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nycore Linux 에 유니코드 글꼴 설치 방법을 아시나요?

   조회 1759   추천 0    

M Shell for TCRP 메뉴를 한글화 해서 보여드리고 싶어서 이미 구현을 다 마쳤는데,

 

커다란 장벽에 막혔습니다.

 

Tinycore Linux 자체가 원래 경량화된 리눅스라서 유니코드 폰트들은 원래 설치가 되어 있지 않다고 합니다.

 

그래서 chatGPT 가 알려주는 대로 이것저것 다 깔아보고 있는데, 설치자체는 잘 되는것 처럼 보이지만 막상 aterm 에 로드 시키는게 안먹힙니다.

 

폰트 설치는 TTF 부터 아래 두가지

tce-load -wi unifont

tce-load -wi dejavu-fonts-ttf

 

그다음은 비트맵 폰트

tce-load -wi terminus-fonts

 

TTF 는

fc-cache -fv 로 적용을 해줘야 한다는것 같아서 해봤구요.

 

aterm 환경설정인

.Xdefaults 파일에 font 가 Fixed 로 지정된

된걸 대신 바꾸어 넣어 보기도 했구요.

 

aterm -fn unifont

aterm -fn "DejaVu Sans Mono:size=12"

 

이렇게 이것저것 다 넣어봐도 다 몰라먹는다고만 나오네요.

aterm: can't load font "unifont"

aterm: can't load font "DejaVu Sans Mono:size=12"


X 환경과 aterm 환경은 같은거라 보고 계속 자료를 찾아보는데 쉽지가 않네요.

혹시 아시는분 계실까요?

image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죠슈아 2023-03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노고에 감사 드립니다... 

질문이 있습니다.
PeterSuh-Q3 님  tinycore-redpill v0.9.4.0-1 입니다.    https://github.com/PeterSuh-Q3/tinycore-redpill/releases/tag/v0.9.4.0-1
pocopico 님 tinycore-redpill 버전은 v0.9.4.3 입니다.  https://github.com/pocopico/tinycore-redpill/releases

두 가지 버전 번호가 비슷해서  ... 버전 번호가 다르지만 tinycore-redpill 이 동일한 것인가요?

제가 최종 버전을 잘못 찾고 있는 것인가요?
     
화정큐삼 2023-03
같은 질문을 하신분이 몇주전에 계셔서 이렇게 답변을 드렸습니다.

https://svrforum.com/nas/698590
          
죠슈아 2023-03
ㅎㅎㅎ  죄송 . 
TCRP가 뭘 의미하는지 모르는 상태에서 해당 내용을 읽어서 충분히 이해 하지 못했었군요...
알고 있는 범위 경계 근처의 정보나 지식이  습득이 가능하다는 말이 느껴지는군요.
읽었던 것 같은데 ..
리나 2023-03
오래 전 글이지만 aterm 이 유니코드 지원 안 한다는 내용이 있던데
터미널 프로그램을 바꿔보셨는지요?
     
화정큐삼 2023-03
챗GPT 에 물어봤습니다.
-----------------------------------
aterm 이 유니코드를 지원하지 않는가?

aterm은 유니코드를 지원합니다. 하지만 터미널 설정에 따라 유니코드가 제대로 출력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만약 aterm에서 유니코드 출력이 안 된다면, 아마도 설정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UTF-8 설정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locale 명령어를 실행하여 현재 시스템의 언어 설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UTF-8이 지원되는지 확인하고, 만약 지원되지 않는다면, 다음과 같이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export LANG=en_US.utf8
export LC_ALL=en_US.utf8
이제 aterm에서 유니코드가 잘 출력되어야 합니다.

-----------------------------------
Tinycore Linux aterm 의 특수한 상황인지는 모르겠으나 위 설정을 해봤는데, 아래처럼 locale 오류가 발생합니다.

tc@box:~$ export LANG=en_US.utf8
tc@box:~$ export LC_ALL=en_US.utf8
tc@box:~$ aterm
aterm: Cannot set locale
^C
tc@box:~$ xterm
aterm: Cannot set locale
^C
tc@box:~$
죠슈아 2023-03
이미 읽으신 내용 일 수도 있지만 ...
locale.tcz 를 설치 해야 한다고 합니다.

http://tinycorelinux.net/faq.html
http://forum.tinycorelinux.net/index.php?topic=23685.0
http://forum.tinycorelinux.net/index.php?topic=165.0
화정큐삼 2023-03
감사합니다. 약간의 연구대상이 생긴것 같습니다. Tinycore 에서 aterm 은 유니코드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죠슈아님이 알려주신 내용에 나와있네요.
대신 rxvt 나 gnome-terminal 을 사용해야 할것 같은데,
tce-load -wi rxvt
일단 rxvt 설치해서 시험중입니다.
unicode 를 지원한다고 해서 urxvt 가 실행커맨드 네요.
locale 부분부터 경고가 뜨고 난리가 났네요. ㅎㅎ
이제 부터 더 파고 들어봐야 겠습니다. ^^
화정큐삼 2023-03
덕분에 성공했습니다. rxvt 없이 aterm 도 가능하네요. ㅎㅎ
처리한 커맨드가 약간되는데, 이것 정리해서 프로그램에 넣어보겠습니다.
이 팁은 Tinycore 포럼에도 공유드려야 겠습니다.
chatGPT 도 과거 버전에 호환되는 정보만 자꾸 알려주는데 지금은 없는 틀린 패키지 local.tcz 만 자꾸 받으로고만 나와서 한참을 헤메었습니다.

tce-load -wi getlocale
sudo mkdir /usr/lib/locale && sudo localedef -c -i ko_KR -f UTF-8 ko_KR.UTF-8
export LANG=ko_KR.utf8
export LC_ALL=ko_KR.utf8

화정큐삼 2023-03
아, 제가 한글을 보고 너무 기쁜나머지 착각을 했네요.
TC 내부에서 뜨는 aterm 에서 본 한글이 아니라
제 로컬 터미널인 PortX 에서 실행해서 한글이 가능했네요. ㅜㅜ
어쨌던 ko_KR.utf8 로케일 셋팅까지는 성공했습니다.
TC 안에서는 aterm 은 여전히 안됩니다.
다른 유니코드 지원되는 터미널인 urxvt 를 다시 알아봐야 겠습니다.
로케일 셋팅에 성공했으니 그 다음 과정 진행해 보면 될것 같습니다.

ferran, you would be better off with a UTF-8 locale. It's the standard and will prevent headaches such as this.

To solve all UTF8 issues I can think of, you need 4 things:

1. First, you need a UTF-8 locale extension. Re-run getlocale.sh and select ca_ES.UTF-8/UTF-8 (it's listed 17% down the list). This will create mylocale.tcz extension in your tce/optional/ directory

2. You also need the appropriate boot code. In your extlinux.conf make sure you have lang=ca_ES.UTF-8

3. You need a terminal font that supports UTF-8. I know that Luxi Mono supports UTF8 and is included by default, so please make sure you have this line in your ~/.Xdefaults:
Code: [Select]
URxvt*font: xft:Luxi Mono:pixelsize=14
After we know your problem is gone, you can change the font to something else.

4. This is unrelated to UTF8 support in terminal, but you need to set G_FILENAME_ENCODING to something sensible so that gtk3 applications can handle UTF8 characters in filenames. Just add this line to your ~/.profile:
Code: [Select]
export G_FILENAME_ENCODING=@locale

After you do steps 1-3 above, I promise your terminal issues will go away (in urxvt, anyway. aterm does not support UTF8).


QnA
제목Page 292/5704
2015-12   1656834   백메가
2014-05   5121500   정은준1
2023-09   1756   코더74
2022-05   1756   Dian
2023-12   1756   독고탁
2023-04   1756   누구냐
2023-06   1756   catstyle
2024-06   1756   모자란트
2023-01   1756   짱님
2022-12   1757   LevinF
2024-01   1757   뭐든팔아요
2023-02   1757   짱님
2021-12   1757   luciddream
2023-05   1757   장동건2014
2021-10   1757   GPGPU
2022-01   1757   신우섭
2024-02   1757   zbxhdbrhr
2021-12   1757   발포비타민
2023-02   1758   민사장
2024-05   1758   질문
2021-10   1758   티모는귀여워
2021-10   1758   겨울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