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3187 |
0 |
2014-05
5243187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8501 |
25 |
2015-12
1768501
1 백메가
|
107071 |
서버 부품 싸게사는곳이 궁금합니다. (15) |
ZeroTrust |
2023-03 |
1887 |
0 |
2023-03
1887
1 ZeroTrust
|
107070 |
서버 부품 싸게사는곳이 궁금합니다. (3) |
김황중 |
2023-03 |
1834 |
0 |
2023-03
1834
1 김황중
|
107069 |
내부 네트워크 문제, 프로그램의 오류 개선 방안좀 알려주세요 (10) |
Commander |
2023-03 |
2760 |
0 |
2023-03
2760
1 Commander
|
107068 |
NVME pcie adaptor 추천 |
나우마크 |
2023-03 |
1895 |
0 |
2023-03
1895
1 나우마크
|
107067 |
H200A 레이드카드에서 HITACHI 서버에서 나온 하드가 인식이 되지 않습니다 (15) |
keige369 |
2023-03 |
2092 |
0 |
2023-03
2092
1 keige369
|
107066 |
Lg 서비스센타 다녀왔습니다 ㆍ저가 잘못 했나요 ? (23) |
시골노인 |
2023-03 |
3526 |
0 |
2023-03
3526
1 시골노인
|
107065 |
컴파일 된 파일은 아애 수정이 불가능 한건가요? (15) |
무쏘뿔처럼 |
2023-03 |
2147 |
0 |
2023-03
2147
1 무쏘뿔처럼
|
107064 |
공랭 CPU 질문 하나 드립니다. (10) |
용새 |
2023-03 |
4104 |
0 |
2023-03
4104
1 용새
|
107063 |
팬 컨트롤러 DIY질문드립니다 (10) |
AplPEC |
2023-03 |
2190 |
0 |
2023-03
2190
1 AplPEC
|
107062 |
아마퀘스트 V1-HT8 타워 케이스 사용하시거나 잘 아시는 분 (4) |
akfalles |
2023-03 |
2188 |
0 |
2023-03
2188
1 akfalles
|
107061 |
KVM스위치 연장 구성이 될지 궁금합니다! (4) |
Lucifer |
2023-03 |
1995 |
0 |
2023-03
1995
1 Lucifer
|
107060 |
노트북에서 집 공유기의 5G wifi 만 안잡힙니다. ㅜㅜ (15) |
파피푸페 |
2023-03 |
4986 |
0 |
2023-03
4986
1 파피푸페
|
107059 |
[ 리눅스 ] 리눅스 패키지 문의 - GPU & CPU 동시 모니터링 (4) |
전설속의미… |
2023-03 |
2793 |
0 |
2023-03
2793
1 전설속의미…
|
107058 |
썬더볼트 디스플레이 / 시네마 디스플레이 백화현상? (4) |
2CPU최주희 |
2023-03 |
2550 |
0 |
2023-03
2550
1 2CPU최주희
|
107057 |
영상 콘텐츠 서버 조언 부탁드립니다 ㅠㅠ!! (8) |
김삭콩 |
2023-03 |
2647 |
0 |
2023-03
2647
1 김삭콩
|
107056 |
2cpu 홈페이지 기능에 대한 건의 입니다. (4) |
허밍버드 |
2023-03 |
2057 |
2 |
2023-03
2057
1 허밍버드
|
107055 |
디지탈 스피커 유닛은 없나요?? (23) |
박문형 |
2023-03 |
2645 |
0 |
2023-03
2645
1 박문형
|
107054 |
Mini DP(F) to HDMI(M) 젠더를 찾고 있는데.. (4) |
eu4you |
2023-03 |
1967 |
0 |
2023-03
1967
1 eu4you
|
107053 |
[Nexus Repository]복사기능 URL의 http를 https로 출력하는 방법 (2) |
양시열 |
2023-03 |
2142 |
0 |
2023-03
2142
1 양시열
|
107052 |
윈도우서버 CSP 영구 라이센스 질문 (2) |
JJAMTIGER |
2023-03 |
1899 |
0 |
2023-03
1899
1 JJAMTIGER
|
https://m.blog.naver.com/msmiagb/117502753
SMA의 경우 12.4GHz 까지 커버 가능하다고 합니다
RF 안테나의 경우 FM 110Mhz를 넘지 못하니 커넥터도 고주파수 대응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비용대비)
https://woof.tistory.com/110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0D08455271C29C11?original
사진상으론 아무리 봐도 UHF보다 SMA하고 비슷해 보여서 저 주파수가 내가 아는 그 주파수가 아닌건가. 그냥 넉넉하게 쓰는 건가 고민하다 질문을 해봤습니다. 근데 답변 읽어보고 다시 가정집 벽이 아니라 TV에 달린 단자로 검색해보니 UHF가 맞는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TV 주파수가 UHF대역이긴 한데, UHF 커넥터라고 하면 아마추어 무선쪽에서 쓰는 이름이 비슷한 다른 커넥터가 있어서 그게 걸릴 수가 있습니다.
가정용 TV/라디오로는 거의 안 쓰는 게 맞는데, 아마 RF로 검색하면 SMA가 많이 나오는 이유는 그래서일 듯 합니다.
일반적인 UHF/ VHF 안테나로 높아야 740Mhz 미만의 주파수를 전달하기 위함이니 SMA만 해도 조금 오버 스펙이 아닐까 합니다.
그리고 대충봐도 과거 TV 수신용 케이블이랑 비교하면 가공이 들어가야 하니 단가도 많이 차이날 것 같습니다(대충 휘어서 프라스틱 vs 나사가공 등..)
초단파(VHF: 54~72㎒, 76~88㎒, 174~216㎒), 극초단파(UHF : 470~740㎒)
https://www.crms.go.kr/lay1/S1T456C459/contents.do
사견으로는 wifi 안테나 등으로 SMA가 보편화 되고 가격도 낮아지고 크기도 적절하게 작다보니 이런저런 편리성으로 인해 SMA를 쓰게 된게 아닐까 생각을 해봅니다.
N이나 F 커넥터를 PC용 슬롯에 들어가도록 만들 순 없을테니까요. (PC용 커넥터는 BNC 가 일단은 대세)
게다가 BNC 보다 동축도 얇아서 케이블링도 용이하고, 이래저래 SMA가 편하긴 합니다
물론 Wi-Fi가 여기서 보급을 더욱 가속시킨 것은 맞을 것 같습니다. 널린 게 Wi-Fi 장비다 보니까... 그저.. 저 덕에(?) 커넥터가 RP-SMA인지 일반 SMA인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이게 Wi-Fi 영향인지 아닌지가 어느정도는 구분이 갑니다. RP-SMA에 2.4 GHz 근처면 Wi-Fi 영향으로 쓰인 경우, 아니면 별로 영향을 받았다기 어려운 경우..
이 외는 거진 공감합니다. 말씀대로 가정집에서 F 커넥터를 그대로 쓰는 이유는 굳이 바꿀 이유가 없는 점도 크겠지요. SMA보다 싸기도 하고..
TV 용이면 아마 동축 케이블일것 같은데... 연결 단자의 외경 사이즈를 확인해보시는게.. 모양만 봐서는 위에 두개는 티비용인것 같고 아래 2개는 아닌것 같네요.
3번은 이름으로 보아 TV 아닌 게 맞는 것 같고
https://ko.aliexpress.com/i/4000143973725.html
4번도 산업장비용이라는 것 보면 아닌 게 맞는 것 같습니다.
https://ko.aliexpress.com/item/1005001943906589.html
감사합니다...
https://enjoyaudio.kr/zbxe/index.php?mid=tunerbuffs&document_srl=11578558
물론 뒤집어 보면 디지털은 신호 품질이 기준선을 넘어가는 수준이기만 하면 큰 문제가 없다는 것이기는 합니다. 공청 안테나 뒤에 증폭단이 존재하느냐/존재할 경우 어떻게 되어있냐에 따라서 체감할 만한 차이가 날 수도, 안 날수도 있겠습니다.
인터넷 라디오도 있고 인터넷 TV도 있고
아마추어 무선통신도 인터넷 때문에 다 망했다라고 볼 수 있고 인터넷으로 서비스 하는 경우도 있기도 합니다..
AM /FM 공중파 TV 등등이 계속 줄어들지만 그래도 계속 남아 있어야 하는 이유는 일종의 재해 재난이나 긴급 통신용으로 사용해야 되기 때문인가 라는 생각도 듭니다..
2. 전송 선로 간섭을 받지 않기 위해서 - Fringing effect / Shielding
3. Wilkinson power divider로 보입니다.
4. 방송용 동축 단자가 75옴 기준, SMA 는 50옴으로 기억됩니다.
http://www.rfdh.com/bas_rf/begin/coupler.php3
아직도 사이트가 살아 있네요. 나름 쉽게 설명이 되어 있어서 인기 있었는데...
모든 질문의 답은 RF 관련으로 보입니다. 위 사이트에 대부분 답이 있을 것 같습니다.
SMA 로 TV 쪽에 사용하면 임피던스 매칭이 안되어서 손실이 좀 있을 것 같고,
2-Port 기준 이론상 파워 디바이더가 3dB 손실인데 대충 만들면 4.5dB 정도 나올 것 같네요.
Wilkinson power divider 였나 마지막 사진처럼 만들어야 3.xdB 의 삽입 손실로 제작이 가능합니다.
20세기 때 기억을 오랜만에 되살려 봤습니다. ㅎㅎㅎ
1번 사시면 될 것 같습니다.
케이블 유선 은 저걸로 따니까요.
통신랙에 TV분배기(증폭기)가 같이 설치 되어 있을건데요.
메인선이 제대로 나오는지 부터 테스터기로 DC [V] 부터 확인 하시고, 나오면 굳이 건드실 필요없습니다.
개별 방에 설치된 통신선(국선 or RJ45) 쪽에 숨겨 있을 수도 있습니다.
유선(케이블방송) 은 선이 살아 있다면, 12[V] 이상 나오던데요. (예전에 집으로 들어오는 유선에 컴퓨터 FAN 달아서 돌려보기도 함.)
분배기와 분기기가 있습니다
그걸 검색해보시면 아... 하실수도
딱히 2개를 구분해서 통신하는것도 아니고, 받은 신호를 단순히 2가닥으로 똑같이 전송해주는게 전부입니다
주워들은지 오래되어 가물가물하지만
아파트나 다세대의 공시청은
위성같은경우 수신한 신호를 모듈레이터로 특정채널로 변경후 컴바이너로 섞어서 지상파 신호와 같은 라인으로 보내주고요.
지상파는 수신한 그대로 증폭해 케이블로 전송하고 중간중간 분기기로 신호를 빼서 세대로 분배를 해주고
세대내에서는 분배기로 각방에 뿌려줍니다. 라인이 길어지거나 신호가 약해지면 중간에 증폭기를 넣기도 합니다
일반 TV케이블의 경우에는 F컨넥터를 주로씁니다(유럽제외)
분배기는 전기나눠쓰듯 무조건 두선을 갈라주는게 아니라 분배되는 각 단의 임피던스도 맞춰줘야하기때문에
쉽게 생각하면 일종의 변압기? 라고해도 될지는 모르지만 페라이트 코어로 만든 트랜스로 입력 신호를 2개로 나눠줍니다
단수가 늘어날수록 매칭트랜스가 여러개 들어가게되고 그만큼 손실도 커지게 됩니다.
PCB에 패턴을 떠서 만들기도하기만 덩치가 커져 보통은 코어로만들겁니다.
SMA 단자를 쓰는 더 높은 주파수대의 분배기나 컴바이너같은 경우에는
코일로 처리하기보다는 주파수에 맞게 PCB 패턴으로 처리하는게 쉽기때문에 .....
대학때 마파(마이크로파) 하는 과목에서 나오던.. 얘기들..
그쪽 랩 대학원생들 보면 저런 패턴을 수식으로 계산하고 PC나 웤스로 시뮬레이션 한 다음에 성능이 나오면 실제로 패턴 만들어서 제작하곤 하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