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에서 리눅스하드 연결시 희한한 현상

회원   
   조회 2873   추천 0    

이 PC는 리눅스와 윈도우가 동시에 깔려 있는 PC 입니다. 주로 윈도우 OS로 쓰고요. Ext2 하드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파라곤 같은 서드파티 프로그램을 따로 사용중이지는 않습니다. 구입 당시 맞춰주신 분이 저희 용도를 말씀드리니 이렇게 설계를 해주신듯 해요(PC 설계해주신 분은 믿을 수 있는 곳입니다). 며칠 전부터 희한한 현상이 발생하여 질의 드립니다. PC 구입한지는 3년 정도 됐습니다.



현상은 이렇습니다. PC에 리눅스용 하드(Ext2- Cent OS7 Gpated앱으로 포맷한 것)를 물립니다. 하드는 주로 1TB 3.5 인치 하드를 사용합니다. 케이스 제조사는 iptime 쓰고요. 그런데, 언젠가부터 하드를 하나만 물렸는데 동일한 이름의 HDD가 한 개 더 잡힙니다. 두 하드에 잡힌 데이터는 언뜻 보면 비슷한데 속성 눌러보면 총 바이트가 다르고요. 추가로 잡힌 하드에 들어가보면 못 보던 폴더 하나가 생겨 있습니다. System Volume Information 이라는 폴더입니다. 자세한 것은 아래 동영상 참고 부탁드립니다. 영상 임베드가 

잘 안 되는 것 같은데요, 아래 링크 참고 부탁드립니다.

https://youtu.be/Tqe61bHvw74

https://youtu.be/P73vLMHnrtQ



이 현상은 윈도우 NTFS 하드를 물렸을 때는 일어나지 않았던 현상입니다. 윈도우 PC에 Ext2 하드를 물렸을 때만 나타나고요. 반드시 나타나는 것도 아니고 랜덤한 경우로 이 현상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또 한 가지 체감적으로 느껴지는 것은… 이 윈도우 PC에 Ext2 리눅스용 하드를 연결하기만 하면 컴퓨터가 좀 느려지고… 파일 복사, 붙여넣는 시간 오래걸리고 하는식으로 성능이 안 좋아지는 듯합니다…


쓰다보니, 이 윈도우 PC에서 리눅스 하드를 인식시키는 프로그램이 작동하면서 뭔가 부하(?) 같은 것이 발생하는게 아닌가 싶긴 한데요. 이런 증상 보신분 계실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23-03
케이스 제조사가 IPTIME 이라고 하셨는데 외장 USB케이스 같은 것을 사용하시나요??

만일 그렇다면 정확한 모델명은 무엇인가요??
     
회원 2023-03
케이스 제조사 iptime 3135 입니다.
          
박문형 2023-03
USB 외장하드는 편해서 사용하긴 합니다만 장시간 동작시 데이터 오염이 일어나는 경우가 왕왕 있고 데이터를 망실하는 경우가 꽤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최대한 사용하지 않을려고 합니다.. 불편하더라도 시스템의 SATA 포트에 직결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만일 직결을 시도하신다면 사용하시던 하드는 시스템에 직결하면 데이터 안 보일수도 있으니 데이터 복구가 가능하도록 백업부터 하시고

작업을 시도해보세요..)

그리고 저런 조립 제품 보다 하드디스크 제조사에서 나온 완제품이 신뢰성은 조립 제품에 비하여 더 높습니다..
isaiah 2023-03
잘 모르겠습니다만... 사용 중단 하시고 백업 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저는 경험상 파일시스템 드라이버가 뭔가 잘못 인식하고 있다는 징조가 보였을때 대부분의 경우 이미 해당 드라이버가 뭔가 조지고 있었습니다...
     
회원 2023-03
ㄷㄷ ㄷ 그렇군요 ;;; 에효 ㅠㅠ
제온프로 2023-03
하드에 베드가 있는 것 같아요..

꽂으면 윈도우는 지가 관리 하려고 SMART 값도 읽으려고 하고..
부트정보. 여러 정보를 읽어 낼려고 합니다... !!

리눅스 하드인데.. 니가 왜 읽어.. !!

서로 다른 운영체계와 서로 다른 파티션입니다.. 올바르게 동작 않되는 것이 당연해 보입니다.
     
회원 2023-03
아아... 하긴 그렇겠군요.... 감사합니다.
간장게장 2023-03
드라이브 하나는 파일시스템이 Dokan으로 되어 있군요.
dokan은 토관(土管, clay pipe)의 일본어 발음이라고 합니다.

Dokan은 user mode file system이라고 합니다. 가상 파일 시스템이니 Dokan을 uninstall하면 드라이브 하나는 없어지겠네요.
저는 Dokan에 대해서는 아는 것이 없습니다. 검색을 해 보시지요.
딥마인드 2023-03
윈도에서 ext 하드 연결시도가 더 희안하네요.
안정된 OS로 갈아타심이 정상인듯...
     
회원 2023-03
역시 오에스를 크로스해서 쓰는건 불안정한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0xFF 2023-03
exfat쓰세요
     
회원 2023-03
조언 감사합니다.
택곰 2023-03
정확한 원인을 알고 쓰는 것은 아닙니다.
윈도우에서 ext2로 표시되는 것을 보면 ext2ifs나 ext2fsd를 설치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어느 것이든 불안정하다고 알고 있는데 읽기만 하는 경우에는 사용에 문제가 없나 보네요.
System Volume Information 폴더는 윈도우에서 생성하는 폴더입니다.
스마트폰에 USB 메모리 연결하시면 LOST.DIR 폴더 생기는 것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DOKAN MOUNT가 생기는 것이 문제로 보이는데 DOKAN 라이브러리가 코멘트 라인 명령으로만 동작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자동 실행 스크립트가 동작하는 것으로 의심되는데 설계하신 분의 의도를 파악할 수 없어서
DOKAN이 필요한지 아닌지 알 수가 없습니다.


QnA
제목Page 4967/5724
2015-12   1762257   백메가
2014-05   5236571   정은준1
2022-04   2881   Uinx
2019-02   2881   삐돌이슬픔이
2020-04   2881   캔위드
2021-04   2881   나로와
2021-01   2881   김영기
2022-01   2881   우당탕탕
2019-04   2881   꾸띠웍
2024-04   2881   후리지아
2019-12   2881   컴박
2020-06   2881   ityongsan
2019-03   2880   G1G2
2019-06   2880   슈퍼차저
2020-07   2880   MikroTik이진
2020-07   2880   Sakura24
2019-04   2880   HanUyo
2021-02   2880   장동건2014
2021-05   2880   건약
2023-11   2880   노엘갤러거
2023-04   2879   류류류
2021-08   2879   mot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