쪽팔리면 질문하지 맙시다. 소중한 답변 댓글을 삭제하는건 부끄러운 일 입니다
1. 40G QSFP?라고 하나요?
이걸 4x SFP+로 바꿔주는 케이블이 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
https://www.mouser.kr/new/amphenol/amphenol-qsfp-splitter-cables/
여기 장터에서도 판매하는것 같던데요
이걸 이용해서 40G NIC가 달린 서버 하나와 10G SFP+ NIC가 달린 서로 다른 4개의 서버를 직접 연결할 수 있을까요?
대략 이런 설정입니다
관련 단톡방에선 지원하지 않을것 같다고 하더군요
저런 설정이 가능할까요?
2. 인텔 X520-DA2가 하나 있습니다.
일단 바이오스에서는 인식을 하는데 윈도우나 리눅스로 들어가면 해당 NIC를 인식하지 못하는것 같습니다.
펌웨어 관련인가? 해서 bootutil을 이용하여 펌웨어 덧씌우기를 시도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윈도우나 리눅스에서 제대로 NIC를 인식하지 못하는것 같습니다.
윈도우에서 코드 10 에러가 발생해서 장치 드라이버 재설치를 해도 마찬가지
리눅스에서는 PCI Device 인식 불가 관련 dmesg가 뜹니다.
완전히 고장난 물건이라면 UEFI에서도 인식을 못하는게 맞을텐데 어떤 다른 문제가 있을까요?
3. 와이파이 공유기 또는 AP에 대한 질문입니다.
일반적인 가정용 공유기로는 10대-20대의 기기가 한계라고 하는데 아마 가장 많은 리소스를 잡아먹는 NAT/라우팅 때문이나 커넥션 문제일텐데, 상단에 라우터가 따로 있고 공유기를 AP모드로 돌린다면 이러한 리소스 문제에서 자유로워질테니 무선 접속이 가능한 댓수가 늘어날까요?
흔한 IpTime AX3004M 같은걸로도 몇십대 이상의 무선 신호 처리가 가능할까요?
OpenWRT를 올린 다음 완전히 무선 처리+VLAN 설정만 하려고 합니다
대부분의 기기는 ioT라 패킷의 크기는 많지 않을 걸로 예상됩니다.




혹시 지빅을 이용하시나요?
X520-DA2이 인텔 리테일, DELL OEM, CISCO OEM(?)이면 인텔 정품 지빅만 동작합니다. ( 패치로 풀 수는 있음)
비정품 지빅이면 리눅스는 인터페이스 사라짐, 윈도우즈는 장치관리자에 느낌표 뜹니다.
DAC 케이블은 타사꺼라도 잘 됩니다.
얼마전 장터에 X520이 많이 풀려서 그런지, 요즘 단골 질문이네요....ㅎㅎ
제가 가진건 DAC 케이블만 있습니다
그런데 DAC로 연결했을때도 그랬던 기억이 나네요
p.s:개인적으로 안철현씨한테 신세 많이 진것 같습니다
항상 좋은물건 감사드립니다
카드 고장인경우에도 발생합니다.
장치 인식은 되는데, 인터페이스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
광신호는 나가는데, 막상 동작하지 않는 경우도 있구요..
X520-DA2 + DAC케이블일때 동작하지 않으면
카드의 하드웨어적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QSFP+ TO 4xSFP+ Breakout 케이블 혹은 Split 케이블이라고 합니다.
다만 이 케이블은 스위치의 QSFP+ 포트를 SFP+ 포트 4개로 쪼개주는 케이블입니다. ( 스위치에도 포트를 쪼갠다는 명령 필요 )
스위치(QSFP) to NIC(SFP) 혹은 스위치(QSFP) TO 스위치(SFP) 연결은 동작하고
NIC(QSFP) TO NIC(SFP) 연결로는는 동작하지 않거나 4개 SFP중 1개만 동작합니다.
일부 Intel/HP QSFP NIC중 한두가지 특정 모델(SFP+ 인터페이스 4개가 잡히는 NIC)은 4xSFP를 지원하지만
일반적은 QSFP NIC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게 X520 2개 장착하는거보다 전력소모가 적을진 모르겠습니다
인텔 통합 드라이버 칩셋에 들어 있는 DIAG 유틸리티를 써서 랜카드가 정상인지부터 확인하세요..
https://cs.uwaterloo.ca/~brecht/servers/docs/PowerEdge-2600/en/IntelNIC/diag.htm
만일 그 랜카드가 유닉스 머신의 파츠라면 리눅스에서만 인식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저도 일단 도스에서 돌려봐야겠습니다
한개의 AP에 붙는 클라이언트들이 어떤 대역폭으로 연결되었느냐에 따라 클라이언트 갯수의 숫자는 한계가 있다라고 생각됩니다..
AP에 노트북 붙여 보셔서 아시겠지만 무선의 세기나 무선의 품질에 따라 연결되는 대역폭(속도)는 틀리고 시간에 따라 변하기도 합니다..
스위치에서 분리하는 뭔가의 액션이 필요한거 같더라구요. 1개 포트만 동작해요.
결국은 그냥 10G끼리 포트많은거 1:1로 꼽는게 나을수도 있는데 그냥 맘편하게 알리에서 10G 싸구려 스위치라도 구입해서 꼽는게 나을수도 있습니다.
난 후자 추천. 이미 저방식도 써보고 스위치도 써보고 했지만 스위치 있는게 훨씬 편합니다.
무선은 스위치 방식과 달리 더미방식처럼 그냥 10이 대역폭이라면 한사람 붙으면2 두사람 붙으면 4 3사람 붙으면 6 대역폭이 날라가서 나머지 4정도의 대역폭만 남게됩니다. 무선은 붙을수 있는 대역폭이 정해져 있어서 ap 댓수 쳐 늘리는 방법밖에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