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l xeon CPU 비교 관련

한효석   
   조회 4908   추천 1    

 다음 2가지 CPU 에 대한 질문 입니다.


E5-2697A v4

core 16 / thread 32

Max Turbo Frequency    3.60 GHz

Intel Turbo Boost Technology 2.0 Frequency 3.60 GHz

Processor Base Frequency 2.60 GHz


E5-2667V4

core 8 / thread 16

최대 터보 주파수 3.60 GHz

인텔® 터보 부스트 기술 2.0 주파수‡ 3.60 GHz

프로세서 기본 주파수 3.20 GHz


뭐 당연히 E5-2697A v4 가 상급이라고 판단이 됩니다만,

Processor Base Frequency 2.60 GHz 과 3.20 GHz 는 크게 관련이 없나요?

지금까지 알고 있던 상식은 기본 clock 이 높은 편이 single cpu 사용시 더 빠른 성능을 낸다고 알고 있었습니다.

이것이 Max Turbo Frequency    3.60 GHz 이라는 것이 나타나서 헷갈립니다.


그러니까 상기 2가지 CPU 모두 single core 만을 full 로 사용하게 될 때 3.60 GHz 로 작동한다면,

single 이던 multi processing 이던 E5-2697A v4 의 성능은 E5-2667V4 의 딱 2배가 될까요?

어째던 Max Turbo Frequency    3.60 GH 요런 요상한 spec 의 정체를 알고 싶습니다.


토론하여 주시는 회원 분 들에게 미리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3-02
https://www.cpu-world.com/Compare/488/Intel_Xeon_E5-2680_v4_vs_Intel_Xeon_E5-2697A_v4.html

터보 모드 동작시 동작하는 코어의 갯수가 1개로 줄어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한효석 2023-02
그럼 E5-2667 v4 경우에는 모든 코어를 full 로 동작 시켜도 8 core x 3.2GHz 가 보장이 되고,
만일 E5-2697A v4 경우에는 모든 코어를 full 로 동작 시켜면 16 core x 2.6GHz 으로 밖에 동작하지 않는다 라고 보면 될까요?

multi processing 시에도 하나의 core 가 2.6GHz 와 3.2GHz 로 작동하면 차이가 꽤 날 것 같아서 여쭈어 봅니다.
박문형 2023-02
한효석 2023-02
그럼 E5-2697A v4 가 v4 의 끝판왕 이라고 하는 것은 일정 부분 맞는 이야기 이지만,
multi processing 을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서 single core speed 가 중요한 경우에는 E5-2667 v4 보다 못한 경우도 생길 수 있겠습니다.

즉 일반적으로는  E5-2697A v4 훨씬 훌륭한 CPU 이나, single core 성능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끝판왕 이라고 말하는 것은 무리가 있을 듯 해서...

뭐 2가지 CPU 모두 구입하여 돌려보면 금방 알겠지만, 경제적 형편이...
이럴 때 E5-2697A v4 를 빌려 주시는 분이 계시고, 그런 문화가 2CPU 에 정착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gmltj 2023-02
2696A v4 는 최상급이라... 아직 실사용으로 쓸 것 같은데..... 여러개 가지고 계신 딜러분이 아니라면 사용중인 서버나 웍스에서 시피유 분리하고 그러는게 굉장히 번거로워서 쉽지 않을것 같습니다.
     
병철 2023-02
이럴 때 E5-2697A v4 를 빌려 주시는 분이 계시고, 그런 문화가 2CPU 에 정착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

반품의 천국인 미국에 계시더니 좀 이상한 생각을 하시는 거 같습니다.
          
한효석 2023-02
병철님은 2CPU 에서 자유롭게 빌려 주고 받는 문화에 동참하지 않으시면 됩니다.

미국은 3개월간 잠시 다녀 온 것입니다. 당당한 대한민국 토종 이구요.
미국에서도 중고 판매는 반품이 잘 안됩니다.
그리고, 호기심에서 테스트 해보려고 신품을 구입하여 한 달 써보고 반품하는 것은 그리 좋은 매너는 아닌 것 같습니다.

제가 알기로는 용산에서 컴 관련 제품을 구입하고 뒤 돌아 서는 순간부터 반품이 불가 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뭐 팔았으면 그만 이라는 용산의 특징 인가봅니다. 병철님은 이 문화에 익숙하신 것 같아 보이고요...
그러나, 우리도 언젠가는 좀 더 신축성 있는 반품 제도가 확립되지 않을까요?  ->  선진국(?)

오히려 시대 흐름에 역행하는 듯한 생각을 가지시는 것이 좀 더 이상해 보입니다 만...
               
병철 2023-02
빌려주고 말고 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빌려주는 사람의 선의에 의한 것 아닌가요?
솔직히 말씀드리면 바라시는 것들이나 그간 행적과 글들을 보면 좀.. 여기까지만 하겠습니다. ㅎㅎ
                    
한효석 2023-02
그런 선의를 가진 회원 분들이 많이 생기기를 기원하는 뜻에서 말씀 드렸습니다.
여기까지만 하십시요.
저도 님의 판매 글을 보면.... ㅎㅎㅎ
                         
병철 2023-02
제 판매 글에서 느끼는 소감이 있으신가 봅니다. 뭔지 모르겠지만 부럽다면 부럽다고 하셔도 됩니다.
     
한효석 2023-02
병철님이 쓰신 글은 이렇습니다.

이럴 때 E5-2697A v4 를 빌려 주시는 분이 계시고, 그런 문화가 2CPU 에 정착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
반품의 천국인 미국에 계시더니 좀 이상한 생각을 하시는 거 같습니다.


상기 글을 쓰실 때, 원래 요런 생각으로 글을 쓰셨다는 거죠?

"여기까지"는 해당 댓글 내용에 대한 것이고.. 굳이 저 댓글 뒤에 "걸뱅이 보는 것 같다" 같은 걸 쓸 필요는 없지 않겠습니까?


처음의 윗 글을 보고 저는 그렇게 까지는 생각하지 않았습니다만,
정말 인간은 됨됨이가 중요하다는 걸 다시금 느끼게 됩니다.
아무래도 제 아이디를 걸뱅이로 바꾸어야 직성이 풀리실 것 같아 보입니다만...
twopaik 2023-02
저도 글 올리신 회원님과 같이 그 점이 매우 궁금한데, 올려주신 댓글 봐도 이해가 안가네요 ㅠㅜ
터보부스트로 동작할 경우 8코어(또는 16코어)인 CPU라도 1개의 코어만 동작한다는 말씀이신지요.
거기에 또 궁금한 점은 터보부스트를 사용자가 켜고 싶을 때 켤 수 있는지...
댓글로 여쭤봐서 글 올리신 회원님께 죄송합니다.
     
송주환 2023-02
CPU 로드에 따라서 최대 동작 클럭과 그 속도로 동작할 수 있는 코어의 수가 정해져 있습니다. 최대 클럭 1 Core / 기본 클럭 All core로 나뉘는 것이 아니라 가변적입니다.

그리고 터보 부스트의 동작은 열설계전력을 고려해야 합니다. CPU의 파워와 온도에 마진이 있을 때 일정 시간 최대 클럭으로 동작할 수 있는 time window를 가져가는 것이지, 항상 최대 클럭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터보 부스트와 전력관리 기술이 활성화 된 개별 코어의 동작 속도는 10us 주기로 평가 및 조정되며, 전체 파워와 온도, 로드를 모니터링하고 다음 버스트 윈도우를 결정하는 RAPL의 메트릭 수집 주기는 1ms 입니다.

따라서 전체 사이클에서 터보 부스트를 이용한 클럭 부스트는 상황에 따라 매우 가변적이며, 딱 잘라 이야가 할 수 없습니다.

이게 싫으면 전원관리 기술을 끄고, CPU 클럭을 최대 수치로 고정해야 합니다. 물론 Max turbo frequency까지 올릴 수는 없구요
          
twopaik 2023-02
친절한 설명 감사드립니다(^^)(__). 공부 좀 더해야겠습니다.
          
한효석 2023-02
딱 잘라 말하기 어려운 것은 알겠는데,

당연히 single core 만 쓰는 경우에는 둘 다 최대 터보 주파수 3.60 GHz 이므로 성능이 비슷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일반적인 multi processing 의 경우, 프로세서 기본 주파수 3.20 GHz x 8 이 프로세서 기본 주파수 2.60 GHz x 16 짜리 보다 더 유리한 경우가 있을 까요? 아니면 전혀 없을까요? 더 유리한 경우가 있다면 multi porcessing 에서 어떤 경우가 해당 될까요?
               
구차니 2023-02
싱글만 쓴다고 풀 스피드 터보가 상시 터진다고 볼수 없다면 위의 추측은.빗나갈수 밖에 없다고 생각됩니다.
os에서도 스케쥴링에 의해 한코어에 몰지 않아 affinity로 고정하지 않으면 단일 코어에서만 돈다는 보장도 없구요.
개인적으로는 현재 사용하는 시스템의 부하나 최대 코어  지원갯수를 고려해야 답이 나올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프로세스 분배한다고 모든 작업이 코어 갯수에 맞추어 1차 함수로 증가하지도 않습니다.
gmltj 2023-02
터보 최대 클럭은 1코어 기준이라.... 올코어 터보 부스트 클럭도 같이 봐야 됩니다....
     
한효석 2023-02
올코어 터보 부스트 클럭 은 무었이고, 인텔의 CPU spec 페이지에 나와있는 건가요?
아니면 중고 CPU 판매자 분 들이 CPU 판매를 위해서 광고하는 수치 인가요?
뭐 속고 만 사는 세상 같아서 여쭙습니다.
          
gmltj 2023-02
위키 아래쪽에 설명이 있네요.

https://en.wikichip.org/wiki/intel/xeon_e5/e5-2697a_v4

예를 들면 E5-2697A v4 의 경우 3.6은 2코어 기준이고... 16코어 올 코어 부스트 클럭은 3.1 입니다.
               
한효석 2023-02
앗, 이런 정보가 있었군요.  감사합니다.

https://en.wikichip.org/wiki/intel/xeon_e5/e5-2667_v4
https://en.wikichip.org/wiki/intel/xeon_e5/e5-2697a_v4

를 비교하여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인텔에서는 묘한 말이..
https://www.intel.com/content/www/us/en/support/articles/000007359/processors/intel-core-processors.html
We don't disclose per core Intel® Turbo Boost Technology frequencies for processors.
인텔은 프로세서에 대한 코어당 인텔® 터보 부스트 기술 주파수를 공개하지 않습니다.

뭔가 터보 부스트 기술이 좋은 것 같기는 한데 공개하지 못하는 걸 보면, 많은 변수를 충족해야 어쩌다 한번 터보 부스트로 그것도 아주 잠시 (몇 ns) 작동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어떻게 보면 인텔의 과대 광고(?) 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불현듯 드는 군요.
                    
구차니 2023-02
개인적으로는 소비전력과 발열을.고려(?)한 다운클럭이라고 생각합니다.
설계상 최대 클럭이 터보 클럭이고, 지속가능한 전력이나 감당가능한 발열은 그보다 낮으니 베이스클럭이라고 설정한 값에서 여유가 존재한다면 터보라고 해서 성능을 더 끌어올려주는 것 처럼 보여주는 컨셉이죠.
물론 뇌피셜입니다..

아무튼 풀 터보가 1코어에 상시 적용이 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2cpu 개조글 보면 bios나 마이크로 코드 수정해서 올코어 클럭 언락하고 그러는걸 보면

인텔이 보증가능한 동적상한선을 그렇게 표현하는게 아닐까 합니다
          
병철 2023-02
"인텔® 터보 부스트 기술은 안전한 온도와 전력 제한 내에서 CPU 속도를 잠재적으로 최대 터보 주파수까지 높일 수 있습니다."

간단한 검색만 해 보아도 인텔조차 이렇게 이야기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작동 온도, 작동 중인 코어 수, 사용 중인 명령어에 따라 부스트 주파수가 달라지는 것은 제품 의도상 정상입니다.

중고 CPU 판매자가 CPU 판매를 위해서 광고하는 수치? 속고만 사신게 맞는 것 같은데요?
               
한효석 2023-02
여기까지만 하겠습니다. 라더니...

그냥 2CPU 판매란에서 장사나 열심히 하십시요.
남의 질문에 도움 되는 답변을 주지는 못할 지언정 재는 뿌리지 마시고...

뭐 CPU 여러가지를 이리 저리 써보시고, 어플리케이션도 여러가지도 튜닝도 해 보시고 하신 적이 없으시면, 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사양합니다.
판매자 분이 끼실 자리가 아닌 것으로 이해하시고 본인이 이야기 한 것 처럼, 정말로 여기까지만 하세요.
저도 여기까지만.  ㅎㅎㅎㅎ
                    
병철 2023-02
"여기까지"는 해당 댓글 내용에 대한 것이고.. 굳이 저 댓글 뒤에 "걸뱅이 보는 것 같다" 같은 걸 쓸 필요는 없지 않겠습니까?

전부 자가소비용으로 사용했던 제품들인데 물건을 보시고 장사하는 사람으로 봐 주시니 감개무량하네요. 진짜 장사 하시는 분들에 비하면 택도 없이 모자라지만 뭔가 가슴이 웅장해지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한효석 2023-02
한 푼이라도 더 받으려고 올리시는 글을 보면서, 정말로 부럽습니다.
상당한 재산가 이신 모양입니다.
그냥 Q&A 란에 질문이나 올리고, 꽤제재하게 PC 나 주무른다고 걸뱅이라고 하시고..

자기보다 못해 보인다고 걸뱅이라고 하시는 것은 그리 좋은 태도가 아닌 것으로 압니다.
질이 좋은 사람하고 사귀는 것이 인생에 도움이 됩니다.
자가소비 많이 하셔서 부자되십시요.
               
한효석 2023-02
병철님이 답변하신 내용은 이렇습니다.

"인텔® 터보 부스트 기술은 안전한 온도와 전력 제한 내에서 CPU 속도를 잠재적으로 최대 터보 주파수까지 높일 수 있습니다."

간단한 검색만 해 보아도 인텔조차 이렇게 이야기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작동 온도, 작동 중인 코어 수, 사용 중인 명령어에 따라 부스트 주파수가 달라지는 것은 제품 의도상 정상입니다.


이 정도는 간단한 검색만 해 보아서 저도 잘 알고 있습니다.
짊문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시고 답변을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평생 IT 만 해서 가족을 부양했던 사람이 상기 답변 내용 정도를 들을려고 질문을 올렸겠습니까?

앞으로 제가 하는 Q&A 에 병철님의 댓글은 사양하겠습니다.
인생에 전혀 도움이 되질 않아서..  ㅎㅎ
동일 아키텍쳐의 최대터보 수치가 동일해도 코어 숫자는 적고 기본클럭이 높은게 더 빠릅니다.

이유는

A. 스타트 지점이 다릅니다. cpu는 기본클럭 외에도 기본보다 낮은  idle시의 클럭과 풀로드시의 최대 전력소모와 이에 따른 클럭이 각각 정해져 있는데
  이 단계 자체가 더 높게 설정됩니다. 결국 스타트 지점이 다르다보니 기본클럭이 더 높은 제품이 반응 속도 차이로 빠릿합니다.
B.  cpu구조상 코어가 많으면 많을수록 반응이 느려집니다. 단순한 작업할당의 문제부터 캐시로의 접근 문제까지 말이죠.
    브로드웰ep까지 코어수가 늘어날수록 이 문제가 커졌고 스카이레이크 sp에서 완화되었습니다.
    병렬 연산으로 모든 코어가 일을 하는게 아닌이상 소수의 코어만 일하게 하는 작업분배 자체에도 코어는 적을 수록 빠릿합니다.
https://drmola.com/pc_column/198827
C. 이론상으로 1코어만 100% 꾸준히 사용한다면 같은 속도가 나오겠지만 그런 작업 자체가 거의 없습니다.
  1코어만 로드 되는 경우 자체가 idle에서 단순한 웹서핑 정도만 할 경우 잠깐 올라갔다가 내려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런 경우는 A의 이유 때문에라도 기본 클럭이 낮을수록 느립니다.
     
한효석 2023-02
감사합니다.

참고로 제가 쓰는 어플리케이션 이란, MongoDB 로서 bson 형태의 크기가 20TB 좀 넘습니다.
이 것을 Zstd 로 압축하여 mongorestore 하면 약 7TB 로 크기가 줄어 듭니다.
메모리 워킹 세트도 간단히 128GB 를 넘어버립니다.
이 과정에서 압축으로 CPU 파워가 많이 필요하고, DB 도 SSD 에 넣으면 좋겠는데 10TB 정도 되는 U.2 SSD 는 가격이 안드로메다 라서...
또 이렇게 정도 DB 를 이리 저리 query 하려면 압축을 풀어서 넘겨 주어야 하는데 CPU 파워가 또 필요합니다.
다행히 현재는 저 혼자만 이리저리 쓰고 있어서 다행 입니다 만, 만일 수십, 수 백명의 user 가 동시 접속한다면 생각하기도 싫은 정도로 대 용량 H/W 가 필요하게 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현재 제 어플리케이션에서 Total CPU 사용량이 E5-2667V4 총 능력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아직 가격이 덜 내린 E5-2697A v4 는 제쳐 두고 $50 정도하는 E5-2667 v4 를 도입하려고 신중히 검토 중입니다.

제가 얻고 싶은 답변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박문형 2023-02
어짜피 어떤 CPU 모델이 터보 주파수 / 올코어 터보 주파수 지원하고 그 주파수 알아도 실제 그렇게 동작하는지 확인해봐야 합니다..

요즘 PC든 서버든 걸리는 부하에 따라 클럭이 왔다 갔다 하는데 본인이 작업하는 환경에서 그 서버가 올코어 터보주파수로 동작하는지 보세요..

아마도 그렇게 올코어터보주파수로 꾸준히 동작하는 경우는 거의 없을 겁니다..

그 외 서버 제조사에서는 올코어터보를 동작시키려면 어떻게 해야 한다는 그런 것도 공식적으로 이야기 하지도 않고

바이오스에 거기에 관한 셋팅 메뉴도 없습니다..

올코어터보 모드 동작에 대해서는 서버보드에서는 이야기가 거의 없으며 PC용 워크스테이션 보드(X99) 에서 이야기가 나옵니다..

그리고 보통 바이오스 개조 이야기가 꼭 들어가죠..



서버보드에서 새로 CPU 모델을 알아보신다면 일반적으로 공개된 데이터로 확인하여 모델을 정하는 것이 편합니다..
     
한효석 2023-02
맞는 말씀이십니다.

인텔까지도 CPU spec 에 비공개라고 떡 써놓는 현실에...
당연히 몇 백만분의 1초간 터보 주파수로 동작하는 걸 그리 과장하여 놓은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그래서 최대 라고 표현하고, 소비자는 항상 최대로 동작 할 수도 있곘다 하고 착각하게 만드는 상술이겠죠.

저도 매뉴얼 빨이 꽤 되는데, 매뉴얼 만 가지고는 판단이 않서서 혹시 이 부분에 경험이 있고 계측까지 해 보신 분이 계실까 하여 여쭈어 보았습니다.
역시 클럭빨 이라고 하면 베이스 클럭이 높은 것이 갑 이라는 제 믿음이 틀리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리고 2CPU 내에서 몇몇 판매자 분은 올코어 터보 클럭이 높아서 좋은 것 이다 하는 설명을 늘어 놓으시는데... 
뭘 좀 아시고 그런 설명을 하시는지, 아니면 어느 웹페이지 구석에서 한 귀틍이만 읽어 보시고 그렇게 판단하시는 건지, 좀 안타까웠던 경험이 종종 있었습니다. 
대개는 이런 아는 척 하시는 분들의 특징은 하나를 들으면 보통은 열을 아는 재주를 가지신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올코어 터보를 명기하고 파는 셀러 입장에서 실소를 하게 됩니다.
워크스테이션을 구매하는 분들 90프로가 올코어 터보 수치에 민감합니다.
어차피 물어보니 힘들게 테스트하고 명기해 놓은 겁니다.

그게 수치해석 / 렌더링 / 인코딩 같은 워크스테이션을 쓰는 작업에서 실질적인 체감 가능한 제품 스펙이거든요.
시스템 자원 100프로 다 쓰는 렌더링 / 인코딩 / 수치해석 해보세요. 동 아키텍쳐에서 딱 올코어 터보만큼 성능 차이 나옵니다.  실제 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사실상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수치입니다.
일반적으로 시스템의 쿨링이 정상적이라면 올코어 터보수치는 모든 코어가 동시에 올라갈 수 있는 최대치입니다.

무슨 근거로 판매자들 까내리고 자신감을 표출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한효석 2023-02
앗 그렇게 되었나요.
저는 CPU bound job 만은 별로 없고, IO bound job 이면서 CPU 사용 율이 100%에 육박해서 잘 몰라 뵈었습니다.
제 자신감은 평소의 제 소견과 상기 댓글에 써주신 것으로 판단 한 것 뿐인데, 직접 테스트 하시고 명기하셨다니, 제가 좀 과했던 것 같습니다. 사과 드립니다.

한 수 배우고 싶습니다,
어떤 식으로 힘들게 테스트 하신 것인지 여쭈어 봐도 될까요?
테스트 시에  CPU 전력 사용 제한, 온도 뭐 그런 것과 관계없이 Xeon E5-2697A v4 의 경우 올코어 터보가 3.1GHz, Xeon E5-2667 v4 의 경우는 올코어 터보가 3.5GHz 로 24시간도 계속 돌아갈 수 있나요? 아니면 몇 ms 정도 올코어 터보 동작을 하고 잠시 멈추고 또 다시 올코어 터보 동작을 하는 식으로 반복하나요? 실제로 올코어 터보로 돌아가는 것이 지속되게 CPU 쿨링 을 하려면 특수한 장비가 필요할 까요? 아니면 인텔에서 제시하는 TDP 만 cover 하는 공랭 쿨러로 족할 까요?

인텔 홈페이지에 이런 말도 있어서요.
We don't disclose per core Intel® Turbo Boost Technology frequencies for processors.
The processor must be working in the power, temperature, and specification limits of the thermal design power.
                    
올코어터보는 온도와 전력소모에 따라 유지율이 다릅니다.
인텔스펙표를 잘 보시면 tcase라고 있습니다. E5 2697a v4의 경우 79도라고 나오네요. 이 수치는 히트스프레더의 온도를 의미하는데 이 온도를 많이 넘기면 올코어터보를 유지하지 못하고 쓰로틀링이 걸립니다. 올코어 터보는 벤더사의 플래그쉽 워크스테이션이라면 24시간 돌려도 유지됩니다. 다만 t7810같은 너무 작은 워크스테이션은 E5 2699v4나 E5 2687wv4  등을 돌릴 경우 간혹 쓰로틀링이 걸립니다.
이때는 그냥 바이오스에서 팬속을 최대치로 해 놓으시면 됩니다.(원래 e5 2687wv4급은 델은 수냉쿨러가 따로 있습니다)

tj max라는 수치도 인텔스펙표에는 없지만  coretemp등의 온도체크 프로그램에는 표시됩니다.
이 수치는cpu 내부를 측정하는건데 이에 따라 웍스나 서버의 팬들이 연동됩니다. 높으면 온도를 낮추기 위해 rpm이 올라가고 일정 이상에서는 시스템이 꺼지는 거지요. 동일한 코어수여도 tdp가 높은 제품들은 tj max 설정값이 낮아서 좀 더 낮은온도부터 미리 팬의 rpm이 올라가고 tdp가 낮은 제품들은 상대적으로 90도 근처까지 가도 팬속이 안오릅니다.
 
테스트는 자신이 쓰는 프로그램으로 하시는게 가장 좋습니다.
저는 고객사에 납품하고 3ds max나 엔시스 등으로 연산하는걸 직접 같이 테스트 해본겁니다.
3ds max나 마야 같은 프로그램의 경우 최종 결과물 출력시 몇일~몇주간 100% 풀로드입니다.
수치해석 연산 프로그램들은 또 경우가 다른게 각 단계마다gpu와 cpu를 번갈아 쓰는데다 cpu를 쓰는 구간에서도 싱글쓰레드와 멀티 쓰레드 사용으로 단계마다 다르게 적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단 일반적인 벤더사 웍스/서버라면 대부분 별다른 문제 없이 올코어터보가 유지된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한효석 2023-02
잘 배웠습니다.
저는 Supermicro, Tyan, Asus 같은 마더보드에 Noctua 공랭 쿨러로 충분한 쿨링을 시키고 있습니다. 물론 소음도 잡기 위해서...
100% CPU 가동 시켜도 섭씨 70~80도 미만이 유지되게 조립을 하죠.

그럼, 문제는 올 코어 터보 수치이군요. 인텔에서 발표하지 않는 것으로 되어있는데, 직접 계산하신 건가요?
아니면 이런 웹 페이지에서 참고 하신 건가요?

https://www.pugetsystems.com/labs/hpc/Intel-Xeon-E5-v4-Broadwell-Buyers-Guide-Parallel-Performance-820/
                         
직접 체크를 합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렌더링/인코딩 기준을 위해 씨네벤치로 테스트 합니다.

구글이나 위키에 나오는 수치중엔 틀린 것이 꽤 있습니다.
예를 들어 xeon gold 6263CY의 경우 24코어/48쓰레드에 올코어 3.6ghz로 알려졌으나 제가 테스트 한 바로는 3.4였습니다.

직접 테스트가 중요한게
최신의 cpu들은 점점 옵션이 복잡해지면서
클럭을 바이오스에서 몇개의 셋팅값으로 조절 가능한 옵션도 있고(CY가 들어간 모델들)
아예 특정 명령어 사용시에는 클럭이 기본클럭 이하로 낮아지는 변종 모델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avx등의 명령어를 안쓸 경우 알려진 것보다 올코어터보도 더 높게 나오는 제품들도 있습니다.
          
김제연 2023-02
올코어 터보클럭 성능이 높은게 좋은거 맞습니다.
v3에 바이오스 개조는.. 기본 클럭을 올코어 터보 클럭으로 고정시켜 놓는걸 말하는거고 ..

판매란에 말씀하시는건 실질적인 작업 상황에서 올라가는 최대 성능이 맞습니다..
올코어 터보클럭이 높아야 성능 좋은것도 맞고요

오히려 인텔이 싱글코어 부스트클럭 표기 해놓은게 상술이죠 ..
               
송주환 2023-02
사실 v3 개조는 스펙상 올코어 터보 이상으로 베이스 클럭을 고정시킵니다. 예를 들어 2696v3는 3.3Ghz로 클럭을 고정시킬 수 있습니다.
그 대가는 최대 2.5배에 달하는 전력 소모이구요. 인텔이 T1, T2를 나눠 둔 이유가 있습니다.

싱글코어 최대 터보 수치가 상술이라는 점은 동의합니다.
박문형 2023-02
올코어 터보 주파수에 대해서는 인텔이 테스트 한 자료는 있지만 NDA가 걸려 있어서 일반 사용자는 접근이 불가능합니다..

일반 사용자는 구글링해서 얻는 자료가 다라고 보시면 됩니다..
     
한효석 2023-02


QnA
제목Page 1890/5708
2015-12   1677360   백메가
2014-05   5143167   정은준1
2016-10   4271   2CPU최주희
2018-03   4271   audacity
2022-06   4271   죠슈아
2016-01   4271   izegtob
2015-02   4271   찌니뚜니아범
2020-07   4271   취미컴
2016-08   4271   겨울나무
2016-10   4271   AplPEC
2017-05   4271   이사장
2017-07   4271   퍼싱글
2015-03   4271   전설속의미…
2019-08   4271   반군
2017-04   4271   나너우리
2017-08   4271   supermicro
2020-03   4271   highend
2015-09   4271  
2020-02   4271   앤드유저
2018-06   4271   삐돌이슬픔이
2015-01   4271   수필처럼
2017-11   4271   양영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