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LC와 TLC 차이

미담   
   조회 3416   추천 0    

 회사에서 제일 혹사를 당하는 컴퓨터가 120기가 MLC SSD에 OS와 프로그램을 깔아서 5년째 사용중입니다.

제 것은980PRO 512G 를 1년 정도 전에 사서 OS와 프로그램만 깔아 사용중이고요. 혹사 당하는 컴퓨터를 적당한 시기에 SSD 교체를 해야겠다 마음 먹다가 이번에 크리스탈을 깔아 확인을 해보니 이럴수가....

일을 비교적 적게 하는 제 980PRO 512 는 수명이 95% 이고 혹사 당했던 120기가 840 이던가 여튼 MLC는 99% 수명을 유지하고 있군요.

이게 무슨 일인지.... 스펙을 보면 TLC와 MLC 수명 차이는 2배 정도이던데....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딥마인드 2023-02
TLC면 그나마 양반, QLC를 대거 출하하고 있는데
이건 만행임.
페선생 2023-02
1개의 공간에 2개 저장 3개 저장 ...
내구성 측면 3개중 1개 데어터 변경시 전체 삭제후 재쓰기
확율적으로 ... 썻다 지웠다가 더 빈번하게 일어남 ...
slc > mlc > tlc >qlc 의 차이는 극명
그런데 3d 낸드라 수명에 상관 없다는 멍멍이 소리
HW가 좀더 진보해서 버틸만 한것뿐임
     
dateno1 2023-02
컨트롤러의 진보도 있지만, 그냥 단순히 디스크 용량이 커져서 셀 숫자 증가한게 젤 큰거같습니다

처음 SSD 샀을때 8G 썻는데, 지금은 1~2T 이상으로 도배해버렸으니까요
the촌놈 2023-02
수명은 얼마나 쓰기가 많이 이루어졌느냐에 따라서 다릅니다. NAND 쓰기량을 봐야죠. 그리고 NAND별로 수명도 다릅니다.
dateno1 2023-02
980/990이면 펌 버그일 수 도 있습니다

펌업부터 하세요
     
미담 2023-02
당연 펌업했습니다. 쓰기량은 당연히 전자가 몇배 많지요. 작업량이 똑 같아도 5배는 차이가 날게 정상이니. 옛날에 SLC 가 나오던 시절에 그 푸른 딱지 붙은 회사 지금은 사라진.... 그 회사 제품은 MLC 저가모델(?) 조차도 수명이 상당했었어요. 그때는 64G 짜리였는데도 과부하가 많이 걸렸었는데 10년 정도 사용하고 보니 수명이 57% 남았더군요. 그당시에는 컨트롤러 기술이 많이 떨어졌을텐데도.....
구차니 2023-02
TLC MLC가 2배 차이인진 모르겠네요..

일단 유휴 공간이 많아서 돌려막기(!)가 잘되면 수명이 덜 깍이고
요즘건 잘 안쓰는  cold 영역도 주기적으로 hot 영역과 교체하여 전체 수명을 늘리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SLC 10만회, MLC 만회, TLC 천회
https://m.blog.naver.com/durian0328/222243961331

MLC는 보통 약 10,000회 정도이지만 최신 세대는 3,000~5,000회의 사이클 정도로 낮습니다.
https://www.dell.com/support/kbdoc/ko-kr/000137999/하드-드라이브-solid-state-devices-ssd-마모-이유
piloteer 2023-02
저가형 SSD를 샀는데, 용량이 1TB인데 보증 TBW가 240 TB더랩니다. CD-RW도 아니고 기록 수명이 200번인게 맞는 건가 싶기도 합니다.

근데 또계산해보면 계산이 맞긴 합니다. Write Amplification이 대충 4배쯤 일어난다면 기록횟수 1k에 해당하니까..
Zer0 2023-02
MLC TLC 이젠 의미없는 논쟁이라고 봅니다.
디램있는 제품에서 TLC를 골라도된다고 봐요.. 게다가 요즘엔 가격이 낮아져서 용량빨로 밀어 붙히는 시대라..
     
the촌놈 2023-02
일반소비자용은 대부분 읽기가 주류라서 별로 의미없는 건 맞죠. 실제로 NAND보단 컨트롤러 고장이 많기도 하고 더 치명적이기도 하고요. 하지만 쓰기가 많아지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거기다 부하량까지  많아지면 또 얘기가 달라지고요. 수명도 수명이지만 속도의 문제도 겹치거든요.
          
dateno1 2023-02
그런 경우 그냥 엔터급으로 가야한다고 봅니다
          
Zer0 2023-02
이미 웤스나 연구용 정도되는 대부분은 tlc로 나오고 일반소비자용에서 4.0은 mlc 보기도 힘들죠...
그 정도면 서버용이나 엔터급으로 가야 답인것 같네요..
     
dateno1 2023-02
산업용 아닌 이상 서버 포함해서 MLC 거의 멸종해서 선택지가 없어요
          
Zer0 2023-02
맞습니다 게다가 요즘 pcie 4.0은 소비자용은 있지도 않고.. 그나마 mlc 970pro가 3.0에선 아직까지나마 남아있는 수준 ..
               
제온프로 2023-02
지금 현재 PC 개열에서는 가장 좋은 SSD가 970 pro 입니다.
가격이 그래서 비싸고요..
                    
dateno1 2023-02
너무 비싸서 M.2타입 엔터 중고 사는게 낫지 않나란 생각도 드는 금액이죠
catstyle 2023-02
840은 mlc가 아닌데요
830과 840 pro가 mlc입니다
제온프로 2023-02
당연해요..

오버클럭 아시죠 ??

쉽게 말해... 정말 이해 하기 쉽게 말해서..

Nand Flash 같은 양을 가지고..
970pro 250기가를 => 980pro 500 기가로 오버클럭 했다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 정확한 기술적인 내용은 아니지만..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다보니..)

TLC 문제 많아요..

용량은 뻥튀기.....  컨트롤러 펌웨어로만 논리 속도 올려 놯는데....
물리적은 문제는 해결이 않되것죠..

삼성도 이럴진데..
기타 시게이트. WD, 하이닉스 등등등.

이 문제는 인텔과 마이크론도 해당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서버용 SSD에서도 나오고 있습니다..
HP 정품이라고 비싸게 주고 샀는데 몇개월 않가 죽어버려서.. 돈만 날리고..

현재로는 모스월드님이 팔고 있는 히타치 SAS SSD Enter 가  가장 좋은 대안 입니다.
U.2는 아직 적용한 데이터가 없네요..
     
미담 2023-02
삼성 엔터프라이즈급 중에 TLC 인데 네버다이 라고 무고장 낸드 SSD를 선전하는 것을 본적이 있습니다. 그건 내구성 문제가 아니라 단지 고장난 셀을 사용 못하게 해서 문제가 생기기전에 예방을 한다는 의미인가 보군요.
미담 2023-02
동일한 낸드라도 공정 미세화에 따라 수명이 짧아진다 들었는데 맞는 말일까요?
     
piloteer 2023-02
맞습니다. 같은 MLC/TLC라도 공정에 따른 수명/retention 차이가 있습니다.

단, 사람에 따라 기준이 다르겠습니다만 제 기준으론 공정이 바뀐 시점에서 이미 동일한 낸드라고 보긴 어려울 듯 하긴 합니다.


QnA
제목Page 1116/5706
2015-12   1666534   백메가
2014-05   5131788   정은준1
2017-07   3354   nzzi
2019-08   3354   나는나입니다
2017-05   3354   나비z
2015-01   3354   lovemiai
2019-10   3354   댕댕이
2021-07   3354   홀릭0o0
2019-06   3354   김건우
2019-11   3354   백수가꿈
2022-05   3354   그린
2014-08   3354   윈도우10
2018-04   3354   Qsup
2021-07   3355   정의석
2020-02   3355   장동건2014
2018-08   3355   kking
2019-04   3355   블루영상
2017-04   3355   Super64
2021-07   3355   여주농민76
2019-08   3355   zaro
2020-06   3355   white32
2014-05   3355   나우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