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4) |
정은준1 |
2014-05 |
5131618 |
0 |
2014-05
5131618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66403 |
25 |
2015-12
1666403
1 백메가
|
94409 |
조립컴퓨터 견적좀 짜봤습니다. 한번봐주세요~ (25) |
르나풀스 |
2020-06 |
3147 |
0 |
2020-06
3147
1 르나풀스
|
94408 |
기존바이오스에 e5440을 장착을했는데.... 그냥 인식되는건가요? (CPU-Z) (5) |
페넘9500아… |
2019-06 |
3147 |
0 |
2019-06
3147
1 페넘9500아…
|
94407 |
흠 이제품은 쓸만한 것인가요? (5) |
늘파란 |
2017-05 |
3148 |
1 |
2017-05
3148
1 늘파란
|
94406 |
캐리어 바퀴 자가 수리 (14) |
백룡 |
2024-01 |
3148 |
0 |
2024-01
3148
1 백룡
|
94405 |
proliant dl120 g7서버사용자입니다. (2) |
전산담당자 |
2020-03 |
3148 |
0 |
2020-03
3148
1 전산담당자
|
94404 |
Dell 스토리지 RTC 오류 문의 (1) |
김상혁2 |
2019-05 |
3148 |
0 |
2019-05
3148
1 김상혁2
|
94403 |
rufus 부팅usb 만들�� (5) |
쿵짝쿵짝 |
2020-02 |
3148 |
0 |
2020-02
3148
1 쿵짝쿵짝
|
94402 |
요런 케이블을 뭐라고 부르나요? (6) |
캡틴아메리카노 |
2019-09 |
3148 |
0 |
2019-09
3148
1 캡틴아메리카노
|
94401 |
델 서버 사양 문의입니다. (3) |
앙드레준 |
2019-03 |
3148 |
0 |
2019-03
3148
1 앙드레준
|
94400 |
윈도우 ad 관련 질문.. (7) |
프로시아 |
2020-12 |
3148 |
0 |
2020-12
3148
1 프로시아
|
94399 |
Quadro FX3800 문의 드립니다. (1) |
DoWoo |
2019-10 |
3148 |
0 |
2019-10
3148
1 DoWoo
|
94398 |
ESXi 사용시 .... |
Jjam |
2015-12 |
3148 |
0 |
2015-12
3148
1 Jjam
|
94397 |
연구실 서버 구축 관련해서 질문드려요! (6) |
Skhfk |
2023-10 |
3148 |
0 |
2023-10
3148
1 Skhfk
|
94396 |
아두이노 온도센서 문의 드립니다. (6) |
김제연 |
2019-05 |
3148 |
0 |
2019-05
3148
1 김제연
|
94395 |
AM4 쿨러 브라켓이 이상합니다. (16) |
댕댕이 |
2022-05 |
3148 |
0 |
2022-05
3148
1 댕댕이
|
94394 |
윈도우VPN 서버질문 (8) |
2CPUI김세훈 |
2019-03 |
3148 |
0 |
2019-03
3148
1 2CPUI김세훈
|
94393 |
다이슨 or 차이슨 물걸래 청소기로 습식 청소 가능할까요? (3) |
병맛폰 |
2021-01 |
3148 |
0 |
2021-01
3148
1 병맛폰
|
94392 |
Fusion IoDrive2 Duo 2.4T 속도저하 (4) |
online9 |
2020-02 |
3148 |
0 |
2020-02
3148
1 online9
|
94391 |
콘덴서 규격좀 알려주실분계신가요 (15) |
blacktwr |
2021-02 |
3148 |
0 |
2021-02
3148
1 blacktwr
|
94390 |
Dell r620에 사용 가능한 4tb 2.5인치 sata 하드 있을까요 ? (3) |
시골노인 |
2019-02 |
3148 |
0 |
2019-02
3148
1 시골노인
|
MM LP 에 포노 앰프까지 내장되어 있는 턴테이블이라면 거기서 나오는 출력이 일반적인 AUX 나 CD의 출력과 같다고 보여집니다..
그리고 LP는 RIAA 커브라는 기준으로 고역과 저역을 강제로 이퀄라이징 해놓았을텐데 그것을 다시 원음으로 바꿔 주는 것이 포노 앰프의 역활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포노 앰프를 2번 거치면 소리가 고역과 저역이 더 강조되어 나올 것 같네요..
그리고 이중 증폭을 하다보니 2번째 포노 앰프가 센 입력을 견딜지도 의문입니다..
출력이 약하다는 느낌이 어디서 어떤 출력이 약한지는 모르겠지만 그것은 앰프와 스피커의 조합에서 해결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https://www.news1.kr/articles/?3077920
제품 리뷰지만 몇 가지 용어들이 나옵니다..
출력은 오로지 내장포노 거쳐서 출력 가능한가? 외장 포노앰프 불가 입니다.
프리앰프를 설치하지 않으면 액티브 스티커 입력 레벨까지는 부족해서 감도를 왕창 높여야 할겁니다.
Class-D가 대세인 요즘은 HiFi 프리앰프만 구하기도 쉽지가 않을텐데 LP를 보유중 이신가봐요
LP 를 돌려 주는 일반적인 턴테이블을 뜯어 보면 아주 단순한 구조 입니다.
- LP 를 회전 시켜 주는 모터와 회전수 조절 기어 (대부분은 벤드로 돌리는)
- LP 를 읽어 주는 카트리지 (MM 또는 MC)
- 카트리지가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과 끝단 커넥터
저것 이상 들어가 있을것 같죠.? 아닙니다 딱 저것만 들어갑니다.
돌아 가는 LP 에 바늘이 닿아서 읽어 들이는 홈의 요철을 소리 신호로 변경 하는 것이 카트리지의 역활 이며
이렇게 변경된 소리 신호는 아주 미약한 dB 를 가지기에 프리 또는 인티 앰프의 PHONO 입력 단자가 필요 합니다.
PHONO 입력도 MM 인지 MC 인지에 따라서 셀렉팅을 하여 그 음을 증폭 시켜 주게 됩니다.
프리에서 증폭된 음을 파워 앰프에서 받아서 스피커를 울려줄 수 있는 음으로 울려 주게 되어 있구요
일반 인티 앰프의 경우는 프리와 파워가 하나의 샷시에 들어가 있는 것이고
님이 쓰고 계시는 PHONO 내장 프리 앰프의 경우 스피커를 직접 울려 주지 못하기에 액티브 스피커 (미약한 파워 앰프 내장) 을 쓰고 계실 것입니다.
여기서 출력이 약하다고 판단 된다고 다시 PHONO 앰프를 연결 한다는 것은 스피커 소리가 작다고해서 그 앞에다 마이크를 달아서 또 울려 주겠다는 것과 비슷할 것 같습니다.
이럴때 방법은 저렴한 파워 앰프와 일반 북쉘프 정도의 스피커만 가지고도 적당한 만족감을 줄 수 있을것입니다.
PHONO 앰프 두번 거친다고 고역이나 저역이 강조 되는 것이 아닌
출력이 살짝 약하다고 느껴서 (소리가 조금 부족하다고 느껴서) 스피커 바로 앞에다 마이크 달아서 또 앰프와 스피커 연결 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