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4443 |
0 |
2014-05
5264443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9435 |
25 |
2015-12
1789435
1 백메가
|
107174 |
리눅스 타임존 관련 문의드립니다. (6) |
시공의폭풍 |
2023-03 |
1925 |
0 |
2023-03
1925
1 시공의폭풍
|
107173 |
자작 NAS용 보드+CPU+파워 조합 문의 (14) |
VSPress |
2023-03 |
2793 |
0 |
2023-03
2793
1 VSPress
|
107172 |
2U 서버 상판에 대형 팬을 장착해 보신분 계실까요? (4) |
Rainwalk |
2023-03 |
1658 |
0 |
2023-03
1658
1 Rainwalk
|
107171 |
ANSYS Fluent Intel과 AMD 속도 차이 질문있습니다. (9) |
에륜델 |
2023-03 |
2982 |
0 |
2023-03
2982
1 에륜델
|
107170 |
티피링크 ER8411 써보신분 있으실까요? (1) |
홀릭0o0 |
2023-03 |
1766 |
0 |
2023-03
1766
1 홀릭0o0
|
107169 |
슈마 듀얼보드에 싱글전용 시피유(E5-16XX)가 동작할까요? (5) |
안철현 |
2023-03 |
3024 |
0 |
2023-03
3024
1 안철현
|
107168 |
14~15.6인치 액정 반사판은 어디서 구매하시나요??? (9) |
호박고구마 |
2023-03 |
1447 |
0 |
2023-03
1447
1 호박고구마
|
107167 |
비페이징 풀 Limit문제.. (1) |
tritob |
2023-03 |
2084 |
0 |
2023-03
2084
1 tritob
|
107166 |
[질문] 윈도우 10에서 창 내용 색상 변경 방법 (4) |
일반유저 |
2023-03 |
2052 |
0 |
2023-03
2052
1 일반유저
|
107165 |
Dell PowerEdge R430 팬 속도 (3) |
ZeroTrust |
2023-03 |
2090 |
0 |
2023-03
2090
1 ZeroTrust
|
107164 |
SATA 2.5인치 SSD 2TB를 사려고 합니다. :-) (6) |
포스타 |
2023-03 |
2451 |
0 |
2023-03
2451
1 포스타
|
107163 |
이런건 볼 필요도 없이 보드고장이겠죠? (8) |
AplPEC |
2023-03 |
3552 |
0 |
2023-03
3552
1 AplPEC
|
107162 |
4K 영상편집 시스템 문의드립니다. (15) |
song05 |
2023-03 |
2902 |
0 |
2023-03
2902
1 song05
|
107161 |
miipc m1280 이라는 구형 모델 (1) |
2CPU최주희 |
2023-03 |
2402 |
0 |
2023-03
2402
1 2CPU최주희
|
107160 |
브라더 프린터 중에 해상도와 색감이 좋은 프린터 있으까요 (8) |
가빠로구나 |
2023-03 |
2545 |
0 |
2023-03
2545
1 가빠로구나
|
107159 |
브라보텍 스텔스 케이스 요즘 것은 괜찮을까요? (11) |
VSPress |
2023-03 |
2964 |
0 |
2023-03
2964
1 VSPress
|
107158 |
이런 퓨즈는 뭐라고 검색을 해야하나요 ? (3) |
삐돌이슬픔이 |
2023-03 |
1805 |
0 |
2023-03
1805
1 삐돌이슬픔이
|
107157 |
cpu e5-2687w v3 속도가 기본속도보다 낮아요 (13) |
천마건빵 |
2023-03 |
2201 |
0 |
2023-03
2201
1 천마건빵
|
107156 |
home assistant로 에어컨등을제어하는데 라즈베리파이로 에어컨센서와 통신하는이유 (5) |
그린 |
2023-03 |
1979 |
0 |
2023-03
1979
1 그린
|
107155 |
아두이노에 LTE USIM 사용 가능한가요? (2) |
이미존재하… |
2023-03 |
1904 |
0 |
2023-03
1904
1 이미존재하…
|
배터리 관련 동영상 보고 있는데 재밌고 신세계네요 ^^
때문에 전기차 배터리 보조용으로 추가하면
큰 동력이 요구되는 출발 가속시에 높은 배터리 전류를 경감하는 보조 용도로 요긴하게 쓰이며 제동시에 전기 변환 에너지로 충전가능한데
제동시 동력 흡수저장 기능은 아직은 독일 최신 차량에만 적용되고 있습니다.
그밖에 방전차량 시동이나 MOSFET과 조합하여 스폿기로도 사용함.
배터리 관련 동영상 보고 있는데 재밌고 신세계네요 ^^
((9+8) * 4쌍) * 2판 = 136 개 * 25[F] = 3400[F] 인데
저전압으로 쓰는 것 같은데요.. 5[V] 구동되는 먼가 있을것 같긴 합니다만..
틈틈히 잘 배워보겠습니다^^
슈퍼 콘덴서는 F단위인데 이 단위가 굉장히 큰 단위입니다..
그만큼 큰 전류를 흘리는 것이 가능하기에 다루는데 아주 조심해야 합니다..
아, 큰 단위이군요
조심이라면, 콘덴서 본체 충격이나 합선, 임의 파손 등은 물론이고 콘덴서를 통한 감전 등을 말씀하시는 것이겠죠?
추가로는(?)
잘 배워 보겠습니다^^
5V, 5.5V는 슈퍼캐패시터라고 해요.
무식이 탄로났습니다.
볼트 별 이름이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http://www.skeletontech.com/skeleton-blog/whats-the-difference-between-an-ultracapacitor-and-a-supercapacitor
아래는 해당 사이트 초벌 번역입니다^^;;
=======================================
슈퍼 커패시터 셀의 내부 구조와 구성 요소
약 70년 전으로 되감아 봅시다. 제너럴 일렉트릭 엔지니어는 1950 년대 초 커패시터에서 다공성 탄소 전극 실험을 처음으로 시작했으며 1957 년 Howard Becker라는 GE 엔지니어는 "다공성 탄소 전극이있는 저전압 전해 커패시터"를 개발했습니다. 이상하게도 그는 1850년대에 이미 발견되어 그 이후로 확장된 이중층 메커니즘에 익숙하지 않았으며 특허에 "에너지 저장에 사용되는 경우 구성 요소에서 정확히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는 알 수 없지만 매우 높은 용량으로 이어집니다." 제너럴 일렉트릭은 더 이상 작업을 추구하지 않았고 다른 사람들이 그 길을 계속할 수 있는 문을 열었습니다.
이 구성 요소의 또 다른 버전은 1966 년 오하이오 주 스탠다드 오일 (Standard Oil of Ohio)의 연구원들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그는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라고 명명했지만 특허에서 전기 화학 에너지 저장의 특성을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제너럴 일렉트릭 (General Electric)과 마찬가지로 오하이오의 스탠다드 오일 (Standard Oil of Ohio)은 발명품을 상업화하지 않기로 결정했지만 대신 1971 년에이 제품을 시장에 출시 한 Nippon Electric Company (현재 NEC로 알려짐)에이 기술을 라이센스하여 "슈퍼 커패시터"라고 불렀습니다. 이 슈퍼 커패시터는 컴퓨터 메모리의 백업 전원으로 처음 판매되었습니다.
스켈캡 SCA 슈퍼 커패시터스켈레톤의 슈퍼 커패시터.
슈퍼 커패시터에 대한 연구를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 유명한 전기 화학자 인 Brian Evans Conway는 1975-1980 년에 전기 화학 커패시터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1991 년에는 전기 화학 에너지 저장에서 "슈퍼 커패시터"와 "배터리"동작의 차이점을 설명했습니다. 그는 1999 년에 "슈퍼 커패시터"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오늘날 슈퍼 커패시터로 알려진 자신의 버전을 설명했습니다.
1980년대 말까지 전극 재료 연구의 개선으로 정전 용량이 증가하고 전도성이 더 나은 전해질은 등가 직렬 저항을 나타내는 ESR이 낮아졌습니다. 최신 슈퍼 커패시터의 매우 낮은 ESR은 슈퍼 커패시터의 매우 긴 수명을 가능하게합니다.
낮아진 ESR은 내부 저항이 낮은 최초의 슈퍼 커패시터를 만들었습니다. 그들은 피나클 연구소에 의해 미군을 위해 1982 년에 개발되었습니다. 제품의 브랜드 이름은 "PRI 울트라 커패시터"로, 전기 화학적 이중층 커패시터에 대한 설명으로 사용되는 "울트라 커패시터"의 첫 번째 사례입니다.
아시다시피 슈퍼 커패시터의 개발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제조업체가 전력 밀도와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방법을 계속 제시함에 따라 계속 강화되고 있습니다. 스켈레톤 테크놀로지스는 SkelCap 슈퍼 커패시터로 슈퍼 커패시터 산업의 최전선에 있습니다.
그래서, 당신은 그것을 가지고 있습니다. "슈퍼 커패시터"는 전기 화학 이중층 커패시터, 울트라 커패시터 등의 포괄적 인 용어입니다. 실제로 슈퍼 커패시터와 울트라 커패시터는 같은 것입니다. 제조업체는 제품에 사용할 용어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정직한곳 몇군데 빼고는 대부분 사기(?)에 가까운 업체들이 난립해 있기도(대부분의 자동차 용품도 거품이..)
"점화플러그에 머 어쩌고 저쩌고 블라블라,,,"힘과 연비에 좋다 등등 ㅎ^^
한 20년 전 얘기입니다^^
이런 걸 사용해서 만든 제품이군요
잘은 모르지만 느낌이 오네요^^
그런데 뒷면 보니 직렬로 연결된거 같은데..
68 * 2 만 해도 136V 인데 저걸 어따 쓰는건지... 무시무시 하네요.. 두개 직렬이면 270V 이상인데..
전용 IC 로 밸런싱도 잘 될거처럼 보이는데.. 원 사용처가 참 궁금합니다...ㅋㅋㅋㅋ
올라온 자료 동영상 들, 이것저것 열심히 보고 있는 중입니다. ^^
커패시터의 경우 직렬로 연결하면 전압은 단순 합이겠지만 용량은 역수 합들의 역수로 계산되기에
무의미한 용량이 될 듯 합니다.
다이조아 링크의 사진을 보면 그렇게 보이더라구요..
25F 65개 직렬이면
0.37F 정도 나오네요. (무의미한 용량은 아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