편 방에서 무선랜카드로 인터넷을 받는데 이결과 200MBps 유선랜의 반정도 속도가 나오거든요
그런데 평소 유튜브 시청이나 인터넷 사용시는 문제가 없는데, 배틀그라운드 할때 네트워크 지연이 감지된다고 경고가 간간히 뜨네요. 끊김 현상이 있습니다.
그래서, 방2의 무선 랜카드를 너무 싼걸 꼽아서 그런것 같은데...
사용중인 무선랜USB는 이지넷유비쿼터스 넥스트 NEXT-1201AC MINI 무선랜카드 (안테나가 없어서?)
방2의 메인보드는 ASRock B460M PRO4 이고요. 일단 방2의 무선 랜카드부터 교체해 보려는데요
마침 같은 메인보드를 쓰는 사람 리뷰가 있어서 봤는데
ASRock B460M PRO4 보드에 Intel의 AX210NGW 를 꼽았다네요.
그런데 카드 인식을 했다는 것이지 802.11ax 속도가 성공했다는 말이 없네요.
그래서, 이제 질문입니다. 인텔 AX210NGW 는 Wi-Fi 6E (802.11ax) 를 지원하는데
ASRock B460M PRO4 보드 설명에 802.11ac 연결을 할수 있다고 되어 있거든요.
그런데 이 보드에서 802.11ax 이 속도를 쓸수 있을지 이게 질문입니다.
이 보드 m.2에서 대역폭이 가능한건지, 아닙 칩셋 자체에서 인식을 하는건지 안하는건지... 등등
(ASRock B460M PRO4 출시일이 2020년 5월 이고 ax 규격은 2019년 9월에 이미 나와있었는데...)
ps) ASRock B460M PRO4 설명입니다.
https://prod.danawa.com/info/?pcode=11407626
ps2) pcie x1 슬롯을 이용하는 방법은 알고 있는데요. 인텔 AX210NGW 가 가격이 훨씬 싸서 이 질문을 드려보는 것입니다.
https://prod.danawa.com/info/?pcode=17032265&cate=1131685
메인보드 스펙시트를 볼때는 다나와가 아닌 해당 메인보드 제조사 홈페이지를 참고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당장 저는 대역폭 딸리는 구형 m-PCIe 사용하는 시스템에도 AX200 AX210 장착해서 802.11ax로 사용중인데 대역폭의 한계는 있어도 802.11ax로 사용중입니다.
보드에 M.2 (Key E) WiFi 슬롯이 있으면 그냥 무선랜카드랑 안테나만 구매하시면 됩니다.
NGW가 안 되면 HMW사면 그만입니다
그거보단 CNVi 전용 슬롯이 아닌지가 관건입니다
안테나 또한 케이스의 빈슬롯에 꽃는 wifi kit용 브라켓 사면 그만이고, 아니면 박막형 사서 케이스 외부에 부착해놔도 됩니다 (이조차 기존꺼보다 나음)
결국 물리적 요건은 무선랜에 물려줄 PCIe 2.0 x1 + EHCI 1을 확보할 수 있는가 없는가 입니다
안테나의 경우는 제 경험상 시행착오가 있었기에 말씀드렸던 것입니다.안테나 생각을 못했다가 깔끔하게 해보겠다고 랩탑용 안테나를 구입해 케이스 전면부 플라스틱에 붙여 써보고 만족하지 못해 알리를 뒤지고 안테나 브라켓이나 PCI-Ex 확장카드나 가격이 비슷해서 PCI-Ex 확장카드 구입해 거기에 설치하는 등의 과정이 있었습니다. 많이 부족한 댓글을 달았습니다만 단지 WIFi 모듈만 설치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경험상 말씀드리고 싶었습니다. 다시금 부족한 댓글 죄송했습니다~
코어2같은 10년도 넘은 유물도 AX 잘 됩니다
결국 결정하는건 AP랑 무선랜, OS(드라이버 유무라던가 새로 추가된 기술 지원 유무의 차이가 남)입니다
하지만 무선은 결국 무선 감도가 생명이라 AX로 바꾸어도 조금 나아질뿐이고, 감도 나쁘면 지연이나 손실, 속도 저하는 있습니다 (안테나를 흔한 막대형 사지말고, 케이블로 연장해서 연결하는 타입으로 구매후 문틈으로 케이블 빼서 문밖의 벽에 박는걸 추천합니다 (벽 1개분만큼 손실이 줄어들고, 방향이나 위치, 거리상 감도에 유리한것도 있습니다) )
또한 AX가 제대로 힘을 낼려면 AP도 AX되어야 합니다
저희집이 현관을 가운데 두고 양쪽에 방1 방2가 있거든요. 단순한 방법이 효과가 있을것 같습니다.
AP는 AX가 되는 기종이 없어서 아직은 이고요... 공유기는 AX인데 안테나 선을 밖으로 빼면 AP가 아닌 공유기 wifi 로 잡아 테스트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저렇게하니 눈에 띄게 감도 오르더군요
덤으로 USB 무선랜도 연장 케이블로 빼서 저런식으로 해도 꽤 나아집니다
고맙습니다.
외부에서 들어오는 같은 주파수대 무선이 많으면 본인의 무선도 약해집니다..
와이파이 아날라이져라는 앱을 사용하면 스마트 폰으로 스마트 폰 주의의 무선 상태를 확인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공유기(라우터)의 무선 등급이 아무리 높아도 사용하는 노트북이나 스마트 폰의 무선 등급이 낮으면 실제 동작은 낮은 무선 등급에 맞추어 동작합니다..
AC와 AX는 차이가 많은 것으로 아는데 구글링 해보시고 그 차이는 알아두시면 이해하는데 조금은 나으실 것입니다..
기존에는 저렇게해놔도 그냥 Roaming용정도로만 되었는데, 이젠 2.4+5+6Ghz의 속도를 다 합친만큼 낼 수 있습니다
2. USB 무선랜카드는 따로 안테나가 있는게 아닌이상 상대적으로 송수신이 열학합니다. 사무용 정도로 생각하시면 좋습니다. 더군다나 USB를 사용할 경우 PCI-e 를 사용하는 유무선랜카드에 비해 당연히 지연시간이 길어집니다.
3. 리얼텍 칩셋은 유선에서는 괜찮지만 무선에서는 매~~~~~~~~~~~~~~~우 피해야 할 제품 중 하나입니다. 호환성 가리고, 속도 떨어지는 등 상당히 열악합니다. 최소 미디어텍, 브로드컴 칩셋을 사용하시길 권합니다. 괜히 N704BCM이 스테디셀러인게 아닙니다..
4. 보드에 WiFi 용 m.2 슬롯이 있는 경우 ax든 ac든 대부분 호환됩니다. 하지만 AP(공유기)가 ax를 지원하지 않으니 ac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일단 AX210이나 ac8260 등 적당한 칩셋 끼우시고 안테나만 잘 설치해주신다면 지금보다는 훨씬 나으실겁니다. 그래도 아쉬움이 있다면 미디어텍 혹은 브로드컴 칩셋을 사용하는 공유기로 변경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다들 좋은 말씀 고맙습니다.
정말 많이 배웠습니다.
다 이해는 못하지만 그래도 다시 모두 정독해 읽어보겠습니다.
다들 도와주시려는 열정 너무 고맙습니다.
예전에 방1에서 방2로 랜선을 넘기지 못했던 이유는
장판 위로 가설하면 집에서 지저분해서 안되죠
장판 밑으로 가설하면 장판이 툭 튀어 나와서 이것 역시 안되더군요.
그래서, 고민에 고민을 거듭한 결과 안테나 선을 방2밖으로 빼서 벽하나 만큼 손실을 줄이는 조언을 실행하려했는데
유선랜 플랫 케이블이 있다는걸 알았습니다. 칼국수처럼 납작한 랜선이죠.
이걸 사용하니 장판 밑으로 가설하는게 가능했습니다.
두께가 약 1.4 미리인가 정말 거의 티가 안날정도의 두께더군요
그런데 이것마저도 티가 안나게 하고자 벽을 타고 최소한의 부분만 장판 밑으로 통과시켜서 기막히게 티가 안나게 방1->방2로 유선랜을 가설했습니다.
플랫 케이블이 문을 통과할때는 문을 여닫는 문고리 반대쪽 아래로 하니 납작하게 통과 되었고요.
그런데, 무선랜 안테나선 빼기도 한번 시도해 보려합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