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ª½º ] YUM cache

   Á¶È¸ 2469   Ãßõ 0    

아래와 같이 yum cache에 대한 정리 글을 보아도 명확히 이해가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packages / metadata / dbcache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var/cache/yum 위치에 해당 캐쉬가 재구성 되는 거 같던데요



1\ packages -> RPM 파일이 맞는 건지요 ?

2\ 메타데이타는 의존성 및 버전등 이런 정보를 가지는 건지요 ?

3\ dbcahce는 추측이 마땅히 어렵네요

4\ makecache는 기존에 installed된 packages에 대하여, RPM, Medatada, DBCachea를 한번에 다운로드 받아서 package 재설치 없이 재구성 하는 것 일런지요 ?

5\ rm -rf /var/cache/yum 이후에, makecache를 수행해도 해당 디렉토리 이하에 어떠한 변경이 안 보여서 궁금합니다.


전문가님들의 조언 부탁 드려 봅니다.

-----------------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hanajava&logNo=221480484425


yum 캐시 데이터로 인해서 잘못된 동작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럴 때, yum의 캐시를 정리할 수 있다.

캐시된 패키지 정보를 모두 삭제하는 커맨드이다.

$ sudo yum clean packages

캐시된 XML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삭제한다.

$ sudo yum clean metadata

캐시된 모든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삭제한다.

$ sudo yum clean dbcache

사용하지 않는 불필요한 디스크 공간을 정리하고, 동시에 이전 커맨드와 같이 캐시된 모든 파일을 삭제한다.

$ sudo yum clean all

다음 커맨드를 실행하여 yum 캐시를 재구성한다.

$ sudo yum makecache

                                                                               

              

ªÀº±Û Àϼö·Ï ½ÅÁßÇϰÔ.


QnA
Á¦¸ñPage 372/5735
2014-05   5274917   Á¤ÀºÁØ1
2015-12   1800202   ¹é¸Þ°¡
2023-03   1640   ¹¹µçÆÈ¾Æ¿ä
2023-03   1331   ¹Ì´ã
2023-03   2201   ³ª¿ì¸¶Å©
2023-03   2303   ½Ì±¹³¯°­µµ
2023-03   2736   ¿À¼º±â
2023-03   2411   Á¨¼­¹ö
2023-03   2632   ±¼··¼è
2023-03   2685   epowergate
2023-03   1954   twopaik
2023-03   2831   °ú¾Ï
2023-03   1976   Ǫ¸¥ÇØ¿ø
2023-03   1821   slowcity
2023-03   1683   drama
2023-03   1886   Jjun
2023-03   7378   ³×ÀÌÃÄ
2023-03   1699   ¹¹µçÆÈ¾Æ¿ä
2023-03   3913   ±è¿µ±â
2023-03   1756   È­¶õ
2023-03   1867   ¹¹µçÆÈ¾Æ¿ä
2023-03   2567   Ç®·Îµå½Ã½ºÅÛ