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MB 바이오스 플래싱 오류좀 도와주세요

   조회 3424   추천 0    

롬칩이 윈본드 16MB 정확히 인식했고 Asus에서 다운로드받은 파일 사이즈도 정확이 16MB인데

위와같이 사이즈를 초과했다고 경고가 나오며 Yes를 누르고 플래싱하면 부팅이 안됩니다.

원인이 무엇인가요?


보드는 Asus X-99 Deluxe 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3-02
아마도 프로그램이 재대로 플래쉬롬을 지원하지 못해서 그런 듯합니다..
PCMaster 2023-02
//
구지 의무감으로 댓글을 다실 필요는 없는데..
//

보통 Bin 또는 Hax 등의 덤프파일을 플래싱 하셔야 합니다.
요즘 제공하는 바이오스 파일은 이미지 추출 방식의 Rom 덤프 파일이 아난
Cap파일 또는 자체 암호화가 된 파일로 제공되다 보니
이를 플래싱 가능한 파일로 변환해주던가
아니면 정상 작동중인 보드에서 바이오스를 추출 해줘야 합니다.
뭐 변환이라던가 추출에 대해서는 잠깐 검색해보시면 많이 나오니 여기서 따로 기술 하지는 않겠습니다.
또한 고가 보드 또는 노트북들 중에는 한개의 칩이 아닌 두개 이상의 칩에 기능별로 분산시켜두는 경우도 있어서
주의를 요합니다.

ASUS X99보드는 플래시백 기능이 있으니 구지 롬플래싱보다는 플래시백을 써보시길 권장합니다.
gmltj 2023-02
ASUS 보드는 배포하는 바이오스를 몇 킬로바이트씩 더미 데이터를 붙여서 조금 더 크게 만들어 놓습니다... 정확히 16메가가 아닐겁니다.
김진영JK 2023-02
cap 파일이라서 그런거면 아래 링크의 댓글 보시면 됩니다.
https://www.2cpu.co.kr/bbs/board.php?bo_table=QnA&wr_id=537475
     
딥마인드 2023-02
더미 데이터를 떼어내는 유틸이네요
바이오스는 항상 맨 마지막 16바이트에 진입하여 jmp xxx 문으로 시작되는데 잘 될지 모르겠습니다.
PCMaster 2023-02
PS.
용량이 다르다고 뜨는건
ASUS의 경우 CAP파일은 내부에 헤더 EC ME 등등 각종 데이터가 들어가기때문에
실제 씌여지는 데이터 보다 용량이 큽니다.

예시 파일이지만 (x99 바이오스 덤프 이미지)
hax부분의 구조가 아예 다릅니다.
박문형 2023-02
https://winraid.level1techs.com/t/guide-using-ch341a-based-programmer-to-flash-spi-eeprom/30834/204?page=11

혹시나 지만 CH341A도 여러가지 제품이 있는데 상기와 같은 검정색 기판 제품이면 전압 회로에 버그가 있어서 수정해줘야 재대로 동작합니다..
     
딥마인드 2023-02
회로도가 나와있군요
16MB는 처음이지만 저용량은 여러번 플래싱해본 사례 있습니다.
Paralell 포트로 쓰는 대형 플래싱기도 있지만 꺼내서 세팅하는게 매우 번거로운데 LPC 플래싱에는 ch341이 편하네요.
          
박문형 2023-02
CH341A가 단순하고 사용하기는 편하지만 상당히 프로그램 의존적이고 고용량 플래슁이 잘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는 서버보드쪽을 주로 만지다보니 고용량 플래슁이 필요한데 128M /256M 같은 것은 아직 잘 안되는 듯합니다..

잘 맞는 프로그램을 찾을 수 밖에 없는 듯합니다..
어렵게 뜯어서 플레시 하지 마세요
ASUS X99 는 USB BIOS flashback 이 가능합니다.
이 기능은 메인보드는 정상이지만 BIOS 가 완전히 날아가도 됩니다. (아무런 기록 없는 칩으로도 되긴 합니다)
별도 개조한 바이오스를 올리는것 아니면 우선 상기 기능으로 강제 플레싱이 가능합니다.

Flashback USB 만드는것은 아래 링크 참고 하면 되며
https://www.asus.com/us/support/FAQ/1038568/
Manual 68 페이지 참고 하시면 Flashback 가능한 USB 포트 알 수 있습니다.
https://dlcdnets.asus.com/pub/ASUS/mb/LGA2011/X99-DELUXE/E9504_X99-DELUXE_UG_WEB.pdf?model=x99deluxe
     
딥마인드 2023-02
그건 앞전에 여러차레 시도했다가 실패한바 있었습니다 (모든 램슬롯 53에러)
cap 파일 크기가 조금 큰것을 확인했고 추가된것이 있었나봅니다.
다행히도 그 부분을 떼어내는 유틸이 아래에 있었네요
https://github.com/LongSoft/UEFITool/releases/tag/0.21.5

위 안내대로 떼어내기 해서 플래싱 했고 일단은 부팅성공 입니다.
모든 바이오스는 진입점이 0x ffff~ff0 즉 마지만 16바이트로 진입하여
jmp xxxx 번지 이렇게 스타팅하기에 마지막 부분 내용이 매우 중요하죠.


QnA
제목Page 4587/5708
2014-05   5139142   정은준1
2015-12   1673637   백메가
2017-06   3381   승후니도쿄
2018-11   3381   user
2018-05   3381   슬루프
2014-03   3381   방o효o문
2015-01   3381   수필처럼
2023-09   3381   PCMaster
2014-04   3381   방o효o문
2015-07   3381   인연
2015-12   3380   서울사람
2022-08   3380   이지포토
2020-12   3380   osthek83
2022-07   3380   듀얼CPU초보
2019-03   3380   니포
2021-01   3380   장동건2014
2019-01   3380   나라사랑
2015-07   3380   s김종화z
2017-08   3380   늘파란
2021-11   3380   precision
2021-09   3379   어쩌다보니…
2015-03   3379   dreamer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