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카드만 교체했을뿐인데 시스템이 미친듯이 느려짐cpu 100%

남경림   
   조회 6569   추천 0    

사무용으로 사용중인 2680v2 / 알리x79보드 / ddr3 24램 / ssd 240GB / HD6850 1GB

에서 그래픽만 1060 6GB 로 교체 하였습니다.

지금 이 글 작성중에도 cpu로드 90 이네요. 쓰로틀링 걸리기 시작하면 8~90 금방 훅 올라갑니다.

-----분명히 정상이 아니네요. 아무리 구세대 제온이라 하여도 이정도 사용량은 1년넘게 쓰면서 한번도 찍어보지 못한 수치입니다.

찾아보니 비슷한 증상이 꽤 있는것 같던데, 해결방법이 눈에 띄는게 없어요.


GPU로드나 온도 봐서는 제품 문제 같지는 않은데.ㄷ동일증상 호소글에 보니 공통점이 그래픽카드를 교체 한 후 라는 것입니다.

다중모니터의 포트를 원활하게 이용하려고 바꾼거였는데(6850에는 dp는 있지도않고, hdmi도1개임)

모니터 추가 하면서 DP쓰려고 교체했더니 이난리네요.


제가 이 조건으로 예전에 HIS RX580을 사용했던적이 있습니다. 그때는 전혀 이상 없이 잘써서 그래픽카드 호환쪽으로 무게를 두고 있는데요.

해보다 차도없으면 기존VGA로 복구하던지, vga를 다시 구하던지 해야될것 같습니다.

혹시 동일증상 겪어보신 분 계시면 조언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the촌놈 2023-03
OS 포맷 후 설치하셨나요? 아니면 그냥 그래픽 드라이버만 지우고 설치하셨나요?
CM10 2023-03
DDU로 라데온쪽을 삭제해보셨나요?
남경림 2023-03
첨에 ddu로 밀고 재부팅, 그 담에 엔비디아 최신꺼 23년2월인가, 그거 설치..해결안되어 윈도우 3번 재설치함, 똑같음
윈도우 설치 할때만 해도 드라이버가 꼬여서 그런가 했더니 재설치해도 똑같네요.os 설치 직후부터 쓰로틀링 걸리고 마우스가 순간이동 함.

아직 해체 안하고 일단 두고 보고 있습니다. 해결방법 없으면 기존꺼 쓰던지 라데온 상위모델 구해서 달아볼까 생각중 입니다.
1060 달아서 해결하고 사용하면 더 좋구요. 근데 아직 잘 모르겟습니다. 해결이 될지..일단 여러 사례 검색은 해보고 있습니다.
술이 2023-03
CPU 파워 밸런스 모드로 했나요? 바이오스에서 풀퍼포먼스 모드로 동작했을때 쿨러 쎈놈 아니면 온도 못잡았습니다.
밸런스 모드로 전환했더니 아이들시 온도내려가고 점유율 올라갈때 클럭빨올라가고 오랫동안 CPU 점유율 먹고 안내려오지 않는한 온도는 평균정도 정상이였습니다. 서버 CPU는 저전력 아니면 원래 굉음을 내며 식혀줘야 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비슷한 사양 알리 X79였고 그래픽 카드는 X470 이였습니다.
     
남경림 2023-03
이게 좀 애매한게 기존카드를 꼽으면 또 다시 정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알리x79 보드 사용하셨다니 잘 아시겠지만, 바이오스가 애초에 셋팅할게 별로 없습니다..진입이 안되요. 있는것도 별로 해당도 없는 항목이구요. cpu온도가 높은편은 아닙니다. 풀로드 일때도 말이죠.

찾다가 발견한건데, 지금 생각중인건 윈도우11 최신버젼을 설치해볼 생각입니다. 자동업데이트는 막구요.
이후에 구형카드 꼽고 재설치도 해볼생각입니다.
          
술이 2023-03
파워는 넉넉한가요?
좀 부족하면 열부터 나는데...
제온프로 2023-03
일단 작업관리자 열어 보세요..
뭐가 도는지...
     
남경림 2023-03
특별히 도는것 없습니다. 크롬이나 탐색기 등 그때 띄우는것이 많이 잡아먹습니다. 크롬 유튜브 띄워놓으면 720p 정도도 버벅이고 끊어집니다.
신은왜 2023-03
잘 안되면 윈도우 재설치  해보면 금방 답 나올 것 같습니다.
민사장 2023-03
그래픽 카드를 다른 pc에 달아보고 비교
사랑하라 2023-03
1.프로그램 클린설치
2. 그래픽카드 1060  문제확인
순서 아닐까 싶습니다
남경림 2023-03
조언 주신 분들 감사드립니다. 메인보드가 문제 였던것 같습니다.
보드를 바꾸어 설치후 사용하니 cpu부하는 올라가도 끊기지는 않네요. 심지어 i5-2400 구닥다리 4c/4t 제품입니다.
vga도 정상작동 하는걸로 확인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술이 2023-03
만약 보드문제였다면 다른 그래픽카드 꼽았을때도 문제가 생겨야 됩니다.
저 2680V2가 고전력으로 알고 있어요. 왜 파워를 물어봤냐면 2650V2 서버에서 쓸때는 그냥 온도도 낮고 그냥 중국산 보드에 꼽아써도 고만고만 하겠다 싶어 썼는데 2650V2 조차도 점유율이 올라가면 온도상승이 눈에 보이고 항상 고성능 모드로는 고급쿨러가 아니면 못쓰겠다 결론냈습니다.
일반 데스크탑 보드도 그래픽카드 저사양과 고사양 달았을때 CPU 쿨러소리가 달랐습니다.
     
남경림 2023-03
2860v2는 제원상 115TDP 입니다. 현시대 기준 스펙상 고전력 같지만 용도상 고부하걸리는 일이 거의 없어 팬도 거의 저소음 상태입니다.
문서 나 텍스트기반 크롬창 5개 정도?라서 그정도 일거라고 생각합니다
기존에 HD6850 사용중 이었는데, 탈부착 과정에서 물리적인 결함이 생겼던건지, 지금은 1060을 달건, HD6850을 물리건 같은증상 입니다.
해당보드가(알리 알터마이어 X79) 구매 직후 램 탈부착 과정에서 슬롯내부 핀이 몇개 누워서 램슬롯3개만 사용중에 이런 증상이 생겨 물리적인 문제가 생긴거로 보고 있습니다.
급한대로 사무용으로 쓸 한대 만들어놓고, 그 보드는 테스트 해볼 생각입니다. 1060 은 잘돌아가는것 같습니다.
조언 감사드립니다.


QnA
제목Page 3967/5723
2014-05   5230596   정은준1
2015-12   1757380   백메가
2012-04   6529   윤승직
2017-11   6529   jhsim
2011-06   6529   우앙뿌앙
2009-09   6529   현정사랑
2018-12   6529   NeOpLE
2013-02   6530   조성현입니다
2007-05   6530   강현섭
2016-10   6530   김준영86
2005-03   6530   윤호용
2018-05   6530   무아
2005-03   6530   김성규
2015-01   6530   가빠로구나
2015-03   6530   2CPU최주희
2005-04   6530   나강문
2006-12   6530   백찬용
2011-02   6530   김지환1
2015-09   6531   발품
2005-03   6531   홍동권
2020-08   6531   newretrowave
2005-03   6531   정은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