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75078 |
25 |
2015-12
1675078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5) |
정은준1 |
2014-05 |
5140458 |
0 |
2014-05
5140458
1 정은준1
|
76706 |
슈마4U 백플레인. 이건 장애일까요 ? 호환성 문제일까요 ? (13) |
캔위드 |
2019-02 |
4226 |
0 |
2019-02
4226
1 캔위드
|
76705 |
제온서버 가정용 서버로 대치 (7) |
이지포토 |
2019-06 |
4226 |
0 |
2019-06
4226
1 이지포토
|
76704 |
바이오스 파일을 받았는데 (1) |
구쿠르그 |
2015-01 |
4226 |
0 |
2015-01
4226
1 구쿠르그
|
76703 |
중국 코로케이션 서비스 업체 추천 부탁드립니다. (8) |
김일안 |
2015-04 |
4226 |
0 |
2015-04
4226
1 김일안
|
76702 |
라즈베리데스크톱에 배터리 구겨넣기... (48) |
그모도 |
2020-02 |
4227 |
1 |
2020-02
4227
1 그모도
|
76701 |
여러 에어컨이 물려있는 실외기의 전기료와 소비전력 (8) |
봉래 |
2021-04 |
4227 |
0 |
2021-04
4227
1 봉래
|
76700 |
AMD DASH기능 사용 해보신분 계신가요? (2) |
김제연 |
2019-11 |
4227 |
0 |
2019-11
4227
1 김제연
|
76699 |
hyper-v 에서 usb 패스쓰루는 아예 불가능한지요? (1) |
iddqd |
2020-01 |
4227 |
0 |
2020-01
4227
1 iddqd
|
76698 |
운동은 하루중 언제하는게 좋을까요? (8) |
2cpumem |
2014-01 |
4227 |
0 |
2014-01
4227
1 2cpumem
|
76697 |
델이나 레노버 커스텀 하우징(?) (5) |
권오준 |
2015-11 |
4227 |
0 |
2015-11
4227
1 권오준
|
76696 |
다른 네크워크상(원격지)에 있는 단순 폴더나 하드디스크를 동기화 하는 방법은 없을… (6) |
시사니 |
2015-07 |
4227 |
0 |
2015-07
4227
1 시사니
|
76695 |
[HP 웍스테이션] 797441-001 핀맵 아시는 분 계실까요? (2) |
Psychophysi… |
2020-10 |
4227 |
0 |
2020-10
4227
1 Psychophysi…
|
76694 |
노트북GPU 사설에서 교체해 주는곳이 있을까요? 다리미신공 대실패ㅠㅠ (4) |
박중석 |
2020-03 |
4227 |
0 |
2020-03
4227
1 박중석
|
76693 |
영어번역 도움을 받고싶습니다. (2) |
김승권 |
2014-01 |
4227 |
0 |
2014-01
4227
1 김승권
|
76692 |
side by side 오류? (7) |
차평석 |
2019-10 |
4227 |
0 |
2019-10
4227
1 차평석
|
76691 |
Hp n54l에 IBM RAID M1015 카드를 사용해 보신 분이 계신가요? (4) |
dreamer74 |
2016-08 |
4227 |
0 |
2016-08
4227
1 dreamer74
|
76690 |
PC가 전원을 넣어도 쿨러외에 아무런 반응없을때 무엇을 먼저 의심해야할까요? (8) |
블랙 |
2020-04 |
4227 |
0 |
2020-04
4227
1 블랙
|
76689 |
혹시 mini PCI-e to PCI-E 이런거는 없나요? (5) |
행수행님 |
2016-10 |
4227 |
0 |
2016-10
4227
1 행수행님
|
76688 |
에어콘 자동으로 켜기를 위한 샤오미 온도계 게이트 웨어 (12) |
허인구마틴 |
2019-06 |
4227 |
0 |
2019-06
4227
1 허인구마틴
|
76687 |
IPTV 끊김현상 질문드립니다. (5) |
Psychophysi… |
2021-03 |
4228 |
0 |
2021-03
4228
1 Psychophysi…
|
바이너리 에디터 작업을 해야할것 같은데 좋은게 있었는데 이름도 잊었고 없어졌네요
먼저 정확히 8MB 크기의 빈 파일을 만들어
받은 6.5MB 파일을 덮어쓴후
끝부분 마지막 16바이트를 원본에서 카피해오거나 해서 써주면 될까요?
-> 보통 롬사이즈 안맞으면 그 부분만큼 맨 앞(ASUS CAP 확장 파일)이나 특정 부분에 더미가 있습니다. 해당 부분 제거 후 플래슁 하면 됩니다.
2. 보드에 롬칩이 2개(일반 바이오스 / EC 롬)인 경우
-> 보드 제원 확인 후 EC 칩을 찍은게 아닌가 확인해보세요
보드에 칩은 확실히 8MB이고요
ECS에서 받은 공식 롬 용량은 6.5MB 정도입니다.
추정 되기에는 아마도
ECS에서 제공하는 플래셔에서 앞부분은 그대로 플래싱하고 차이를 비워둔 후
마지막에 Jmp xxxx 명령과 EOF 문자열같은 델리미터를 추가할것 같습니다.
그래서 직접 바이너리 편집으로 8MB로 변경하는건 쉽지 않을것같고
적당한 툴을 찾아야 할것 같은데요
현제 제가받은 ch341a 플래셔는 그나마 잘되는 것으로 러시아인이 만든 version: 1.1.1.32 라고 뜨네요.
물론 8MB 원본 파일은 백업해두었는데요
혹시 원본을 먼저 플래싱하고 받아온 6.5MB 파일을 덮어쓰기 하는건 어떤가요?
추정 되기에는 아마도
ECS에서 제공하는 플래셔에서 앞부분은 그대로 플래싱하고 차이를 비워둔 후
마지막에 Jmp xxxx 명령과 EOF 문자열같은 델리미터를 추가할것 같습니다.
-> ECS는 보통 FPT(Intel Flash Programming Tool)아니면 AFU(Aptio Flash Utility)를 사용하는데, 차이를 비워두고 자시고 그냥 Desc, ME, BIOS 이 세가지 영역중에 단순히 BIOS 영역만 플래싱합니다. 위 툴들도 그렇게 설정할 수 있구요. 타 제조사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위 내용이 제가 "동일한 메인보드 또는 동일 칩셋 및 동일한 용량의 온전한 파일을 구해서 BIOS Region만 바꿔치기 해야됩니다."라고 말씀드린 이유입니다.
ECS H81H3-M4 모델을 예시로 들자면,
해당 보드는 8MB 롬 칩을 사용하며
Desc (4KB, 4096 bytes) + ME (1.5MB, 1,568,768 bytes) + BIOS (6.5MB, 6,815,744 bytes)로 이뤄져있습니다.
홈페이지에서 제공되는 BIOS 파일은 온전한 파일이 아닌 순수 BIOS 영역만 제공되는 파일이므로 동일하게 6.5MB(6,815,744 bytes)입니다.
(아래 사진에서 50529.ROM : 홈페이지 제공, Region_BIOS_BIOS_region.rgn : 덤프본에서 UEFITool을 이용해서 BIOS 영역만 추출한것)
그래서 동일 칩셋을 사용하면서 BIOS 용량구조 역시 동일하다면 그냥 단순히 UEFITool 등으로 해당 영역만 교체해서 롬라이터로 플래싱하면 끝입니다.
Intel image 하위 영역에 있는 BIOS region 우클릭 - Replace as is.. - 홈페이지에서 받은 BIOS 파일 선택 후 저장
이후 이 파일을 롬라이터로 기록하시면 됩니다.
그대로 시도해보갰습니다.
NeoProgrammer (https://www.mediafire.com/file/1263zy82q612ub4/NeoProgrammer+V2.2.0.10.zip/file)
AsProgrammer (https://github.com/nofeletru/UsbAsp-flash/releases/download/v2.0.3a/AsProgrammer_2.0.3a.zip)
이 두 프로그램을 추천드립니다.
저는 정품 CH341A(타오바오에서만 판매합니다.)를 보유하고 있어 크랙버전(시중에 돌아다니는 CH341A 프로그램은 죄다 크랙버전)이 아닌 정식버전의 프로그램 역시 보유하고 있으나, 최신DB 이외의 장점을 찾지 못해서(최신버전도 윈도우 버전에 따라 불안정한건 동일) 저는 CH341A 사용시에는 AsProgrammer을 주로 사용하는 편입니다.
정식버전은 UUID 인증방식이라 윈도우 빌드 업데이트되면 다시 인증받아야되는데 이게 여간 복잡한게 아닙니다...
역시 녹색이 정답이었나보네요,
대형 라이터기는 parallel 포트용인데다 plcc-64 까지 되지만
별도전원, 전용 S/W CD 플레이어도 설치해야 해서
한번씩 꺼내서 세팅하는게 만만치도 않지만 오래된거라
요즘 흔히쓰이는 LPC 타잎을 지원하는지조차 미지수 입니다.
아무튼 문제의 보드는 BIOS region을 입혀 재작업중이고 smd 칩을 5회째 납땜이동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